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협업 성과

Search Result 1,280,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An Empirical Study on Absorptive Capacity, Perceived Incentive Benefit and the Quality of Collaboration in Project-based Supply Chain (프로젝트 공급망 참여기업의 흡수능력, 지각된 인센티브 혜택 및 협업의 질에 관한 실증연구)

  • Kim, Tae Ung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1 no.7
    • /
    • pp.83-95
    • /
    • 2013
  • Supply chain management for engineering project focuses on planning acquisitions, identifying and choosing the right suppliers and subcontractors, planning and negotiating appropriate contracts, and administering the collaboration with the suppliers and subcontractors. This paper aims to identify the determinants of SCM performance of the suppliers and subcontractors participating in the project-based supply chain. This study proposes the absorptive capacity, fairness of suppliers' evaluation, the quality of collaboration and incentives as major research variables, and collected the survey responses from the suppliers and subcontractors having experiences with major engineering projects. The statistical results indicate that the incentives, absorptive capacity and the quality of collaboration influence SCM performance of suppliers, and that the fairness of suppliers' evaluation has some impact on the incentives and the absorptive capacity. But on the contrary to our expectation, the incentives have no significant impact on the level of absorptive capacity.

Augmented Reality Based Remote 3D Collaborative Design Workspace (증강현실 기반의 원격 3차원 디자인 협업 환경에 관한 연구)

  • SaKong, Kyung;Nam, Tek-Jin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2b
    • /
    • pp.221-226
    • /
    • 2006
  • 원격 3차원 디자인 협업 환경이란 원거리에 있는 디자이너들이 3차원 모델을 함께 동시적으로 다루는 협업 환경으로서, 제품 개발 프로세스의 비용과 시간을 단축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이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비한 실정이며 기존의 연구들도 2차원 데스크탑 환경에 제한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새로운 협업 환경의 제안을 통해 지리적으로 떨어진 디자이너들간의 3D 모델에 관한 원활한 협업을 촉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증강현실 기반의 원격 3차원 디자인 협업 환경은 3D 모델의 공유를 위한 회전 원반(turntable)과 상대의 위치 및 제스처 정보를 제공하는 가상 그림자(virtual shadows)로 구성된다. 동시적으로 회전하는 회전원반은 물리적인 매개체로서 가상물체와 실제 세계를 자연스럽게 연결하는 동시에 상대의 실재감을 높인다. 가상그림자는 가상물체 주위로 보여지는 사람들의 손과 팔의 움직임을 시각화하여 공유하는 것으로, 상대의 위치뿐 아니라 지시, 제스처 등 행동에 대한 인식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게 한다. 프로토타입을 제작하고 사용자 평가 실험을 실시하여 3차원 모델을 검토하는 단계에 그 유용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데스크탑 환경의 모델링 툴에 익숙한 사용자들은 실제 공간에서 가상물체를 조작할 수 있음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고 회전원반과 가상그림자의 제공은 태스크 수행의 정확도를 높이며 협업을 촉진하는 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는 환경적 제약으로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했던 3D 모델에 관한 원격 협업에 의사소통의 장을 마련하고 이를 촉진시킨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본 환경에서 제시한 상대방과 협업대상물에 대한 심리적, 물리적 공유 감을 증대시키는 방법들은 3D 모델에 관한 디자인 협업에서 확장되어 다른 원격 협업을 지원하는 데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Agent-based Service Composition in Multi-party Collaboration Environments (다자간 협업 환경에서 에이전트 기반 서비스 합성)

  • Han, Sang-Woo;Kim, Jong-Won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CI
    • /
    • v.45 no.5
    • /
    • pp.74-84
    • /
    • 2008
  • To support advanced collaboration among knowledge workers distributed geographically, there have been extensive researches under the scope of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s. Especially, to cope with several known problems in traditional room-based collaboration environments such as uncomfortable sharing of visuals and documents and difficult operation of collaboration tools, several conceptual frameworks are designed and prototyped. Focusing on practical and interactive collaboration with remote nodes, in this paper, we conceptually design an agent-based service composition model for multi-party collaboration environments. The proposed model is designed to automatically discover and combine services to achieve given tasks in a collaboration environment by using high-level user commands (without the knowledge of internal architecture). Based on the service composition model, we develop a multi-agent-based management toolkit for multi-party collaboration environments. It provides easy-to-use GUI to operate various services in an environment and perform service composition algorithm to discover appropriate services and combine them.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the toolkit we implement collaboration services to support video conference by using the toolkit.

