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협업 능력

Search Result 187,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Study on Extraction of Sub-element and Construction of System Model for the Technological Communication Skills (기술적 의사소통능력의 하위요소 추출과 체제모형 구축)

  • Kim, Ju Hyun;Lee, Yong Jin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v.40 no.1
    • /
    • pp.105-120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tract of Sub-elements of technological communication skills and to construct of a system model.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of the study, it was carried out in two steps: (1)Extraction sub-elements and definitions of technological communication skills, (2)Development of a system model of technological communication skills. Obtained conclusions by the proces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sub-elements of the technological communication skills were extracted and they were images, sketches, flowcharts, drawings, prototyping, symbols tables graphs and presentations. Second, using the 'technological communication tools' based on the "collaborative activities in online and offline', technological communication skills were defined as communication skills to be raised through the process of 'Idea through the Communication', 'Realization through the Communication', 'Wrap up through the Communication'. Third, technological communication skills were described as the system, in which 'Idea through the Communication(images, sketches, flowcharts)', 'Realization through the Communication(design, prototyping)', 'Wrap up through the Communication(symbol table graph, presentation)' were collaboratively activated. Fourth, checking tool for the technological communication skills was developed, based on checking tool for the existing communication skills and system model for technological communication skills. And it was improved by the expert validity test.

An exploratory study on the collaboration mechanism in project-based business : focused on supply chain institutions and operational efficiency (프로젝트형 사업에서 협업기제에 대한 탐색적 연구 : 공급망 제도와 운영효율성을 중심으로)

  • Cho, Namhyung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0 no.10
    • /
    • pp.173-183
    • /
    • 2019
  • The purpose of research is to explore the direction of building a collaborative supply chain, which may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firms and their project-based supply chain. Large-scale plants or large-scale buildings construction is referred to as a EPC project. To identify a collaboration mechanism in the project-based supply chain, the empirical research was conducted on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absorption capacity of firms participating in the EPC project, the incentive norms, the goal congruence with supply chain, and the ability of respond to changes of the task of supply chain. PLS-SEM was used as an analysis method to verify the research model.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will help inform the need for SCM, the importance of the incentive norms and the goal congruence in the supply chain of EPC project.

제벤처생태계 개념통합형 기초공통교육 모델화 연구

  • Park, U-Hui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6.04a
    • /
    • pp.67-69
    • /
    • 2016
  • 이 연구는 경영학과 MBA교육과정이 세상의 모든 제품과 기업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듯이, 세상의 어떤 분야의 제품이든 그 시작인 한 개 착안에서부터 시장력 확보를 위해 시도 되는 도전행위의 매개인 모든 착안과 아이디어가 기업이 되는 과정인 제벤처행위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학문이 될, MVA(PH-MVA, master of venture arming, 벤처무장학)학의 개념적 모델링의 시작에 필요로하는 정의론과 개념론으로, MBA에 있어 경영학원론이 개론화되듯, MVA에 있어 그 개론서가 될 벤처학원론서 설계에 있어서의 시작인 1편 기초론을 구성하는 내용을 벤처창업이나 기업의 신제품개발 부서에의 취업을 희망하는 학생들과 제벤처 생태계의 모든 직간접 관련 직무자 들이 공통적으로 무장하면 벤처적 행위에 필요로하는 여러 가지 직무자들 같이 소통력은 물론 직무매칭력 등의 분업 협업력이 매우 높아 질 것이라는 주장을 바탕으로한다. 그리고 제시하는 정의와 개념을 제벤처 생태계 전체의 표준으로 참고 삼아, 누구의 어떤 모델이든, 창조경제의 일부로서 미생들의 벤처(창업, 기업만들기 도전)행위나 완생기업들의 신제품개발 모두에 두루 적용 될 수 있는, 누구나가 이해, 공감, 교감, 습득이 용이한 벤처학 개발이 왕성하게 활성화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곧 창조경제 활성화를 위한 학자들의 사명이자 새로운 성장동력 모델의 발굴이기도하다는 측면에서의 동참이 될 수 있기를 바라는 마음이다. 아울러, 이러한 정의와 개념을 바탕으로 전개되어, 벤처생태계 전반에서 수행 될 교육이 개인들의 창업(기업만들기)을 목표로하는 공부가 되기도하고 연장에, 완생기업들이 필요로하는 신제품개발에 있어서의 기본적인 능력과 자질을 갖춘 인재선발적 취업준비공부도 될 수 있는 통합적 교육이되어야한다는 취지를 가지고있다. 또 연구를 통해 제벤처(기업의 신제품개발 도전협업행위 포함) 생태계에서의 직무자들의 직무매칭력 및 협업행위에 있어서의 다양한 용어와 정의와 개념들의 제각각으로 부터 발생되는 상치(相馳, 제각각, 불통, 협업마찰, 대립, 갈등, 등)력을 해소하는 것이 역설적으로 협업력을 최적으로 활성화 할 수 있다는 사실을 모두가 인지, 수용토록 하고자 함을 목적으로한다. 이러한 연구를 전벤처단계의 벤처기초학을 바탕으로하는 제벤처생태계 개념을 일원화 통합화하는 연장에 전개되는 공통무장교육 모델화를 목적으로한다.

