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협약 개발

Search Result 357,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Design of VoIP architecture based on SIP for efficient media negotiation (효율적인 미디어 협약을 위한 SIP 기반의 VoIP 아키텍쳐의 설계)

  • 백상헌;최양희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10c
    • /
    • pp.388-390
    • /
    • 2001
  • 인터넷을 통해 음성 서비스를 가능하도록 해주는 VoIP (Voice over IP) 기술은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술과 결합하여 차세대 이동 통신망에서 핵심적인 서비스로 발전할 것이다. 하지만 차세대 이동 통신망에서는 다양한 단말기와 엑세스망 기술이 지원될 것이기 때문에 서로 다른 통신 능력을 가진 사용자 사이에서 직접적인 세션 설정이 불가능한 다양성의 문제(Diversity Problem)가 발생할 것이다. 이러한 다양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미디어 협약 (Media Negotiation)이라고 하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기존의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기반의 VoIP 시스템에서는 이미 미디어 협약 과정이 정의되어 있지만 많은 세션 설정 시간이 소비되는 단점이 있다. 본 고에서는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여 효과적인 미디어 협약이 가능하도록 해주는 SIP 기반 의 새로운 VoIP 아키텍쳐를 제안한다. 개선된 YoIP 아키텍쳐는 기존의 아키텍쳐 상의 지역 도메인 내의 기존 요소를 확장하여 구현 가능하기 때문에 높은 상호 호환성과 개발의 용이성을 지닌다. 이러한 새로운 VoIP 아키텍쳐의 구현을 통한 세션 시간 측정 결과 기존의 아키텍쳐에 비해 50%이상의 세션 설정 시간이 단축됨을 알 수 있었다.

  • PDF

자율운항선박 운용을 위한 해사법 검토작업 연구

  • 곽연민;김거화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06a
    • /
    • pp.179-181
    • /
    • 2022
  • 해양산업 전반에 디지털라이제이션이 도입됨에 따라 새로운 기술이 선박, 항만에 가빠르게 적용되고 있다. 국제해사기구 IMO 에서도 새로운 기술변화에 빠르게 대응하기 위해서 2017년부터 규정검토작업을 착수 하였으며 최근 MSC105차 회의에서 자율운항선박 협약개발을 위한 로드맵(안)이 승인 되었다. 우리나라를 비롯해서 다수의 국가에서 자율운항선박 테스트를 위해 시험구역을 설정하고 있지만 실질적인 시험을 위해서는 현재 운영되고 있는 선박과 안전하게 운용될 수 있는지에 대한 실증시험이 필요로 하다. 하지만 우리나라 해사관련 법은 IMO 협약을 수용하는 체계를 가지고 있어 국제협약의 개정 없이 자율운항선박이 기존 선박과 함께 운용되는 것은 쉽지 않다. IMO 에서도 구체적인 협약의 구성이 완료됨이 예상되기 때문에 우리나라도 해사 관련법 검토를 통해 주요 이슈에 대해 분석하고 향후 개정방안에 대한 논의가 요구된다.

  • PDF

안전한 자율운항선박 운용을 위한 기능요건 및 기준 개발 기초연구

  • 박혜리;박한선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3.05a
    • /
    • pp.215-216
    • /
    • 2023
  • 자율운항선박은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핵심기술인 사물인터넷과 빅데이터, 인공지능 등이 집약된 미래 고부가가치 선박으로 주목 받고 있으며, 자율운항선박의 도입 및 상용화를 위한 국제적 제도 검토 작업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국제해사기구(IMO)는 2017년부터새로운 용어 정립과 함께 기존 협약 규정식별작업(RSE)을 수행했다. 그 결과 기존 협약의 개정과 함께 자율운항선박 운항을 위한 새로운 규정 개발 필요성을 인식하고, 지난해 4월 '자율운항선박 코드(MASS Code)' 개발 로드맵 개발과 함께 세부 기준 개발 작업을 본격화했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 국제해사기구(IMO)에서 개발 중인 자율운항선박 코드를 기반으로 안전한 자율운항선박 운용을 위한 기능요건을 분석하고 세부 기준 및 방향을 제시했다.

