• Title/Summary/Keyword: 형상 오차

Search Result 602, Processing Time 0.052 seconds

The Derivation of Error Estimates with Various Shape Functions for Time Integration Using Finite Element Approach (유한요소 기법을 적용한 시간적분법에서 형상함수에 따른 오차추정치 유도)

  • 장인식;맹주원;김동호
    •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 /
    • v.11 no.4
    • /
    • pp.187-196
    • /
    • 1998
  • 불연속 갤러킨 정식화에 기초를 둔 시간적분법에 대하여 시간을 변수로 한 유한요소적 접근법을 시도하였다. 단일 형상함수와 두 형상함수 정식화에 대해 각각 선형, 이차 형상함수를 적용하여 모두 네 종류의 시간적분법을 유도하였으며, 각 방법에 대하여 시간시텝의 증가에 따른 변위와 속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증폭행렬을 계산하였다. 유도된 방법들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부하가 갑자기 변화는 진동 문제를 해석하고 변위의 오차를 비교하였다. 네 가지의 방법에 대하여 국부 오차 추정치를 개발하였으며, 오차 추정치의 정확도를 수치예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단일 형상함수 정식화에서 이차 형상함수를 이용한 오차 추정치가 실제 국부오차를 잘 나타내었으며 유도된 오차 추정치는 시간간격제어 기법에서 시간간격의 크기를 결정하는 척도로 이용 가능하다.

  • PDF

Measurement of Rail Profile Errors for Estimating the Volumetric Error in 3-axis Machines (3축 가공장비의 공간오차 예측을 위한 레일형상오차 측정)

  • Khim, G.;Oh, J.S.;Oh, J.;Jeong, J.H.;Park, C.H.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2.05a
    • /
    • pp.839-840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3 축 기계장비의 공간오차를 예측하기 위한 사전 단계로 각 축에 대하여 레일형상오차를 측정하였다. 전용 측정지그를 설계/제작하여 이 지그가 이동함에 따라 혼합축차이점법을 이용하여 레일형상오차를 측정하였다. 레일형상오차로부터 테이블 운동오차를 예측하고, 이와 더불어 각 축 사이의 직각도 오차를 측정한 후 이로부터 최종적으로 3 축 장비에 대한 공간오차를 평가할 예정이다. 예측된 공간오차는 실제 레이저를 이용한 공간오차 측정방법을 이용하여 검증할 예정이다.

  • PDF

CMM을 이용한 Airfoil의 Edge부위 측정오차 최소화를 위한 Fitting방법

  • 강진우;변재현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04a
    • /
    • pp.709-712
    • /
    • 2000
  • 본 연구는 turbine compressor airfoil의 측정 및 검사 업무에서 edge(leading edge/trailing edge) 부위에서 자주 발생하는 프로브 slip현상으로 인한 측정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터빈 압축기의 airfoil 형상 규격에 대하여 살펴보고, 균일 샘플링방법을 이용하여 최소제곱법으로 보상하여 최적의 형상을 구하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국내 기업에서는 airfoil형상의 edge부위를 검사할 때 leading edge부위의 타원 형상과 trailing edge부위의 원 형상을 AutoCAD상에서 임의로 그려서 규격을 검사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edge부위에서 발생하는 측정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보다 정확하고 체계적인 fitting 방법을 도입함으로써, airfoil의 형상치수에 관한 규격검사 업무의 신뢰성과 효율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 PDF

A algorithm development on optical freeform surface reconstruction (광학식 자유곡면 형상복원 알고리즘 개발)

  • Kim, ByoungChang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7 no.5
    • /
    • pp.175-180
    • /
    • 2016
  • The demand for accurate freeform apsheric surface is increasing to satisfy the optical performance. In this paper, we develop the algorithm for opto-mechatronics convergence, that reconstruct the surface 3D profiles from the curvarure data along two orthogonal directions. A synthetic freeform surface with 8.4 m diameter was simulated for the testing. Th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reconstruction error is 0.065 nm PV(Peak-to-valley) and 0.013 nm RMS(Root mean square) residual difference. Finally the sensitivity to noise is diagnosed for probe position error, the simulation results proving that the suggested method is robust to position error.

Estimation of Geometric Error Sources of Suspension Bridge using Survey Data (측량 데이터를 이용한 현수교의 형상오차 원인 추정)

  • Park, Yong Myung;Cho, Hyun Jun;Cheung, Jin Hwan;Kim, Nam Sik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 /
    • v.19 no.3
    • /
    • pp.313-321
    • /
    • 2007
  • The study discussed in this paper presents a method of estimating sources of geometric errors in suspension bridges in use, based on geometric survey data. A geometric error is defined as the difference between the survey data and the design geometry of a main cable. It is assumed that the geometric error in a suspension bridge is caused by the variations in the weight of the stiffening girder and the deformation of the anchorage foundations due to the creep of soil. The variations in the girder weight and the deformation of the foundation were estimated by constructing a matrix of factors that affect suspension bridges due to the variations. To check the validity of the proposed method, it was applied to the Kwang-An Bridge, and the sources of geometric errors in the bridge were estimated using the survey data.

