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협력 관계 모델

Search Result 196,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A Study of Securing Financial Support for New York Public Library (뉴욕공공도서관의 재정확보에 관한 연구)

  • Kim, Hyo-S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 /
    • 2004.08a
    • /
    • pp.133-140
    • /
    • 2004
  • 뉴욕공공도서관(The New York Public Library)은 전문분야로 특화된 대학원 수준의 4개의 연구도서관과 85개의 지역분관을 가리키는 복합관의 총칭이다. 뉴욕시는 인구 800만의 5개의 행정구역으로 이루어지는데, 뉴욕공공도서관은 맨해튼, 브롱크스, 스태튼섬의 3개지구 330만명을 서비스 대상으로 하고, 나머지 2개 지구를 브루클린공공도서관, 퀸즈공공도서관이 관할한다. 연간 예산은 2억8천만달러에 달하며, 2003년의 통계에 따르면 방문이용자가 150만명, 홈페이지 이용자도 1,000만명에 이른다고 한다. 놀라운 것은 운영이나 규모면에서 세계 제일로 손꼽히면서도 공립(公立)이 아니라 비영리민간단체(NPO)가 운영하는 공공(公共) 도서관이라는 것이다. 뉴욕공공도서관은 설립부터 독지가들이 기부 등을 통해 도서관 활동에 깊이 관여하면서 행정과의 독특한 협력관계를 발전시켜왔다. 이러한 전통에 의거한 퍼블릭 프라이빗 파트너십(Public Private Partnership)은 뉴욕공공도서관의 핵심으로 보다 풍부한 서비스의 제공을 가능하게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우리나라와 달리 예산확보를 위한 경비가 일정부분 상정되고 있는 뉴욕공공도서관의 자금조달 비즈니스 모델에 대한분석에 중점을 두었다.

  • PDF

Trends in Cambodian ICT market and its Implications for Korean ICT Companies (캄보디아 정보통신 시장 현황과 우리 기업 진출을 위한 시사점)

  • Roh, I.S.;Ro, Y.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7 no.4
    • /
    • pp.63-72
    • /
    • 2012
  • 캄보디아는 한국의 정보통신 분야의 성공 사례를 자국의 발전모델로 삼아 정보통신 분야를 미래 성장동력으로 빈곤 극복과 경제성장을 추진하고자 한다. 그러나 세계 최빈국 중 하나이며, 사회간접자본과 정보통신 인프라가 매우 낙후된 캄보디아가 선진국의 원조나 외국 기업의 직접투자 없이 정보통신 분야의 발전과 이를 통한 사회경제개발을 단기간에 달성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의 입장에서 캄보디아는 협소한 시장과 낮은 전략적 가치로 인해 정보통신 기업의 시장 진출이 활발하지 않고 KOICA와 KOEXIM의 정보통신 분야에 대한 개발협력 사업의 비중도 매우 낮은 실정이다. 그러나 최근 들어 양국 간 관계가 급속히 강화되고 있고 아세안 시장 진출의 교두보로서 캄보디아의 중요성이 증대하고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우리 정보통신 기업의 캄보디아 시장 진출을 지원하기 위한 사전 연구로서 정보통신 시장 현황을 파악하고 각 정부기관의 역할 등을 정리하였다. 그리고 우리 기업의 현지 시장 진출 시 고려할 요인들을 소개하고 정책 방향을 제시하였다.

  • PDF

Emerging Agents Discovery based on Big Data Analysis (문헌 빅데이터 분석 기반의 유망주체 선정)

  • Kim, Jin-Hyung;Hwang, Myung-Gwon;Jeong, Do-Heon;Cho, Min-Hee;Jung, Han-M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2.06c
    • /
    • pp.89-91
    • /
    • 2012
  • 유망 주체의 선정은 기업협력 및 경쟁 관계에 있어 매우 중요하며 연구, 정부정책 및 기업전략의 수립에 있어 반드시 필요한 일이나 엄청나게 많은 정보의 양으로 인하여 많은 노력과 시간이 소요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객관적으로 문헌 빅데이터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유망 주체를 선정해 내기 위한 통계적 문헌 분석 기반의 유망주체 선정 모델을 제안한다. 유망주체 선정을 위해서는 다양한 자질값들을 분석하여 기술 및 주체에 대한 통합 자질값을 구하고 이를 유망주체 선정에 활용한다. 또한 유망주체 선정에 세가지 기준(주체의 비전, 실행력, 활동력)을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최종적으로 유망주체를 선정한다.

