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혐기성 대사

Search Result 37, Processing Time 0.052 seconds

Studies on the Effect of Glyoxylate on the Biosynthesis of Prodigiosin in Serratia marcescens (Serratia marcescens에서 글리옥실산이 Prodigiosin 생합성에 미치는 연구)

  • 최병범;방선권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 /
    • v.10 no.4
    • /
    • pp.475-479
    • /
    • 1997
  • The effects of amino acids and metabolites in growth media on the biosynthesis of prodigiosin from Serratia marcescens ATCC 25419 were examined. The prodigiosin synthesis was decreased approximately by 50 to 80% by several amino acids and metabolites tested. The prodigiosin synthesis was increased approximately by 20 to 40% by a low concentration of glyoxylate(1 to 3mM) and outstandingly increased by 122% at 5mM concentration under anaerobic condition. However, the prodigiosin synthesis was decreased approximately by 50 to 90% at a high concentration(20 to 30mM) under anaerobic condition. The prodigiosin was not synthesized by pyruvate and $\alpha$-ketobutyrate under aerobic and anaerobic condition, with addition to glyoxylate under aerobic condition, among the range from 0.5 to 30mM, while the cell growth under anaerobic condition was decreased distinctly by a high concentration(20mM above) of glyoxylate. These data suggest that the growth and prodigiosin of S. marcescens is positively regulated by a low concentration of glyoxylate (1-5mM), but repressed by a high concentration of glyoxylate(20mM above) unlike pyruvate and $\alpha$-ketobutyrate.

  • PDF

꼬막 Tegillarca granosa (Linnaeus)의 용존산소 변화에 따른 생리적 반응

  • 신윤경;문태석;정민민;고창순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1.05a
    • /
    • pp.612-613
    • /
    • 2001
  • 산소가 고갈된 환경속에서는 패각의 폐쇄가 일어나게 되며, 종에 따라 생리적 반응은 차이가 있을지라도, 대체로 저산소에 대한 생리적 보상 기작으로서 수류의 펌프작용과 환기 및 혈중내에서의 산소 수송능력이 증가된다. 저산소상태의 환경속에서는 혐기성 대사가 증가되는 대신, 호기성 대사가 억제되므로서 보유하고 있는 에너지의 사용을 최소화하여 제한된 시간동안 저산소 및 무산소 상태에서도 생존할 수 있다. (중략)

  • PDF

Effect of Ethanol on the Reduction of Propionate under Anaerobic Condition (혐기성 조건에서 에탄올의 주입에 따른 프로피온산의 저감에 관한 연구)

  • Hyun, Seung-Hoon;Kim, Do-Hee;Park, Soo-Jin;Hwang, Moon-Hyun;Kim, In S.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22 no.10
    • /
    • pp.1869-1879
    • /
    • 2000
  • A series of experiments were conducted for modeling the fate and effect of the coupled oxidation reduction reaction of ethanol and propionate recognized as important intermediates in anaerobic degradation metabolism. Anaerobic kinetics for conversion of propionate and the interaction with ethanol were investigated using the model of specific substrate priority utilization effect. Seed cultures for the experiment were obtained from an anaerobically enriched steady-state propionate master culture reactor (HPr-MCR), ethanol-propionate master culture reactor (EtPr-MCR) and glucose master culture reactor (Glu-MCR). Experiments were consisted of four phases. Phase I, II and III were conducted by fixing the propionate organic loading as 1.0 g COD/L with increasing ethanol loading of 0, 100, 200, 400 and 1,000 mg/L, to find metabolic interaction of ethanol and propionate degradation by each enriched anaerobic culture. In phase IV, different mixing ratios of Glu-MCR and HPr-MCR cultures with fixed propionate organic loading, 1.0 g COD/L, were applied to observe the propionate degradation metabolic behavior.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different pathways of propionate and ethanol conversion were found using a modified competitive inhibition kinetic model. Increase of $K_{s2}$ value reflected the formation of acetate followed by ethanol degradation. In addition. $K_3$ value was increased slightly as the reactions of acetate formation and degradation were occurred in acetoclastic methanogenesis.

