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형상정도

Search Result 938, Processing Time 0.03 seconds

Second Order Model for Free Surface Convection (자유표면유동을 위한 이차원 모델개발)

  • Kim Seong-O.
    • Journal of computational fluids engineering
    • /
    • v.2 no.2
    • /
    • pp.73-79
    • /
    • 1997
  • VOF 방법에 의한 자유표면 유동계산의 정확성을 개선하기 위해 이차정도 모델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이차원 모델의 정확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크기의 원형 및 Solitary wave형상의 자유표면 유동을 통하여 기존에 개발된 두 가지의 일차정도 모델과 비교하였다. 비교결과 반경이 큰 원과 같이 곡률이 작은 형상의 경우에는 일차정도 모델도 비교적 정확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으나 작은 반경의 원형이나 Solitary wave와 같이 곡률이 큰 형상의 경우 일차정도 모델은 많은 오차를 보여주는 반면에 이차정도 모델은 어느 경우에나 매우 정확한 결과를 보여준다.

  • PDF

Improvement of Geometric Accuracy Using Constant Force Control (정연삭력 제어를 이용한 형상정도 향상)

  • 김동식;김강석;홍순익;김남경;송지복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6.11a
    • /
    • pp.157-161
    • /
    • 1996
  • In the geometric accuracy, most of studies have been concentrated on the analysis of the geometric error, or a control path of grinding using the value of measured geometric error. In this paper, by using the value of measured motor current through hall sensor, detection of the geometric error have been accomplished, and in-process control path of grinding for improvement geometric accuracy, too.

  • PDF

초정밀 표면측정기술의 동향

  • 김승우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 /
    • v.10 no.1
    • /
    • pp.22-27
    • /
    • 1993
  • 산업기술의 발달에 따라 각 분야마다 정밀한 부품을 요구하고 있다. 이는 이들 부품이 시스템의 성능에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이다. 부품의 정도는 길이정도와 표면의 정도를 모두 의미한다. 길이정도는 부품의 상대적 크기정도를, 표면정도는 3차원 형상정도를 나타낸다. 이들 부품의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측정이라는 방법이 수행되어야 하며, 측정은 요구되는 측정정도에 따라 이에 상용되는 방법으로 행해지게 된다. 요구되는 측정정도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증가되고 있다. 이 러한 경향은 그림1의 시대에 따른 측정정도를 보면 확인할 수 있다. 시대에 따라 측정정도는 급격히 증가하고 있고 현재의 측정은 초정밀측정이라 말하는 약 0.1nm의 정밀도를 갖고 있다. 측정정도에 따라 표면측정기술도 여러가지 방법이 행해지고 있는데 이들 측정방법은 크게 접촉식 측정방법과 비접촉 측정 방법으로 나눌 수 있다. 대표적인 접촉식 측정방법으로는 촉침식 측정방법을 들 수 있다. 이 방법은 다이아몬드 촉침을 표면상에 접촉하여 주사이동하게 하고 이때 표면의 요철에 따른 촉침의 상하운동을 고성능 변위센서를 이용하여 표면형상을 측정하는 것이다. 이는1nm의 수직분해능을 갖고 측정이 가능 하다. 이 방법은 표면에 접촉함으로 인해 신뢰성이 높지만, 표면의 접촉압력으로 인해 표면의 손상 우려가 있다. 이런 이유로 현재 비접촉 측정방법이 주목받고 있다. 표면측정을 실현하는 데에는 광학 기술이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물리학의 원리들이 도입되고 있다. 본 글에서는 이러한 측정기술의 기본원리를 소개하고 각 기술이 응용되는 예를 소개하고자 한다.

  • PDF

Feature Extraction for the Normalization of a 3D Human Face (3차원 얼굴 형상의 정규화를 위한 특징 추출)

  • 김익동;심재창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04c
    • /
    • pp.310-312
    • /
    • 2003
  • 본 논문은 3차원 얼굴 형상을 이용한 얼굴 인식에 있어서, 정규화 과정에 사용될 얼굴의 특징 영역을 추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3차원 얼굴 형상은 조명의 변화에 상관없이 얼굴의 특징 분석이 가능하고, 이를 이용한 얼굴 인식이 가능하다. 그러나, 입력된 형상에 따라 회전, 기울어진 정도, 그리고 좌우로 움직인 정도가 다르다 이런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추출된 특징들은 잘못된 인식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이런 이유로 입력시의 오류 돌을 바로잡는 정규화 과정이 필요하다. 정규화 과정에서는 얼굴의 기하학적인 특징(눈, 코, 입 등)을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들 중, 코는 3차원 얼굴 형상에서 두드러진 특징이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코의 실제 형상과 유사한 코 형상 추출 마스크를 사용하여 입력된 형상으로부터 코 영역을 추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 PDF

Automatic Shape Control for the stainless cold mill using Fuzzy method (퍼지 기법을 이용한 STS 강판의 형상제어)

  • Hur, Yone-Gi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1999.07g
    • /
    • pp.2869-2871
    • /
    • 1999
  • 본 연구는 포항제철 STS 냉연공장의 형상 제어에 관한 것이다 당사의 냉간 압연기는 Sendzimir mill로서 상하 롤(Roll)이 10단씩 구성된 20단 압연기이다. 본 압연기에 의한 575 냉연강판의 형상제어는 현재 조업자의 수동운전으로 구동되고 있으며 구동기는 AS_U Roll 8 개와 Intermediate Roll 2 개의 10 개로 구성되어 있다. 구동기의 특성은 solenoid 형태와 유압식으로서 응답성이 빠르지 뭇하다. 본 연구는 위와 같은 특성을 지닌 냉간 압연기를 가지고 퍼지 제어에 의한 자동제어의 구현에 관한 것이다. 본 연구에 사용된 퍼지 제어기는 형상 강판의 두께 Roll 속도, AS_U Roll과 IMR의 현 위치 강종 강판의 폭, 강판의 장력 등의 입력을 고려하여 제어기의 출력인 AS_U Roll 8 개의 위치 값과 IMR 2 개의 위치 값을 결정한다. 현재 실 프로세서에 적용중이며 형상제어 정도가 양호하다. 본 연구의 효과는 형상제어의 자동화 및 형상 정도 향상을 통한 조업 안정화에 있다.

