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협업 프로세스

Search Result 258, Processing Time 0.042 seconds

Comparison and Analysis of Implicit and Explicit Collaboration Process Languages (암시적/명시적 협업 프로세스 언어의 비교분석)

  • Jo, Myung-Hyun;Park, Jung-Up;Sul, Joo-Young;Baeg, Moon-Hong;Son, Jin-Hyun
    • The KIPS Transactions:PartD
    • /
    • v.13D no.5 s.108
    • /
    • pp.671-682
    • /
    • 2006
  • Until now, a variety of the standard and research activities are progressed in the business process management. However, since the common standard of the collaboration process language has not been determined, the research activities could not be well-systemized. We would present the guide-line to select and use the collaboration process language straightly through comparing different collaboration process languages (BPEL4WS, BPML, WSCI, WS-CDL, BPSS, etc). In this regard, we define the implicit and the explicit collaboration as the collaboration method in advance and present the result acquired according to compare and analyze the features of the collaboration process languages. First, the necessary elements the collaboration process languages have are extracted through the framework of the inter-organizational workflow proposed by Bernauer and the collaboration process modeling procedure(CPMP). Second, we analyze the properties of the collaboration process language based the essential elements. Finally, we show the complete example that the collaboration business process really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llaboration business process languages

A study on design and analysis of collaboration oriented system (협업 지향적 시스템 설계와 분석에 관한 연구)

  • Shin, Mun-Bong;Chun, Seung-Su;Son, Ho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2.06b
    • /
    • pp.178-180
    • /
    • 2012
  • 협업은 둘 이상의 사람들이 하나의 업무 또는 목적을 달성하기위해 공동으로 협력하여 일하는 것이다. 최근 개인 및 조직 간 협업 범위가 공동분석, 데이터 연계, 서비스 조합 등으로 확장되고 대용량 데이터 공유 및 실시간 연계분석 활동이 증대되면서 협업 지향적인 시스템 설계와 개발이 중요시 되고 있다. 특히 스마트워크와 지능화된 협업 기반은 데이터, 프로세스, 서비스, 사람 간의 다차원 연계와 실시간 활용, 의미 기반의 기계적 협력을 전재로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Data, Process, Service, People 측면의 4가지 계층으로 전사적 자원을 설계하고 메타 메타데이터 기반의 온톨로지 분석을 통해 자원 간의 연계와 조합을 지원하는 시스템을 설계했다. Data 계층은 프로세스별 Input, Output 정보를 식별하여 Data의 메타 정보를 정의하고 이를 검색 에이전트가 색인하여 모델링에 참조할수록 한다. Process 계층은 BPMN모델을 확장한 exCPM의 개선 모델을 바탕으로 프로세스를 수행주체 간, 정보공유측면에서 프로세스를 분석했다. Service 계층은 협업지향적인 프로세스를 구성하는 컴포넌트를 서비스로 인식하고 프로파일을 통해 협업을 위한 검색과 프로세스를 연계지원하도록 설계 했다. 마지막으로 People계층은 자원, 프로세스, 서비스 등 시스템에 관여하는 참여자들의 메타정보를 정의하고 이를 온톨로지 기반의 모델에 통합하여 자동 검색되도록 설계했다. 이를 통해 프로세스와 서비스 측면에서 협업을 요구하는 에이전트와 일반 검색 사용자들이 프로세스 간 협업 자원을 파악하고 상호 관계를 분석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프로세스를 지원하는 컴포넌트와 서비스 간의 자동적인 조합을 통해 통합적 자원 협력과 실시간 협업 지원 기반을 제시했다.

Integrated Process Modeling in Dynamic B2B Environment (B2B 협업 환경에서의 통합 프로세스 모델링 구축)

  • O, Je-Yeon;Jeong, Jae-Yun;Jo, Nam-Uk;Kim, Hun-Tae;Gang, Seok-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05a
    • /
    • pp.442-447
    • /
    • 2005
  • BPEL4WS와 같은 웹 서비스 프로세스 설계 언어의 사용은 기업으로 하여금 자동 실행되는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설계, 실행할 수 있게 하였으나, 종전의 워크플로우와 자동 실행 프로세스를 동시에 지원하지 못하는 한계를 가진다. 또한 B2B 협업에 있어서 각 기업에서 제공하는 웹 서비스들의 입력과 출력, 행동 단위가 다를 수밖에 없기 때문에 동일한 목적을 지닌 프로세스라 하더라도 파트너에 따라 상이하게 설계될 수밖에 없는 문제를 지니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위와 같은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기업내 워크플로우 프로세스와 자동 실행가능한 프로세스, 기업간 협업 프로세스의 세 가지로 분류하고, 이들을 통합적으로 설계하는 비즈니스 프로세스 모델링 방법론을 제안한다. 본 연구를 통해 비즈니스 프로세스 설계자는 기업내 워크플로우와 자동 실행 가능한 프로세스를 통합적으로 설계할 수 있으며, 각 파트너에 대해 동일하게 사용되는 협업 프로세스를 설계할 수 있게 될것으로 기대된다.

