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협업제품개발

Search Result 90,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Product Data Interoperability based on Layered Reference Ontology (계층적 참조 온톨로지 기반의 제품정보 간 상호운용성 확보)

  • Seo, Won-Chul;Lee, Sun-Jae;Kim, Byung-In;Lee, Jae-Yeol;Kim, Kwang-Soo
    • The Journal of Society for e-Business Studies
    • /
    • v.11 no.3
    • /
    • pp.53-71
    • /
    • 2006
  • In order to cope with the rapidly changing product development environment, individual manufacturing enterprises are forced to collaborate with each other through establishing a virtual organization. In collaboration, designated organizations work together for mutual gain based on product data interoperability. However, product data interoperability is not fully facilitated due to semantic inconsistency among product data models of individual enterprises. In order to overcome the semantic inconsistency problem, this paper proposes a reference ontology, Reference Domain Ontology(RDO), and a methodology for product data interoperability with semantic consistency using RDO. RDO describes semantics of product data model and metamodel for all application domains in a virtual organization. Using RDO, application domains in a virtual organization can easily understand the product data models of others. RDO is agile and temporal such that it is created with the formation of a virtual organization, copes with changes of the organization, and disappears with the vanishment of the organization. RDO is built by a hybrid approach of top-down using a upper ontology and bottom-up based on the merging of ontologies of application domains in a virtual organization. With this methodology, every domain in a virtual organization can achieve product data model interoperability without model transformation.

  • PDF

Collaborative Maintenance Simulation System Using Virtual Mockup (가상목업을 활용한 협업 정비 시뮬레이션 시스템)

  • Lee, Jun-Kyu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 /
    • v.15 no.1
    • /
    • pp.148-165
    • /
    • 2012
  • Applying maintenance simulation using virtual mockup in product design phase enables maintainability test before prototyping physical products, and it is expected to reduce product development costs. The simulation results can be reused as contents of service manuals and RAM (Reliability, Availability, Maintainability) analysis data. Maintenance simulation should provide realistic representation of physical property of virtual product, assembly relation between parts and manipulation process to verify feasibility of product design. The simulation system should be extended to collaborative virtual environment to perform collaborative maintenance procedures. In this paper, the three layered system architecture and the physics based collaborative interaction technique are proposed to extend current maintenance simulation into collaborative virtual environment. The proposed system was implemented as ViMMS (Virtual Mockup Maintenance Simulation system), and compared with case study results of VADE (Virtual Assembly Design Environment). As a result, the ViMMS encompassed broader range of maintenance tasks by using physics based collaborative interaction technique.

제벤처생태계 개념통합형 기초공통교육 모델화 연구

  • Park, U-Hui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6.04a
    • /
    • pp.67-69
    • /
    • 2016
  • 이 연구는 경영학과 MBA교육과정이 세상의 모든 제품과 기업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듯이, 세상의 어떤 분야의 제품이든 그 시작인 한 개 착안에서부터 시장력 확보를 위해 시도 되는 도전행위의 매개인 모든 착안과 아이디어가 기업이 되는 과정인 제벤처행위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학문이 될, MVA(PH-MVA, master of venture arming, 벤처무장학)학의 개념적 모델링의 시작에 필요로하는 정의론과 개념론으로, MBA에 있어 경영학원론이 개론화되듯, MVA에 있어 그 개론서가 될 벤처학원론서 설계에 있어서의 시작인 1편 기초론을 구성하는 내용을 벤처창업이나 기업의 신제품개발 부서에의 취업을 희망하는 학생들과 제벤처 생태계의 모든 직간접 관련 직무자 들이 공통적으로 무장하면 벤처적 행위에 필요로하는 여러 가지 직무자들 같이 소통력은 물론 직무매칭력 등의 분업 협업력이 매우 높아 질 것이라는 주장을 바탕으로한다. 그리고 제시하는 정의와 개념을 제벤처 생태계 전체의 표준으로 참고 삼아, 누구의 어떤 모델이든, 창조경제의 일부로서 미생들의 벤처(창업, 기업만들기 도전)행위나 완생기업들의 신제품개발 모두에 두루 적용 될 수 있는, 누구나가 이해, 공감, 교감, 습득이 용이한 벤처학 개발이 왕성하게 활성화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곧 창조경제 활성화를 위한 학자들의 사명이자 새로운 성장동력 모델의 발굴이기도하다는 측면에서의 동참이 될 수 있기를 바라는 마음이다. 아울러, 이러한 정의와 개념을 바탕으로 전개되어, 벤처생태계 전반에서 수행 될 교육이 개인들의 창업(기업만들기)을 목표로하는 공부가 되기도하고 연장에, 완생기업들이 필요로하는 신제품개발에 있어서의 기본적인 능력과 자질을 갖춘 인재선발적 취업준비공부도 될 수 있는 통합적 교육이되어야한다는 취지를 가지고있다. 또 연구를 통해 제벤처(기업의 신제품개발 도전협업행위 포함) 생태계에서의 직무자들의 직무매칭력 및 협업행위에 있어서의 다양한 용어와 정의와 개념들의 제각각으로 부터 발생되는 상치(相馳, 제각각, 불통, 협업마찰, 대립, 갈등, 등)력을 해소하는 것이 역설적으로 협업력을 최적으로 활성화 할 수 있다는 사실을 모두가 인지, 수용토록 하고자 함을 목적으로한다. 이러한 연구를 전벤처단계의 벤처기초학을 바탕으로하는 제벤처생태계 개념을 일원화 통합화하는 연장에 전개되는 공통무장교육 모델화를 목적으로한다.