  • PDF

A Study on IMO's Progress for Entry into Force of 1993 Torremolinos Protocol(III) (1993 토레몰리노스 의정서의 발효를 위한 IMO의 논의사항(III))

  • Yoo, Young-Jong;Na, Hyoung-Jin
    • Journal of Korea Ship Safrty Technology Authority
    • /
    • s.31
    • /
    • pp.4-13
    • /
    • 2011
  • 어선 안전에 관한 최초의 국제 협약인 1977 어선안전을 위한 토레몰리노스 국제협약(77 협약)을 대체한 1993 토레몰리노스 의정서(93 의정서)는 현재 그 발효요건이 충족되지 못하여 전 세계적으로 발효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국제해사기구(IMO)는 93 의정서의 요건을 완화하여 각 국의 비준을 촉진시킬 목적으로 "1993 토레몰리노스 의정서 시행에 관한 협정"의개발을 해당 전문위원회인 복원성, 만재흘수선, 어선안전 전문위원회의 우선과제로 추진하고 있고, 제53차 회의(SLF 53, 2011. 1월)까지 동 협정 또는 총회결의의 초안 작업을 완료하여, 최종적으로 제27차 IMO 총회(2011. 11월)에서 이를 채택할 계획으로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국제적인 움직임에 대응하고 동 의정서의 발효에 대비하여 우리나라에 미치는 파급효과를 최소화하기 위한 활동의 일환으로 공단이 수행한 "농림수산식품부의 2010년 수산기술개발사업"인 "1993 토레몰리노스 의정서 시행에 관한 협정 개발 대응연구"의 일부로써, 본 연구는 "선박안전" 제29호 및 제30호에 게재된 "1993 토레몰리노스 의정서의 시행에 관한 IMO의 활동"에 이어 최근 IMO의 회의 결과를 담고 있다.

  • PDF

Perspectives on Solar Energy Development in the Age of Climate Change Convention (기후변화협약 시대의 태양에너지 개발 전망)

  • Hong, Wuk-Hee
    • Solar Energy
    • /
    • v.18 no.1
    • /
    • pp.3-18
    • /
    • 1998
  • Since entered into force in 1994, 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UNFCCC) would require all the member nations to adopt national programme for mitigating climate change and industrialized countries to undertake specific commitments of carbon dioxide emission reduction. Considering all the situation, it may be safe to assume that Korea would undertake such commitment early in the next century. Unfortunately, however, we are in the position that is very disadvantageous in preparing national strategies for carbon dioxide reduction mainly due to our rigid energy-intensive economic structure and poor geographic conditions. Solar energy is regarded as most available renewable energy resource in Korea and hence development of solar energy technology would serve as one of most effective alternatives for energy conservation and renewable energy utilization. In this regard, the presenting paper discuss the perspectives on solar energy development in relation to carbon dioxide reduction strategies. Such technologies of solar cell mass production and solar heating were considered to be most advantageous among many solar energy solutions discussed in this paper.

  • PDF

선박평형수 처리기술 개발방향

  • Choe, Won-Jin;Jeon, Seung-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8.05a
    • /
    • pp.187-188
    • /
    • 2018
  • 2004년 체결된 평형수관리협약은 2016년 9월 비준되어 2017년 발효 예정이었다. 그러나 발효 직전, 물리적으로 모든 선박에 평형수 처리장치를 설치하기 어렵다는 의견에 따라 2년 유예되었다. 따라서 수만 척의 선박은 2024년까지 평형수 처리장치를 설치해야 하며, 해당 시장의 규모는 약 40조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 개발한 현재 평형수 처리장치는 IMO 형식승인을 받은 제품만 있을 뿐 USCG 형식승인을 받은 제품이 없어 평형수 처리시장을 선점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USCG 성능기준을 만족하는 평형수 처리기술 개발을 위하여 IMO와 USCG 성능기준의 차이를 비교하고, 현재 사용되고 있는 선박평형수 처리장치의 국내 및 세계 기술 수준을 비교 분석하여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 및 이산화티타늄을 이용한 평형수 처리장치 개발방향을 제시한다.