Comparison Surface Error Measurements of Aspherical Mirror (비구면 반사경 표면의 형상오차 측정법 비교)

  • An, Jongho;Pak, Soojong;Kim, Sanghyuk;Park, Woojin;Jeong, Byeongjoon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41 no.1
    • /
    • pp.73.3-74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비구면 반사경의 형상오차를 3가지 방법으로 측정, 비교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포물면 반사경의 구경은 108 mm, 유효초점거리는 444.5 mm 이다. 첫 번째로 접촉식 형상측정방식인 FTS(Form TalySurf)를 이용하여 표면 거칠기와 반사경의 최적 곡률 반경(BestFitt Radius) 값을 측정하였다. 두 번째로는 비접촉식 형상측정방식인 UA3P(Ultrahigh Accurate 3-D Profilometer)를 이용하여 반사경의 형상 정밀도를 측정하였다. UA3P를 이용할 경우 반사경의 전체 형상을 측정할 수 있다. 세번째로 Shark-Hartmann 센서를 이용한 광학측정방법으로 반사경의 형상 정밀도를 측정하였다. 측정에 필요한 레이저 광학계는 레이저, 콜리메이터, 핀홀, 카메라 렌즈 및 비구면 광학계를 이용하여 설계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각 측정 방법의 신뢰도를 바탕으로 간섭계 사용에 제약이 있는 자유형상곡면의 반사경 표면의 형상오차 측정에 적용할 계획이다.

  • PDF

Free-Form Surface Reconstruction Method from Second-Derivative Data (형상이차미분을 이용한 자유곡면 형상복원법)

  • Kim, Byoung Chang;Kim, DaeWook;Kim, GeonHee
    • Korean Journal of Optics and Photonics
    • /
    • v.25 no.5
    • /
    • pp.273-278
    • /
    • 2014
  • We present an algorithm for surface reconstruction from the second-derivative data for free-form aspherics, which uses a subaperture scanning system that measures the local surface profile and determines the three second-derivative values at those local sampling points across the free-form surface. The three second-derivative data were integrated to get a map of x- and y-slopes, which went through a second Southwell integration step to reconstruct the surface profile. A synthetic free-form surface 200 mm in diameter was simulated. Th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reconstruction error is 19 nm RMS residual difference. Finally, the sensitivity to noise is diagnosed for second-derivative Gaussian random noise with a signal to noise ratio (SNR) of 16, the simulation results proving that the suggested method is robust to noise.

Gaussian Curvature Error Estimation for Mesh Simplification (Gaussian 곡률 오차 추정을 이용한 Mesh 간략화)

  • 임수일;임수일;김창헌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8.10c
    • /
    • pp.650-652
    • /
    • 1998
  • 본 논문은 mesh 간략화를 위한 새로운 Gaussian 곡률 오차 추정 방법을 제안한다. Gaussian 곡률은 임의의 형상을 갖는 삼각화 된 단면체 표면에 대하여 위상과 기하학적 정보를 angle 과 face 의 관계로 정형화하여, vertex에 관한 곡률로 근사하여 표현한다. 간략화 방법은 지역적 형상으로부터 전체적인 형상을 추정한 후, 적절한 curvature criteria 로 간략화가 될 vertex를 선택하고 제거한다. 제거된 vertex에 의해 생성된 hole은 곡률에 기반하여 삼각화하고 곡률이 변화되는 vertex들의 Gaussian 곡률 오차를 계산한다. 각 간략화 level마다 최대 Gaussian 곡률 오차를 계산하므로, 사용자는 Gaussian 곡률 오차 추정으로 원하는 간략화 level을 지정할 수 있다. 또한 주어진 오차 안에서 vertex뿐만 아니라 edge나 face의 제거로, 간략화 되는 영역을 확산시켜 필요한 위상과 기하학적 정보를 유지하는 간략화를 할 수 있다.

  • PDF

Camera and Flash Calibration for 3D Shape Acquisition on a Smartphone (스마트폰에서의 3차원 형상 취득을 위한 카메라와 플래시의 보정 기법)

  • Won, Jae-Hyun;Park, In-Kyu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1.06b
    • /
    • pp.294-295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폰의 카메라와 플래시를 이용한 Shape from Shading 방법으로 3차원 형상 취득을 위한 카메라와 플래시의 보정 기법을 제시한다. 영상에서 관찰되는 화소 값은 카메라의 반응곡선에 의해 비선형적으로 표현되고 렌즈의 왜곡으로 인해 3차원 형상 복원에 오차를 발생 시킨다. 기하학적(geometric) 보정과 방사량(radiometric) 보정, 플래시 보정을 수행함으로써 3차원 형상 복원의 오차를 줄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