  • PDF

웹서비스 협업 프레임웍 기반의 다자간 비즈니스 프로세스 구축

  • 김윤숙;이광재
    • Proceedings of the Korea Inteligent Information System Society Conference
    • /
    • 2003.05a
    • /
    • pp.385-391
    • /
    • 2003
  • 상이한 IT 환경 기반의 여러 기업이 협업하는 방법 중 하나가 각 기업이 가진 비즈니스를 웹서비스로 오픈하고 웹서비스 협업 프레임워크 위에서 상호 협업하여 다자간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구축하는 것이다. 본 논문의 시스템은 웹서비스 기반 비즈니스 프로세스 모델링 언어인 BPEL4WS 위에 협업 프레임워크 명세인 WS-Coordination / Transaction 프레임워크를 결합한 아키텍처를 구현한 서비스 통합 시tm템이다. 이 시스템 위에 다자간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운용할 수 있는 BPM 포탈인 금융포탈을 구축하여 본 논문의 시스템 활용성을 검증하였다. 또한 웹서비스. 협업 프레임워크를 실 업무에 적용할 때 예상되는 문제점을 미리 도출하고 그에 대응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 시스템의 협업 기능에 대해 테스트를 실시 하였다.

  • PDF

협업 비즈니스 프로세스의 서비스 품질(QoS)에 관한 연구

  • O, Je-Yeon;Jo, Nam-Uk;Kim, Hun-Tae;Min, Yun-Hong;Gang, Seok-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7.11a
    • /
    • pp.251-255
    • /
    • 2007
  • 오늘날 세계화된 시장 환경은 기업간 협업 프로세스의 동적 구성을 요구하고 있으며, 웹 서비스 (Web services)와 비즈니스 프로세스 관리 (Business Process Management) 기술의 발전이 이의 구현을 뒷받침하고 있다. 임의의 기업과의 느슨한 구성(loosely-coupled)을 통한 동적 협업이 활성화됨에 따라, 프로세스의 서비스 품질 (Quality of Service)이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데, 특히 단순한 단위 웹 서비스가 아닌 장기 실행 액티비티 (Long-termed activity)를 포함하는 협업 프로세스에서는 제한된 시간 내에 프로세스의 정상적 수행을 보장하는 것이 핵심적 요구사항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프로세스 수행 계획을 동적으로 생성, 관리함으로써 프로세스의 각 인스턴스들의 완료와 납기 준수를 보장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시한다. 본 방법론은 프로세스 인스턴스의 진행과정에 따라 중복(redundancy) 계획을 동적으로 수정함으로써 각 액티비티의 수행 시간과 신뢰성(reliability)을 독립적으로 관리한다. 본 방법론의 최적화 모델은 NP-hard로 증명되었으며, 본 연구에서는 최적화 모델을 위한 휴리스틱 알고리즘을 제시하고, 이를 실제 최적해와 비교하는 실험을 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보다 복잡한 기업간 협업환경에서의 수행 보장과 장애내감성 실현이 가능해 질 것으로 기대된다.

  • PDF

Collaborative System based on Social using XMDR-DAI for Business Process in Mobile Cloud (모바일 클라우드 환경에서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위한 XMDR-DAI를 이용한 소셜 기반의 협업 시스템)

  • Lee, Jong-Sub;Moon, Seok-Jae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9 no.10
    • /
    • pp.2331-2340
    • /
    • 2015
  • In this paper, we propose a social-based collaboration systems for business process management in the mobile cloud. This XMDR-DAI is to provide services for data sharing and exchange between local systems that operate independently in a cloud environment, take charge of a social-based collaborative business process management. Social-based collaborative business processes are handled in a collision among a structure such as unit conversion, meaning conflict, and the schema mapping data resulting from the inner query. The conflict was resolved by mapping process which takes in each XMDR-DAI.

Comparison and Analysis of Collaboration Business Process Languages (협업 비즈니스 프로세스 언어의 비교 분석)

  • Jo Myung Hyun;Sul Joo Young;Park Jung Up;Son Jin 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11b
    • /
    • pp.94-96
    • /
    • 2005
  • 지금까지 비즈니스 프로세스 관리에 대한 다양한 연구 활동들이 수행되어 왔지만, 아직까지 범용적인 비즈니스 프로세스 언어 표준이 규정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비즈니스 프로세스 언어들(BPEL4WS, BPML, WSCI, WS-CDL, BPSS 등)의 비교 분석을 통해, 협업 비즈니스 환경에서 비즈니스 프로세스 언어가 가져야 할 필수 요소들을 제안한다. 비즈니스 프로세스 언어의 비교는 세 단계로 구성된다. 첫째,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구성하는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조직 내외의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비교한다. 둘째, 협업 비즈니스 프로세스의 모델링 절차에 따라 절차에 필요한 필수 비즈니스 엔터티를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추출된 필수 비즈니스 엔터티를 이용하여 다양한 비즈니스 프로세스 언어들 사이의 특징을 비교 분석한다.