  • PDF

Molding and Optical Evaluation of Aspheric Glass Lenses for Camera Phone Module (카메라폰 모듈용 비구면 Glass렌즈의 성형 및 광학특성 평가)

  • Kim, Hye-Jeong;Cha, Du-Hwan;Kim, Jeong-Ho
    • Journal of Korea Society of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 /
    • v.12 no.3
    • /
    • pp.124-131
    • /
    • 2007
  • Aspheric glass lenses was fabricated by glass molding press(GMP), which is a plano-aspheric convox shape and intended for use as an optical design of 3 megapixel and 2.5 magnifications zoom in a camera phone module. Transcription ratio of form accuracy (PV) as well as resolution properties was measured for evaluation the molded lens. Form accuracy (PV) of the mold surface was $0.127\;{\mu}m$ in an aspheric and $0.168\;{\mu}m$ in a plano, in case of the molded lens it shows $0.205\;{\mu}m$ and $0.223\;{\mu}m$, respectively. Resolution of the molded lens was measured as a MTF[Contrast]. The molded lens shows contrast of 32.9% at 80 1p/mm and the value is similar with contrast of 33% obtained simulation.

  • PDF

Damage Detection of a Steel Member Using Modal Testing (강부재의 손상발견을 위한 모달실험 기법)

  • Jang, Jeong Hwan;Lee, Jung Whee;Kim, Sung Kon;Chang, Sung Pil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 /
    • v.9 no.4 s.33
    • /
    • pp.467-477
    • /
    • 1997
  • A series of experimental tests have been performed on a tube beam in which artificial damage is applied in order to address damage detectability using modal analysis. Modal parameters considered are frequency, displacement mode shape and strain mode shape CoMAC(Coordinate Modal Assurance Criterion) and Modal Vector Error have been adopted for presenting the change of displacement mode shape and strain mode shape. It is revealed strain mode shape is the most sensitive to damage.

  • PDF

A Nonlinear Array Shape Estimation Using the Heading Sensor Signal (방위센서를 이용한 비선형 선배열 형상 추정 기법)

  • Cho Yo Han;Joh Chee Young;Seo Hee Seon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autumn
    • /
    • pp.85-88
    • /
    • 2000
  • 가늘고 긴 선배열을 해상에서 운용할 때 비선형 형상이 유도되므로 음원에 대한 정확한 탐지를 위하여 배열형상 추정이 필요하다. 방위센서를 이용한 배열형상 추정을 위하여 배열의 천 정도가 적은 경우에만 적용 가능한 다항 근사화 방법의 제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반복법을 제안하고, 수치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반복회수에 따른 배열형상 추정결과를 분석하였다

  • PDF

PSC Girder길이의 증가를 위한 단면형상 변화에 따른 비선형 구조해석

  • Kim, Se-Il
    • Proceeding of EDISON Challenge
    • /
    • 2015.03a
    • /
    • pp.279-284
    • /
    • 2015
  • 본 논문은 하중에 따른 변화정도에 초점을 맞추어 PSC girder길이의 증가를 위해 Co-rotational Plane Beam with Arbitrary Section Solver를 통하여 비선형 구조해석을 진행하여 Jeon, S., Choi, M., and Kim, Y. 등에 의해 제시된 Decked girder의 구조적 우수성을 검증하고, 이를 보완한 새로운 단면형상의 PSG girder를 제시하였다. 도출된 결과 값은 탄성방정식을 통하여 얻은 값과 비교하여 신뢰성을 검증하였다. 해석을 통하여 단순히 girder 상단부 플랜지의 길이를 증가시키는 것은 girder의 변형정도를 줄이는데 큰 영향을 주지 않는 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고 girder 상단부 플랜지와 중심부를 연결하는 부분의 단면형상을 좀 더 두껍게 함으로 하중에 따른 girder의 변형량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었다.

  • PDF

Improved Damage Assessment Algorithm Using Limited Mode Shapes (제한된 모드형상을 이용한 개선된 손상평가 알고리즘)

  • 이종순;조효남;허정원;이성칠
    • Journal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 /
    • v.15 no.1
    • /
    • pp.127-136
    • /
    • 2002
  • This papers presents a practical damage detection algorithm based on damage index method that accurately assesses both the location and severity of the localized detriment in a bridge structure using only limited mode shapes. In the algorithm, the ratio of the modal vector sensitivity of an undamaged structure to that of a damaged structure is used as an indicator of damage. However, a difficulty arises when the damaged element is located at a node of mode where the amplitude of medal vector is close to zero, leading the singularity of the ratio (i.e., division-by-zero). This singularity problem is overcome by introducing a parameter denoted a sensitivity filter, a function of mode shape of the structure, in modal vector sensitivity. Using this concept, an improvement can be considerably achieved in the estimation of both degree of severity and location of damage. To verify the proposed algorithm, its numerical implementations are conducted for a simply supported beam and a 2-span continuous be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