Customer Recommendation Using Customer Preference Estimation Model and Collaborative Filtering (선호도 추정모형과 협업 필터링기법을 이용한 고객추천시스템)

  • Sin, Taek-Su;Jang, Geun-Nyeong;Park, Yu-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teligent Information System Society Conference
    • /
    • 2005.11a
    • /
    • pp.407-414
    • /
    • 2005
  • 본 연구는 상품추천을 위해 필요한 고객선호도 추정모형을 제안하고, 이러한 선호도 추정결과에 따른 선호도 정보를 이용하여 궁극적으로 상품추천의 성과를 제고시키기 위한 방법을 제시하였다. 즉, 고객의 행동패턴만으로 고객의 제품선호도를 정확히 추정할 수 있는 새로운 선호도 추정모형을 제안하였다. 이 제안모형은 선호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의 상대적인 가중치를 학습을 통해 최적화시킴으로써, 보다 정확한 선호도 평가를 가능하게 해 주다. 한편, 이 모형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가상서점 고객들을 대상으로 고객선호도 정보를 수집한 후, 본 제안모형을 적용했을 때의 협업 필터링 성과와 단순선호도 계산식을 이용했을 경우의 성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이에 대한 실증분석결과는 본 제안모형을 적용했을 때의 협업 필터링 성과가 단순 선호도 모형을 적용했을 때의 성과보다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 Study on the Needs Analysis of University-Regional Collaborative Startup Co-Space Composition (대학-지역 연계 협업적 창업공간(Co-Space) 구성 요구도 분석)

  • Kim, In-Sook;Yang, Ji-Hee;Lee, Sang-Seub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8 no.1
    • /
    • pp.159-172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 collaborative start-up space(Co-Space) configuration plan in terms of university-regional linkage through demand analysis on the composition of university-regional linkage startup space.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for request analysis,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the t-test, The Lotus for Focus model. In addition, FGI was implemented for entrepreneurs, and the direction of the composition of the university-region Co-Space was derived from various aspe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necessity of university-community Co-Space, the necessity of opening up the start-up space recognized by local residents and the necessity of building the start-up space in the region were high. In addition, men recognized the need to build a space for start-ups in the community more highly than women did women. Second, as a result of analysis of demands for university-regional Co-Space, the difference between current importance and future necessity of university-regional Co-Spa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as a result of analysis on the composition of the startup space by cooperation between universities and regions, different demands were made for composition of the startup space considering openness and closeness, and for composition of the startup space size.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Spaces need to be constructed in conjunction with universities in accordance with the demands of start-up companies in the region by stage of development. Second, it is necessary to organize a customized Co-Space that takes into account the size and operation of the start-up space. Thir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experience-based open space for local residents in the remaining space of the university. Fourth,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Co-Space that enables an organic network between local communities, start-up investment companies, start-up support institutions, and start-up companie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posed the regional startup ecosystem and the cooperative start-up space structure for strengthening start-up sustainability through cooperation between universities and local commun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useful basic data for Co-Space construction to build a regional start-up ecosystem in a trend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start-up space, which is a major factor affecting start-up companies.

  • PDF

Performance Analysis on Collaborative Activities of Multidisciplinary Research in Government Research Institutes (국가 출연연구소의 협업적 융합연구 성과 분석)

  • Cho, Yong-rae;Woo, Chung-won;Choi, Jong-hwa
    •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 /
    • v.20 no.4
    • /
    • pp.1089-1121
    • /
    • 2017
  • 'Technological convergence' is the recent innovation trend which facilitates to solve social crux as well as to generate new industries. Korean government research institutes (GRIs) have taken a pivotal role for economic growth which capitalized on technology-oriented strategies. Recently, the policy interests on the transition of their role and mission towards multidisciplinary research organization is increasingly shed lights. This study regards the collaborative activities as one of the key success factors in the multidisciplinary research. In this sense, this study sets research purposes as follows: First, we intend to define a concept and to confine a scope of multidisciplinary research from the view point of R&D purposes and problem-solving process. Second, we categorize the collaboration and the relevant performances which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multidisciplinary research. Third, we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collaborative activities and the effects of strength on the research performances. To this end,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f 104 research project directors, which have experienced at least one of two types of multidisciplinary research projects through National R&D project or NST (National Research Council of Science & Technology) convergence research project. Then, we conducted regression analysis by utilizing the survey results in order to verify the relation between the collaborative activities and the performances. As results of analyses, first, the diversification of collaboration partners was a salient factor in the process of knowledge creation. Second, collective works among the researchers in similar area and domain enhanced mission-oriented technology development projects such as patent creation or technology transfer. Third, we verified that the diversity of created knowledge and the degree of relation continuity between researchers increased in the condition of guaranteeing individual researcher's independence and autonomy as well as sharing various technological capabilities. These results provide the future policy directions related to the methods to measure the collaboration and performance analysis for multidisciplinary research.