  • PDF

A Study on Analysis of Collaboration Systems by Design Process of Floating Architecture (플로팅건축의 설계프로세스에 따른 협업시스템분석에 관한 연구)

  • Yeo, Dong-Yeob;Ahn, Jae-Cheol;Kim, Jung-Kil;Heo, Dong-Yun;Lee, Han-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1.06a
    • /
    • pp.211-212
    • /
    • 2011
  • 일반적인 건축물의 설계 프로세스와 달리 플로팅건축은 수해양공간이라는 특수한 외부환경인자의 증가와 함께, 정보전달 및 의사결정을 위한 협업의 주체가 증가하는 특성을 가진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플로팅건축의 기능적 요구사항을 단계별, 협업의 주체별로 분석하고, 협업 및 의사결정흐름의 관점에서 플로팅건축 설계단계에서의 프로세스를 작성하였다.

  • PDF

A Cooperative Swimlane Workflow Modeling System Architecture (실시간 협업 지원 협동 스윔레인 워크플로우 모델링 시스템 아키텍처)

  • 이정훈;오동근;한승혁;김형목;원재강;김민홍;김광훈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04a
    • /
    • pp.563-565
    • /
    • 2003
  • 기업 업무의 절차와 규모가 복잡해지고 증가함에 따라 한 사람이 기업의 모든 업무 프로세스를 모델링하고 관리하는 것이 어려워지고 있다. 기존의 Workflow 모델링 방식은 프로세스 정의를 한 명(또는 소수)의 디자이너가 맡아 왔다. 그러나 스윔레인 같은 롤 기반의 프로세스 모델링은 각 롤에 해당하는 디자이너 그룹이 프로세스를 정의하기 때문에 모델링 작업을 단순화 시킬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워크플로우 모델링 방식과 다른 역할 기반의 스윔레인 모델링을 바탕으로 그룹웨어기술을 접목 시켜 기업의 업무 프로세스를 보다 효율적으로 정의할 수 있는 실시간 협업 지원 협동 스윔레인 워크플로우 모델링 시스템 아키텍처를 제시한다. 이벤트 방식의 화면 처리는 네트워크 트래픽 및 오버 헤드를 감소 시킬 수 있다. 또한 분리된 어플리케이션이 비동기적으로 신뢰성 있게 통신할 수 있도록 메시징 시스템을 도입하고, 협업간 투명성(Transparency)을 보장하는 가상 협업 서버 구조를 살펴 볼 것이다. 이러한 것들은 향후 분산환경으로의 발판을 이를 수 있다.

  • PDF

A study for effective collaboration for user experience design (사용자 경험 디자인을 위한 효율적인 협업 프로세스 방안에 관한 연구 - 사용성 테스트를 중심으로 -)

  • Son, Ji-Seon;Im, Jung-Hwa;Oh, Chang-Young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b
    • /
    • pp.472-477
    • /
    • 2007
  • 사용자 중심의 디자인 패러다임이 도래하면서 점차 사용성 진단이 제품 혹은 서비스의 전체 개발 프로세스 상에서 필수적인 절차이며 이를 통해 사용자의 경험 품질 향상을 모색할 수 있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실제로도 제품 개발 과정의 한 꼭지로서 사용자 리서치를 수행하는 기업이 점차 증가되고 있지만, 리서치를 통해 도출된 결과가 실제 제품 개발에 얼마나 효과적으로 반영되는지에 대해서는 의문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의문을 품게 된 이유는 사용자 리서치 결과가 실제 제품이나 서비스에 적용된 정도가 크지 않은 경우를 종종 목격하였기 때문이다. 이러한 주요 원인 중 하나로서 리서치 결과가 실무 담당자들에게 전달되는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해석 상의 차이 때문일 것이라는 가설을 가지고 사용성 진단 리서치 프로세스의 변화를 시도해 보았다. 다시 말하면, 실제 현장에서 단기간 동안 진행되는 사용자 리서치를 통해 보다 효과적으로 그 결과를 활용할 수 있는 방안으로 리서치 진행자와 실무 담당자간 협업 프로세스 작업 단계인 협업 디자인 워크샵(co-designing workshop)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협업 디자인 워크샵 프로세스의 소개를 목적으로 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가 사용성 진단 리서치 결과의 활용도 및 가치를 향상시키고, 사용자의 입장을 대변하는 리서처의 책임과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