IoT Data Processing System Using a Public Cloud based Hadoop Cluster (Public Cloud 기반 Hadoop Cluster를 이용한 IoT 데이터 처리 시스템 설계)

  • Lee, Hwangro;Choi, Eunmi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3.11a
    • /
    • pp.188-191
    • /
    • 2013
  • 인간과 사물, 서비스 세 가지 분산된 환경 요소에 대해 인간의 명시적 개입 없이 상호 협력적으로 센싱, 네트워킹, 정보 처리 등 지능적 관계를 형성하는 사물 공간 연결망인 IoT(Internet of Things)에서 센싱된 정보를 처리하고 서비스하기 위한 환경을 적시적소에 배치(Depolyment) 하기 위하여 클라우드 서비스와의 연동방법에 대해 본 논문에서 연구하였다. Public Cloud환경에서 Hadoop Cluster를 구성하여 IoT 서비스에 적용할 수 있는 통합 환경을 구축하면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IoT 데이터를 저장하고 빠른 시간안에 이를 효과적으로 처리 및 분석하기 위한 시스템 구축이 가능하며 분산 저장소에 저장된 데이터를 분석하고 의미있는 지식을 발견하여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창출에 기여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 Public Cloud 환경에서 Hadoop Clouster를 구성하여 IoT에서 생성되는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처리하고 분석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Framework of Owner-driven Lean Construction for Plant Construction (발주자 주도형 린 건설에 대한 기초 연구;플랜트 건설공사를 중심으로)

  • Ryu, Chung-Kyu;Han, Seung-Heon;Park, Jung-J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2007.11a
    • /
    • pp.647-651
    • /
    • 2007
  • The Lean Construction is adopted from Lean Principle of Manufacturing Industry in the early of 1990, that has been providing theoretical background and good practical implementation for maximizing customers' satisfaction and improving productivity through minimizing the waste factors in the construction operations. The Last Planner System(LPS), one of the elementary techniques of Lean Construction, aims for improving the work reliability and reducing variability by measuring and managing the daily or weekly performance for overcoming the weakness of recent complex schedule management tools such as Critical Path Method. This research is propose a framework for implementation of LPS conducted by owner in plant construction.

  • PDF

The Global Empathetic Society in Cyber Space (사이버공간과 글로벌 공감사회)

  • Suh, Moon-Gi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22 no.2
    • /
    • pp.111-122
    • /
    • 2019
  •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the critical issues of globalization and present an alternative framework that places ICT in the function of development in comparative perspective. To adjudicate the controversies concerning the effect of developmental factors, it examines the determinants of global trend that leads to the comprehensive mechanism of ICT and cultural residues. The advent of the global community in cyber space requires a new balancing point by the mode of communication and culture among all societies and operation with decentralized authority. This interdependence, by providing diverse network structures and participating in cyberspace, includes the power shift from the dynamics of international relations with voluntary collaboration and brings some important implications for a global empathetic society.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sition and viscosity of soda-lime glass bottles (소다석회유리병의 조성과 점도의 상관관계 분석)

  • Seung Min Kang;Chang-Sam Kim
    • Journal of the Korean Crystal Growth and Crystal Technology
    • /
    • v.33 no.1
    • /
    • pp.7-14
    • /
    • 2023
  • Forty Viscosity data of glass bottles fabricated in a glass bottle manufacturing plant for 4 years were calculated using Lakatos model.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lass bottle compositions and viscosities at log η of 3, 6.6, 10 and 12.3 Pa·s was analyzed. MgO that was a component of the glass bottle showed the maximum coefficient of variation of 0.89, but it gave a very small change in the viscosity. CaO that was another component of the glass bottle lowered the isokom temperature because it tended to reduce the number of non-bridging oxygen at temperature below a softening point.

A Study on the Policy Performance of Government 3.0 Innovation Model : Case Study on the Higher-education Loan Policy in Korea (정부3.0 혁신모델에 따른 정책성과 분석 - 고등교육 학자금대출 서비스 정책을 중심으로 -)

  • JIN, Sangki;Yun, Seon Young;Kim, Seang Tae
    • Informatization Policy
    • /
    • v.22 no.4
    • /
    • pp.68-90
    • /
    • 2015
  • This study aims, to review and analyze the trend of the paradigm shift of government innovation focused on the relation between government and citizens. This paper tries to analyze the effects and performance of government innovation through the government 3.0 model, which is highlighted in Korea. This paper chooses higher-education loan programs as the case to study and analyzes results using government innovation theories. Especially, this paper re-organizes Korea's higher-education loan programs with 'Government 3.0 model'. We can expect 'Government 3.0 model'is usefull when explaining the specific policy program innovation loan. Lastly, this paper looks, at improvement points in Korea's higher-education loan programs.

