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협력형태

Search Result 571,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Analysis of Collaborative Learning Model and Collaboration Tools in e-Learning (e-러닝 환경에서의 협력학습 모델 및 지원도구 분석)

  • Jang, H.W.;Suh, H.J.;Moon, K.A.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0 no.1 s.91
    • /
    • pp.139-146
    • /
    • 2005
  • 폭발적인 정보의 흐름 속에 놓여 있는 지식정보화 시대에서는 필요한 정보를 선택하고 가공하여 새로운지식의 창조, 전달 및 확대 재생산 할 수 있는 능력이 요구되고 있다. 지식정보화 시대가 필요로 하는 창의적 인재 육성을 위한 새로운 교육 형태와 패러다임으로 e-러닝이 유력한 솔루션으로 부각되고 있다.e-러닝은 교수자 중심의 일방향 교육이 아닌 학습자가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필요한 학습을 하는 양방향 교육 방식이나, 현재까지는 학습 콘텐츠의 단순 반복 학습에 그치고 있어 기존 교실 수업 방식에 비해 학습효율이 떨어지는 점이 이 분야 발전의 장애요소가 되고 있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온라인상에서 학습 과제를 여러 명의 학생들이 상호 의존하여 공동으로 해결함으로써 학습 목표를 달성하는 형태의 협력 학습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e-러닝 협력학습에는 단순히 학생들을 그룹화하여 함께 학습하도록 하는 것은 교육 효과면 에서 비효율적일 수 있으며, 학생들의 자발적인 참여와 협력을 유도할 수 있는 교수모형을 적용하여야 하며, 개인의 책임감을 근간으로 한 상호 의존적 과제 해결 활동이 이루어져야 한다. 본 고에서는 협력 e-러닝 학습을 위한 연구사례와 기술 동향들에 대해 살펴본다.

A Study on An Error Manager on Computer Supported Cooperated Work (컴퓨터 지원 협력 작업에서의 오류 관리기에 관한 연구)

  • Ko, Eung-Nam;Hwang, Dae-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1.04a
    • /
    • pp.163-166
    • /
    • 2001
  • 제안하고자 하는 오류 관리기를 이용하면 멀티미디어 응용 개발 프레임웍에서의 오류 발생 시에 객체를 동적으로 생성 및 제거함으로써 자신의 컴퓨터 시스템 상황에 맞는 세션을 진행할 수 있고, 유동적인 네트워크 트래픽에서도 진행 중인 세션을 유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류가 발생된 응용을 제외한 객체만의 조합으로 다양한 형태의 세션을 만들 수 있다. 본 연구는 멀티미디어 세션에 참여한 참여자간의 효율적인 의사소통과 상호협력 환경의 향상을 위하여 다양한 형태로 응용의 변화를 주는 오류 관리기의 설계에 대한 연구이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Object-Oriented Based Collaborative System for Reuse (재사용이 용이한 객체지향 기반 협력 시스템 설계 및 구현)

  • 허성호;이승룡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10b
    • /
    • pp.253-255
    • /
    • 2001
  • 협력 시스템은 컴퓨터의 성능 향상과 네트워크 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분산 환경에서 다수의 사람들이 프로젝트나 어떤 작업을 동시에 수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이다. 현재 대부분의 협력 시스템은 특정 협력 작업에 맞게 개발되어져 왔기 때문에 통합 환경을 제공하기 어렵고, 새로운 협력 작업에 따라 시스템을 확장하는데 많은 시간과 비용이 들어가는 등의 어려움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객체지향 방법론을 사용한 모듈별 컴포넌트화에 따른 재사용성이 용이한 협력 시스템을 제안하여 일반화, 상세화의 관계나 상속 구조를 통해 클래스의 구현 사항을 재사용 할 수 있도록 하며, 재사용 가능한 모듈을 패키지 형태로 묶어 라이브러리화하여 재사용과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하였다.

  • PDF

Research on the Building Method of Collaborative Network for Disaster Response (재난 대응을 위한 협력네트워크 구축방안 연구)

  • Park, Miri;Oak, Young-Suk;Chon, Jae-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7.11a
    • /
    • pp.356-357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재난관리에 있어 지방정부와 민간과의 네트워크를 지역특성별로 구성하는 방안에 대해 제시하였다. 현재 우리들이 살고 있는 과학기술이 발달한 현대 산업사회를 '위험사회' 라는 개념으로 정의하기도 한다. 최근 재난의 유형이 다변화되고 피해규모가 증가됨에 따라 본래의 정부주도하의 재난대응보다는 협업과 협력을 통한 재난관리가 필요하다. 국외에는 이러한 재난대응을 위한 협력구축네트워크를 광역방재거점 등을 설치 운영함으로써 실질적이고 효율적인 협력을 구축하고 운영 중이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협업 및 협력에 대한 매뉴얼 등을 통한 소프트적인 체계구축에 중점을 두고 대응을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외사례를 통해 실질적인 거점형태의 민관네트워크를 구축하고, 해당지역에 적합한 운영방안을 선택하는 데에 활용 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Elements for the Assessment of Collaborative Repositories Based on E-Metrics Measurement Standards (E-Metrics 측정지표에 기반한 협력형 레포지토리 평가요소 연구)

  • Chang, D.H.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20 no.4
    • /
    • pp.159-172
    • /
    • 2009
  • This paper strives to shed a light on current academic resource sharing initiatives, and seeks the measure for the cooperative information resource management. It first attempts to draw outcomes and suggestions on the basis of issues and implications identified through the analyses in the aspects of management, service, and infrastructure of academic resource sharing in other countries. For this job, research methods such as interviews and on/offline literature review are employed. Specific projects to be analyzed via literature and web site review, although not detailed in nature, are National Technical Information Service(NTIS) and The National Science Digital Library(NSDL) in the United States, Intute of United Kingdom, and Australian Research Repositories Online to the World(ARROW) of Australia. Next, the paper discusses such an issue as the orientation of national level academic resource sharing initiatives based on the comparison of characteristics of current academic resource sharing project. For this, a thorough comparison on background, outlin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projects and analysis on the specifics of each project were conducted as well.