  • PDF

A Design and Implements of CPP/CPA Editing System based on ebXML (ebXML의 CPP/CPA 편집 시스템 설계 및 구현)

  • 최종근;김창수;정회경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 /
    • v.6 no.5
    • /
    • pp.928-936
    • /
    • 2003
  • In terms of B2B, business partners require works that define 1h13ir ability to operate business collaboration. The document outlining collaboration is the basis of improving the system of business partner and its interoperability. In addition, the definition of business interaction that is based on the documents demonstrating inter-cooperation of business companies is needed to function interoperability properly, and business trading is performed depending on the documents that define reciprocal action of collaboration. In ebXML, CPP(Collaboration-Protocol Profile) defines one business partner's technical capabilities to engage in electronic business collaborations with other partners by exchanging electronic messages. A CPA(Collaboration-Protocol Agreement) documents the technical agreement between two partners to engage in electronic business collaboration. In this paper, I draw up a plan for a composer system that deals with business collaboration document to ameliorate the interoperability of B2B companies.

  • PDF

SW Education Program using Pair Programming Collaboration Tools (짝프로그래밍 협업도구를 활용한 SW교육프로그램)

  • Kim, Yong-Ok;Chun, Seok-Ju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 /
    • v.23 no.4
    • /
    • pp.375-384
    • /
    • 2019
  • In a rapidly changing society with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future students should have the skills to utilize and organize high-quality knowledge, not the amount of knowledge. With the launch of the revised curriculum in 2015, the curriculum has been reorganized based on competency and the software education has been seeking capabilities such as 'Cultural computing knowledge', 'Computational thinking', and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skills'. Therefore, practical collaboration tools and education programs that can be used in the field of education are developed based on Pair Programming, which is a specific collaborative learning strategy to develop cooperative problem solving skill. The educational program using this collaboration tool was developed with a focus on developing computational thinking and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skills through Pair Programming rather than focusing on learning grammar of programming language and programming techniques. In a educational program, students will be able to use collaborative tools for pair programming and foster collaborative problem-solving skills.

Tabletop Collaborative Game Design based on Inclusive Education Methodology (통합 교육 방법론에 기반한 테이블탑 협업 게임 디자인)

  • Im, Seunghyen;Kim, Hyoungnyoun;Park, Ji-Hyung
    • Journal of the HCI Society of Korea
    • /
    • v.9 no.2
    • /
    • pp.61-68
    • /
    • 2014
  • Tabletop games have been applied to improve the ability of social collaboration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that more than two people simultaneously interact on the tabletop. Especially, the tabletop games can be used as an educational tool for children with autism when it is implemented by considering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odels for children's behavioral characteristics. However, the previous collaborative games were designed for only disabled children so that it is hard to reflect cognitive and humanistic effects in inclusive education, where disabled children and non-disabled children interact in a same spatiotemporal environment. In this paper, therefore, we design a collaborative game on a multi-touch tabletop to enable spontaneous communication between disabled children and non-disabled children. Through user study, we evaluate the improvement in terms of the positive interaction and the degree of attention by comparing with a conventional collaborative game(e.g., a board game). We found that negative interaction including disabled children's abnormal behavior decreased and positive interaction such as body gestures and verbal communications increased. In addition, the tabletop game supported high immersiveness to all children by deriving equal level of attention time including individual and joint attention. We anticipate that the proposed game design can be utilized to develop collaborative contents for people with differences on sociality and cognitive ability.

Interdisciplinary Approach to Healthcare Design Project: Exploring Designer's Role in Collaborative Settings (학제간 접근법을 통한 헬스케어 디자인 프로젝트: 협업 환경에서 디자이너의 역할에 대한 연구)

  • Kim, Seoyoung;Nah, Ke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9 no.3
    • /
    • pp.353-361
    • /
    • 2021
  • As demands for health and wellbeing in the ageing society have grown, complex problems involving diverse stakeholders arise in the healthcare environmen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roles and abilities of designers in a healthcare setting where professionals from different disciplines collaborate to achieve a common goal. Case studies on healthcare design projects adapting interdisciplinary approach were explored to find which methods and processes were implemented effectively. Results are based on three research questions that lead to analyzing multifaceted roles of designers regarding process facilitation, manage relations, visualization, and imagination.

Innovative Paradigm for Quality Improvement of Architectural Design (설계품질 향상을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3))