Development of the sustainable water resources allocation system to Cope with climate change and drought (이상기후 대비 물배분시스템 개발)

  • Kim, Hae-Do;Lee, Kwang-Ya;Joo, Jin-H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467-467
    • /
    • 2011
  • 기후변화로 인한 수문학적 변동은 지속가능한 수자원 관리를 위해 중요한 인자로 고려되고 있다. 특히, 가뭄 등 기상재해는 자연재해 차원을 넘어서 사회적 갈등으로 발전할 여지가 크며 특히 수자원 배분은 환경, 경제를 뛰어넘은 생존의 문제로 발전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후변화가 가져올 가뭄 등 재해관리를 위한 의사지원체계 구축하고 다양한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대응할 수 있는 탄력성 있는 수자원전문가시스템의 개발을 통해 이상기후 및 가뭄대비 물분쟁에 대한 합리적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섬진댐의 상황을 모델로 하고 있다. 섬진강 유역은 섬진강댐의 건설당시 발 빠른 이주대책의 불이행으로 수몰지역 내에 초기 정착민들이 계속 거주하게 되어 댐 제원을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고 있어 효과적인 치수사업에 어려움을 겪어오다가 공사간의 협력을 통해 치수능력증대사업을 추진하여 저수지의 저류량을 증가시키고자 섬진강댐 재개발 사업을 추진한 지역이다. 하지만, 유역내의 이상기후로 인한 수문학적인 변동과 가뭄으로 인한 물관련 당사자간의 용수확보분쟁의 소지가 있어 물관리를 위한 수자원전문가시스템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인 지역이기도 하다. 대상지역 수자원전문가시스템의 개발을 목표로 HSPF(Hydrologic Simulation Program with FORTRAN)을 이용하여 기후변화로 인한 수문학적 변동성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수자원 전문가 모델로서 외국에서 사용되고 있는 SUPER, HEC-ResSim, RiverWare, MODSIM, WRAP, PowerSim, 그리고 STELLA의 장 단점 등 특성을 분석하여 국내에 적합한 수자원전문가시스템 갖추어야할 기능 및 구성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국내실정에 필요한 모델은 공영시각모형(Shared Vision Model)으로서 그 장점은 첫째, 수자원의 관리나 물분쟁시 반드시 필요한 유역의 물리적인 인자와 수역관리에 필요한 수문인자, 그리고 물분쟁의 소지가 있는 의문사항이나 문제점의 해결책을 위한 실마리를 제공할수 있다. 둘째, 물관련 이해당사자들이 직접 참여하여 모형을 평가하고 서로간의 이해관계를 위한 충돌이 발생했을 때 문제해결을 위한 대안을 제시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셋째, 물배분의 원칙에 따른 한쪽으로 편중된 대안이 제시되었을 경우에 공동으로 대안에 대한 평가를 통하여 평등한 물배분을 가능하게 한다. 넷째, 시민단체나 환경단체, 그리고 기관책임자들이 공동으로 모형의 형성과정을 지켜본 후 논의할 수 있어 이상적인 모형을 만들 수 있는 장점이 있다.

  • PDF

A Study on the Interaction Smart Space Model in the Untact Environment (언택트 환경에서의 스마트 인터랙션 공간 모델 연구)

  • Yun, Chang Ok;Lee, Byung Chun;Kwon, Kyung Su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2 no.1
    • /
    • pp.89-97
    • /
    • 2021
  • Recently, as the importance of forced indoor living has increased in the untact era, the connection and relationship between space environments is increasing. That is, the smart interaction environment for providing services in various spaces collects and processes a number of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through various sensors to provide desired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required place and time. In this environment, a new type of interaction paradigm is needed for the user to select and focus on environmental information. In this paper, we provide guidelines based on models and patterns for designing various interactions around space. Through interaction model-based technology, we provide guidelines for space-oriented interaction design. We propose an ideal interaction environment through guideline-based patterns and templates. Finally, by providing a space-oriented interaction environment suitable for smart interaction, users can freely obtain desired inform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