시베리아 자원활용을 위한 TSR-TKR연결 필요성

  • 김상원
    • Proceedings of the KSR Conference
    • /
    • 2001.10a
    • /
    • pp.35.2-48
    • /
    • 2001
  • 남북한의 경제협력은 한반도 통합과정과 통일 한반도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니게 될 것이다. 남북한 통합이 아직 속단할 단계는 아니므로 중장기적 전망이 타당하겠지만 러시아의 시베리아지역은 아ㆍ태지역과 유럽(중동과 서남아시아와 중앙아시아 포함)을 이어주는 교량의 위치에 놓여 있는 중요한 지역이므로 이지역을 둘러싼 국제적인 경쟁과 다양한 형태의 국가간 및 지역간 협력의 시대가 불원간에 도래할 것임을 전망할 수 있다.(중략)

  • PDF

Performance Analysis for Cooperative Spectrum Sensing with m-bits Combining (m-bit 결합을 사용하는 협력 스펙트럼 센싱 기술의 성능 분석)

  • Jang, Chulhee;Lee, Jae H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1.07a
    • /
    • pp.240-242
    • /
    • 2011
  • 최근 비효율 적인 주파수 사용을 극복하기 위한 인지 접속 시스템 및 인지 접속 시스템 구현을 위한 스펙트럼 센싱 기술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다수의 이차 사용자가 협력하여 우선 사용자를 감지하는 협력 스펙트럼 센싱기술에서 m-bit 결합을 사용하는 시스템의 성능을 닫힌 형태로 분석한다. 또한 컴퓨터 모의실험을 통하여 시스템 성능 분석의 유효성을 확인하도록 하며, bit 수에 따른 성능 변화를 확인한다.

  • PDF

A Study on Inter-Korean Criminal Justice Cooperation (남북한 형사사법공조에 대한 연구)

  • Nam, WAN-W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10a
    • /
    • pp.321-322
    • /
    • 2022
  • 남북은 분단 이후 70년을 각자의 정치체제를 구축하며 공존을 하고 있다. 그 과정에서 7.4 남북공동성명에서 남북은 처음으로 마주 앉았고 2000년 6.15 남북공동선언에서 남북연합이라는 통일의 방식이 나오기도 했다. 하지만 북한의 핵개발과 무력행동으로 여전히 남북은 정치적 협력은 불가능할 수준이지만 비정치적 분야에서는 알게 모르게 협력을 하고 있다. 그 협력 가운데 비정치면서 서로 관심을 가질 수 있는 부분은 환경범죄, 마약범죄와 같은 형사사법 분야다. 남북은 서로를 국가로 인정하지 않고 있기에 형사사법공조조약과 같은 형태로는 형사사법공조가 불가하기에 남북이 형사사법 분야에서 공조할 수 있는 부분을 찾아 보고자 한다.

  • PDF

Collaborative Learning Supporting Agent for Facilitating Peer Interaction (상호작용 촉진을 위한 협력학습지원 에이전트)

  • Suh Hee-Jeon;Moon Kyung-Ae
    • The KIPS Transactions:PartA
    • /
    • v.12A no.6 s.96
    • /
    • pp.547-556
    • /
    • 2005
  • Online collaborative teaming, which has emerged as a new type of education in knowledge-based society, is being discussed actively in the areas of action learning at companies and project-based learning and inquiry-based learning at schools. It regards as an effective method for improving learners practical and highly advanced problem solving abilities, and for stimulating their absorption into learning through pursuing common goals of learning together. Different from individual learning, however, collaborative learning involves complicated processes such as organizing teams, setting common goals, performing tasks and evaluating the outcome of team activities .Thus, it is difficult for a teacher to promote and evaluate the whole process of collaborative learning, a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systems to support collaborative learning. Therefore, in order to monitor and promote interaction among learners in the process of collaborative learning, the present study developed an extensible collaborative teaming supporting agent (ECOLA) in online learning environments.

The Grey Box of Technoscientific Practices: Laboratory as a Heterotopic Space where In/visible Collaborations Take Place (과학적 실행의 회색상자(grey box): 비/가시적 협력의 헤테로토피아(heterotopia)로서의 실험실 공간)

  • Lee, June Seok
    • Journal of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 /
    • v.13 no.1
    • /
    • pp.1-39
    • /
    • 2013
  • How would technoscientists collaborate in their technoscientific practices? Based on the ethnographic research done at NRI(Neuroscience Research Institute), this research shows how collaboration occurs in/outside the interdisciplinary laboratory. As previous studies show, collaboration makes researches possible that otherwise would have been impossible. Korean technoscientists who are situated in the scientific periphery, practice contextualized collaboration in their labs. These collaborations are invisible before opening the black box of the lab. But it acquires visibility after certain incidents such as collaborations, debates and discussions, malfunctioning of the instruments, and networking with other actors occur. These networks again become invisible after the certain incidents end. However these blackboxing and whiteboxing (opening the blackbox) processes occur simultaneously in various levels, it is almost impossible to identify them separately. In real technoscientific practices, blackboxing and whiteboxing do not occur distinctively. They almost always occur at the same time on multi-layered levels, hence forming the 'grey box' of technoscientific practices. Lastly, collaborations inside laboratory have in/visible features, because laboratories function as Foucauldian heterotopia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