  • Jeon, Han-Jong
    • Korean Architects
    • /
    • no.1 s.465
    • /
    • pp.70-75
    • /
    • 2008
  • 국내 건축설계분야는 건설산업의 성장과 함께 양적인 팽창을 하였으나 질적인 문제에 있어서의 국제적인 경쟁력은 낮은 수준에 머물고 있다. 왜곡된 발주 시스템은 능력있는 건축사의 시장참여를 원척적으로 차단하고 있으며, 아직도 많은 설계도서가 하청을 통해 생산되고 있고, 각 분야 간의 느슨한 협업시스템으로 인해 검토되지 않은 설계도서들이 현장에서 설계도면간의 불일치나 비기능적, 비경제적인 설계를 초래함으로서 결과적으로 건설산업 전체의 경쟁력을 약화시키는 원인을 제공하고 있다. 시공업체 중심으로 고착화 되어있는 국내 건설산업의 특성도 설계나 엔지니어링업계의 발전을 저해하는 장애요인이라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국가 건설정책의 초점은 시공분야에 맞추어져 있고, 창조성을 바탕으로 한 고부가가치 산업인 설계나 엔지니어링 분야는 상대적으로 위축되는 상황을 초래하고 있다. 이러한 건설산업의 구도가 지속될 경우, 종국에는 설계나 엔지니어링업체가 시공업체에 종속되어 우리나라 설계분야의 전문화 및 설계 경쟁력은 상실되고 말 것이다. 대한건축시험회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2006년 '건축설계업 발전 종합방안 연구'를 추진하기도 하였다. 필자는 국내 건설.건축산업에 대한 거시적인 관점에서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해결방안을 제안하기 보다는 건축설계분야의 문제점 즉, 설계경쟁력 약화, 느슨한 협업시스템 그리고 이에 따른 건축설계품질의 저하를 다른 관점에서 바라보고자 한다.

  • PDF

nnovative Paradigm for Quality Improvement of Architectural Design (설계품질 향상을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2))

  • Jeon, Han-Jong
    • Korean Architects
    • /
    • no.12 s.464
    • /
    • pp.64-68
    • /
    • 2007
  • 국내 건축설계분야는 건설산업의 성장과 함께 양적인 팽창을 하였으나 질적인 문제에 있어서의 국제적인 경쟁력은 낮은 수준에 머물고 있다. 왜곡된 발주 시스템은 능력있는 건축사의 시장참여를 원척적으로 차단하고 있으며, 아직도 많은 설계도서가 하청을 통해 생산되고 있고, 각 분야 간의 느슨한 협업시스템으로 인해 검토되지 않은 설계도서들이 현장에서 설계도면간의 불일치나 비기능적, 비경제적인 설계를 초래함으로서 결과적으로 건설산업 전체의 경쟁력을 약화시키는 원인을 제공하고 있다. 시공업체 중심으로 고착화 되어있는 국내 건설산업의 특성도 설계나 엔지니어링업계의 발전을 저해하는 장애요인이라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국가 건설정책의 초점은 시공분야에 맞추어져 있고, 창조성을 바탕으로 한 고부가가치 산업인 설계나 엔지니어링 분야는 상대적으로 위축되는 상황을 초래하고 있다. 이러한 건설산업의 구도가 지속될 경우, 종국에는 설계나 엔지니어링업체가 시공업체에 종속되어 우리나라 설계분야의 전문화 및 설계 경쟁력은 상실되고 말 것이다. 대한건축시험회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2006년 '건축설계업 발전 종합방안 연구'를 추진하기도 하였다. 필자는 국내 건설.건축산업에 대한 거시적인 관점에서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해결방안을 제안하기 보다는 건축설계분야의 문제점 즉, 설계경쟁력 약화, 느슨한 협업시스템 그리고 이에 따른 건축설계품질의 저하를 다른 관점에서 바라보고자 한다.

  • PDF

Innovative Paradigm for Quality Improvement of Architectural Design (설계품질 향상을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3))

  • Jeon, Han-Jong
    • Korean Architects
    • /
    • no.3 s.467
    • /
    • pp.63-66
    • /
    • 2008
  • 국내 건축설계분야는 건설산업의 성장과 함께 양적인 팽창을 하였으나 질적인 문제에 있어서의 국제적인 경쟁력은 낮은 수준에 머물고 있다. 왜곡된 발주 시스템은 능력있는 건축사의 시장참여를 원척적으로 차단하고 있으며, 아직도 많은 설계도서가 하청을 통해 생산되고 있고, 각 분야 간의 느슨한 협업시스템으로 인해 검토되지 않은 설계도서들이 현장에서 설계도면간의 불일치나 비기능적, 비경제적인 설계를 초래함으로서 결과적으로 건설산업 전체의 경쟁력을 약화시키는 원인을 제공하고 있다. 시공업체 중심으로 고착화 되어있는 국내 건설산업의 특성도 설계나 엔지니어링업계의 발전을 저해하는 장애요인이라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국가 건설정책의 초점은 시공분야에 맞추어져 있고, 창조성을 바탕으로 한 고부가가치 산업인 설계나 엔지니어링 분야는 상대적으로 위축되는 상황을 초래하고 있다. 이러한 건설산업의 구도가 지속될 경우, 종국에는 설계나 엔지니어링업체가 시공업체에 종속되어 우리나라 설계분야의 전문화 및 설계 경쟁력은 상실되고 말 것이다. 대한건축시험회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2006년 '건축설계업 발전 종합방안 연구'를 추진하기도 하였다. 필자는 국내 건설.건축산업에 대한 거시적인 관점에서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해결방안을 제안하기 보다는 건축설계분야의 문제점 즉, 설계경쟁력 약화, 느슨한 협업시스템 그리고 이에 따른 건축설계품질의 저하를 다른 관점에서 바라보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