고객의 선호도 평가패턴을 이용한 선호도 예측 알고리즘의 성능개선 방안

  • Lee, Seok-Jun;Kim, Seon-Ok;Lee, Hui-Chun
    • 한국경영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6a
    • /
    • pp.149-152
    • /
    • 2008
  • 본 연구는 협업 추천 시스템에 적용되는 상품에 대한 고객의 선호도 예측 알고리즘 중 메모리기반 협업필터링 알고리즘의 선호도 예측 특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메모리기반의 협업필터링 알고리즘은 선호도 예측 대상 고객과 유사한 성향을 가질 것으로 예상되는 고객들의 선호도 평가를 기반으로 특정 상품에 대한 선호도 예측이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시스템을 이용하는 고객들과 선호성향이 다른 고객들은 선호도 예측 성과가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들이 추천시스템의 선호도 예측 정확도를 떨어뜨리는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객이 상품들에 평가한 선호도 평가의 패턴이 선호도 예측 정확도와 관련성이 높음을 보여 선호도 예측 알고리즘의 개선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고객의 선호도 평가 패턴은 과거 고객이 평가한 자료로부터 얻을 수 있는 사전정보로써 선호도 예측 알고리즘을 적용하기 이전에 이용할 수 있는 정보이다. 본 연구에서는 사전정보를 이용하여 고객의 선호도 예측 오차의 특성을 연구함으로써 이들의 선호도 예측 정확도를 개선시킬 수 있는 알고리즘의 보정방법에 대하여 연구한다. 알고리즘의 보정방법을 선호도 예측 이전에 고객의 선호도 평가 특성으로 판단하여 적용함으로써 사전정보를 이용한 선호도 예측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접근법은 기존의 이웃 구성의 접근법과 다른 방법을 취함으로써 알고리즘 개선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Cooperative Swimlane Workflow Modeling System Architecture (실시간 협업 지원 협동 스윔레인 워크플로우 모델링 시스템 아키텍처)

  • 이정훈;오동근;한승혁;김형목;원재강;김민홍;김광훈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04a
    • /
    • pp.563-565
    • /
    • 2003
  • 기업 업무의 절차와 규모가 복잡해지고 증가함에 따라 한 사람이 기업의 모든 업무 프로세스를 모델링하고 관리하는 것이 어려워지고 있다. 기존의 Workflow 모델링 방식은 프로세스 정의를 한 명(또는 소수)의 디자이너가 맡아 왔다. 그러나 스윔레인 같은 롤 기반의 프로세스 모델링은 각 롤에 해당하는 디자이너 그룹이 프로세스를 정의하기 때문에 모델링 작업을 단순화 시킬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워크플로우 모델링 방식과 다른 역할 기반의 스윔레인 모델링을 바탕으로 그룹웨어기술을 접목 시켜 기업의 업무 프로세스를 보다 효율적으로 정의할 수 있는 실시간 협업 지원 협동 스윔레인 워크플로우 모델링 시스템 아키텍처를 제시한다. 이벤트 방식의 화면 처리는 네트워크 트래픽 및 오버 헤드를 감소 시킬 수 있다. 또한 분리된 어플리케이션이 비동기적으로 신뢰성 있게 통신할 수 있도록 메시징 시스템을 도입하고, 협업간 투명성(Transparency)을 보장하는 가상 협업 서버 구조를 살펴 볼 것이다. 이러한 것들은 향후 분산환경으로의 발판을 이를 수 있다.

  • PDF

Detecting Collaborative fields Using Social Network (사회망을 이용한 이종간 협업분야 탐지 시스템)

  • Shin, Dong-Wook;Kang, Jin-Beom;Yang, Jae-Young;Choi, Joo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7.10c
    • /
    • pp.311-316
    • /
    • 2007
  • 인터넷의 발달과 기술의 발전으로 하루에도 많은 양의 정보가 생성된다. 정보의 양과 기술 발전 속도의 급격한 증가에 의해 연구자들은 자신의 연구분야의 최근 동향 및 신기술에 대한 적합한 정보를 얻기가 어려워지고 있다. 연구자들은 수시로 자신 연구분야의 최근 동향 및 신기술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최근에는 특정분야의 기술이 다른 분야에서도 적용되는 협업분야가 증가함으로써 협업분야의 탐지도 중요시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사회망을 이용하여 저자들간의 관계성을 알아내고, 궁극적으로 관계성을 이용하여 협업분야를 탐지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 PDF

Book recommendation system using collaborative filtering and opinion mining (오피니언 마이닝과 협업필터링을 이용한 도서 추천시스템)

  • Yoon, Won-Tak;Park, Doo-Soon
    • Annual Conference of KIPS
    • /
    • 2018.05a
    • /
    • pp.504-507
    • /
    • 2018
  • 빅데이터가 일상이 된 현대 사회에서 책 시장의 증가와 책 양의 증가로 인하여 책을 개인에 맞게 선택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그래서 개인 맞춤 추천 시스템이 필요하다. 개인 맞춤 추천 시스템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법은 협업 필터링 방법이 있다. 협업 필터링은 희박성 문제를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협업 필터링 방법에 희박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지역, 나이, 성별, 장르 등 개인 성향을 이용하고, 기존의 책 리뷰를 오피니언 마이닝 기법을 적용하여 개인 맞춤형 도서를 추천하는 추천시스템을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