  • PDF

An Examination into the Illegal Trade of Cultural Properties (문화재(文化財)의 국제적 불법 거래(不法 去來)에 관한 고찰)

  • Cho, Boo-Keun
    • Korean Journal of Heritage: History & Science
    • /
    • v.37
    • /
    • pp.371-405
    • /
    • 2004
  • International circulation of cultural assets involves numerous countries thereby making an approach based on international law essential to resolving this problem. Since the end of the $2^{nd}$ World War, as the value of cultural assets evolved from material value to moral and ethical values, with emphasis on establishing national identities, newly independent nations and former colonial states took issue with ownership of cultural assets which led to the need for international cooperation and statutory provisions for the return of cultural assets. UNESCO's 1954 "Convention for the Protection of Cultural Property in the Event of Armed Conflict" as preparatory measures for the protection of cultural assets, the 1970 "Convention on the Means of Prohibiting and Preventing the Illicit Import and Transfer of Ownership of Cultural Property" to regulate transfer of cultural assets, and the 1995 "Unidroit Convention on Stolen or Illegally Exported Cultural Objects" which required the return of illegally acquired cultural property are examples of international agreements established on illegal transfers of cultural assets. In addition, the UN agency UNESCO established the Division of Cultural Heritage to oversee cultural assets related matters, and the UN since its 1973 resolution 3187, has continued to demonstrate interest in protection of cultural assets. The resolution 3187 affirms the return of cultural assets to the country of origin, advises on preventing illegal transfers of works of art and cultural assets, advises cataloguing cultural assets within the respective countries and, conclusively, recommends becoming a member of UNESCO, composing a forum for international cooperation. Differences in defining cultural assets pose a limitation on international agreements. While the 1954 Convention states that cultural assets are not limited to movable property and includes immovable property, the 1970 Convention's objective of 'Prohibiting and preventing the illicit import, export and transfer of ownership of cultural property' effectively limits the subject to tangible movable cultural property. The 1995 Convention also has tangible movable cultural property as its subject. On this point, the two conventions demonstrate distinction from the 1954 Convention and the 1972 Convention that focuses on immovable cultural property and natural property. The disparity in defining cultural property is due to the object and purpose of the convention and does not reflect an inherent divergence. In the case of Korea, beginning with the 1866 French invasion, 36 years of Japanese colonial rule, military rule and period of economic development caused outflow of numerous cultural assets to foreign countries. Of course, it is neither possible nor necessary to have all of these cultural properties returned, but among those that have significant value in establishing cultural and historical identity or those that have been taken symbolically as a demonstration of occupational rule can cause issues in their return. In these cases, the 1954 Convention and the ratification of the first legislation must be actively considered. In the return of cultural property, if the illicit acquisition is the core issue, it is a simple matter of following the international accords, while if it rises to the level of diplomatic discussions, it will become a political issue. In that case, the country requesting the return must convince the counterpart country. Realizing a response to the earnest need for preventing illicit trading of cultural assets will require extensive national and civic societal efforts in the East Asian area to overcome its current deficiencies. The most effective way to prevent illicit trading of cultural property is rapid circulation of information between Interpol member countries, which will require development of an internet based communication system as well as more effective deployment of legislation to prevent trading of illicitly acquired cultural property, subscription to international conventions and cataloguing collections.

Development of National Emission Inventories for Persistent Organic Pollutants (Unintentionally Formed PCBs, HCB and PAHs) (국내 잔류성유기오염물질(Persistent Organic Pollutants) 배출목록 개발 - 부산물 PCBs, HCB, PAHs를 중심으로 -)

  • 조규탁;이동수;이지윤;김경미;이지은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11a
    • /
    • pp.221-222
    • /
    • 2003
  • 잔류성유기오염물질(Persistent Organic Pollutants, 이하 POPs)은 환경에 노출되면 장기간 잔류하면서 인체 및 생태계에 악영향을 끼치며 또한 장거리 이동하는 특징으로 인하여 전지구적인 규제ㆍ관리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필요에 부응하여 UNEP를 중심으로 국제적인 관리를 위한 논의가 이루어져 2001년 5월 스톡홀름협약(Stockholm convention for Persistent Organic Pollutants)이 당사국회의에서 채택되었고, 우리나라는 외교적 서명을 함으로써 협약가입의사를 분명히 하였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