  • PDF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매장 추천을 위한 추천시스템 개발

  • Kim, Jae-Gyeong;Chae, Gyeong-Hui
    • Proceedings of the Korea Inteligent Information System Society Conference
    • /
    • 2007.05a
    • /
    • pp.246-254
    • /
    • 2007
  • 최근 유비쿼터스 환경이 대두됨에 따라 정보의 밀도가 높아지고 있으며, 기업에서는 고객이 제품을 구매함과 동시에 고객의 정보를 저장하여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와 같은 환경은 고객의 요구사항을 사전에 미리 파악하여 적절한 시점과 상황에 맞는 정보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추천시스템에 대한 필요성을 증대시켰으며, 다양한 영역에서 추천시스템과 관련된 연구들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지금까지의 추천시스템은 주로 제품 중심으로 논의되어 왔으나, 유비쿼터스 시장 환경에서는 매장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게 되었다. 이는 고객이 다양한 매장을 방문할 수 있으며, 동일한 제품이라도 여러 매장에 동시에 존재할 수 있고, 매장 간의 동선이나 매장의 위치 및 분위기, 제품의 품질이나 가격 등에 대한 개인 선호도에 따라 같은 제품이라도 선호하는 매장은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객의 선호도를 기반으로 유비쿼터스 시장 환경에 적합한 매장 추천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매장 추천시스템은 협업 필터링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Apriori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관련성이 높은 매장들의 집합을 찾아 추천한다. 이 시스템은 기업보다는 고객 중심의 서비스를 제공해 줌으로써 고객의 쇼핑 효율성을 제고시킬 뿐 아니라 장기적인 관점에서 시장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A Study on Project Management and Collaboration in Ubiquitous Multi-Project Environment based on Agile Methodology (애자일 기반의 유비퀴터스 다중 프로젝트 관리 및 협업)

  • Lee, Jihyun;Hur, Sung 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9.11a
    • /
    • pp.843-844
    • /
    • 2009
  • 유비퀴터스 멀티 프로젝트 환경에서 프로젝트 팀은 프로젝트 결과를 얻기 위해 필요한 업무를 도출하여 실행한다. 이를 위해 실질적인 팀 관리 및 요구 사항 정제가 이뤄져야 성공적인 제품 출시로 연결될 수 있다. 프로젝트 관리에서 중요한 부분은 프로젝트 진행 사항에 대한 가시적인 조회와 평가가 중요하다. 그러기 위해서는 협업과 공동 책임 업무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 이 논문에서 애자일 개발 방법론에 기반한 프로젝트 관리 및 협업 지원 방법 및 시스템을 제안한다.

Development of Multi-person remote collaboration system using WebRTC for fields adaptation (WebRTC를 이용한 현장 적응형 다자간 원격협업 시스템 개발)

  • Lee, Kwanhee;Kim, Ji-In;Kwon, Goo-Rak
    • Smart Media Journal
    • /
    • v.10 no.4
    • /
    • pp.9-14
    • /
    • 2021
  • In the case of the existing remote collaboration, the remote support service-oriented system is not suitable for the use of the field-oriented multi-person remote collaboration system. This paper is a remote collaboration system development for various industrial sites. We develop remote support and work management that faces the various needs of industrial sites, real-time video remote support between workers, and real-time voice work sharing between workers. In addition, The goal of the development aims to increase the usability by strengthening the security function through encryption in the video and to develop a more efficient system. Finally, the development contents are the remote management and the support software development, Android app development for worker, WebRTC-based remote collaboration system construction and development, and prototype development. These products are expected to increase demand and increase sales by installing and operating at industrial sites, and can promote manpower training, understanding trending technologies, and improving capabil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