  • PDF

Enhancement of Anaerobic Degradation by Organic Stimulants Addition (반응촉진 유기물 첨가에 의한 혐기성 분해율의 향상에 관한 연구)

  • 손부순;허준무;배형석;서성철;박종안
    • Journal of environmental and Sanitary engineering
    • /
    • v.13 no.1
    • /
    • pp.32-43
    • /
    • 1998
  • 혐기성대상과정중 메탄생성균(methanogenic bacteria)에 의한 메탄생성시 주요 기질인 아세트산 (acetic acid)을 분해할 경우에 여러 가지 복합기질 중 아미노산 첨가에 의한 분해속도증가에 미치는 영향과 투입한 아미노산이 미생물에 의하여 생체량으로 합성되는 정도를 고찰하였다. 실험결과 메탄생성균은 glycine, serine, threonine, aspartic acid, trytophan 등의 혐기성미생물의 생체량합성에 필요한 물질을 투입할 경우에 아세트산의 분해속도가 증가하였으며, 여러 가지 아미노산을 혼합하여 주입한 결과 분해속도가 17% 향상되었다. 한편, 메탄생성균의 lysing에 의하여 생성된 유기물은 메탄이나 이산화탄소의 최종산물로 전환되기보다는 새로운 메탄생성균의 생체량을 형성하는데 직접 이용되었으며, 아세트산의 분해속도를 52% 증가시켰다. 단순기질(sole substrate)과 복합기질(complex substrate)의 분해는 미생물의 생체량합성에 필요한 여러 가지 중간대사산물간의 상호자극효과에 의하여 복합기질이 용이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입기질내 활성이 강한 슬러지의 농도는 혐기성처리에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였다.

  • PDF

BIODEGRADATION PATHWAYS OF TRICHLOROETHYLENE (TCE) AND METHYL BROMIDE (MeBr)

  • Chung, Keun-Yook
    • Journal of environmental and Sanitary engineering
    • /
    • v.16 no.3
    • /
    • pp.1-13
    • /
    • 2001
  • 트리클로로에틸렌 (trichloroethylene, TCE)는 오랜 시간동안 자연환경에서 잔류할 뿐만 아니라 TCE보다 더욱 더 독성이 강한 중간 생성물들을 만들기 때문에 미국과 대부분의 전세계 국가들로부터 주요 1차 환경오염물질로 분류되었다. 그러한 독성물질들은 혐기성 상태에서는 다이클로로 에틸렌(dichloroethylene, DCE)과 바이닐 클로라이드 (vinyl chloride, VC)와 같은 독성물질들이 생성되고 호기성 상태에서는 TCE epoxide계통의 물질들이 생성된다. 또한 훈증제인 메틸 브로마이드 (methyl bromide)는 대기의 오존층을 파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2001년경에 미국환경보호청 (USEPA)에 의해 사용이 금지될 것이다. TCE는 혐기성 조건하에서 연속적으로 탈염소화되고, 이어서 호기성 조건하에서 완전 산화될 수 있다. 그리하여 연속적인 혐기성 및 호기성 조건하에서 궁극적으로 TCE의 완전분해를 이루게된다. 메틸브로마이드는 화학적으로 가수분해되어 메틸 알콜 (methyl alcohol)로 되거나 유기물에 강하게 결합 (bound)된다. 또한 그것은 생물학적으로 포름알데하이드 (formaldehyde)로 산화되거나 메틸알콜로 가수분해된다. 수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행해진 연구들은 TCE와 MeBr은 메탄 혹은 암모니아 산화 세균에 의한 공동대사과정 (cometabolism)을 통해 분해가 증진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두 부류의 세균들이 두 화합물들을 분해시킬 수 있는 monooxygenase를 생산한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이 연구 논문에서 TCE와 MeBr의 생분해와 관련된 가장 최근의 연구논문들로부터 나온 핵심 연구결과들이 요약 검토된다. TCE와 MeBr로 오염된 현장을 정화하기 위해 이러한 기초연구결과들을 토대로 더욱 더 많은 연구가 필요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Characteristics of Organic Wastewater Degradation on Hydrogen Fermentation (수소발효의 유기성 폐수 분해 특성)

  • 이영준
    •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 /
    • v.26 no.2
    • /
    • pp.1-5
    • /
    • 2000
  • 연속형 혐기성처리 반응조에서 배양된 수소발생 슬러지를 이용하여 증온 조건에서 회분식 혐기성 처리방법으로 유기성 폐수로부터 전환되는 수소가스 및 대사산물들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수소발생에 대한 기질로는 sucrose를 이용하였다. 처리과정에서 발생된 누적수소가스, 휘발성지방산(VFAs) 및 solvents는 Gompertz equation을 이용한 비선형회귀분석을 통하여 계산하였다. 처리과정 중 수소가스는 반응초기에 발생하였고, 발생된 가스내 수소가스가 차지하는 비율은 약 20%이었다. 반응 전과정에서 메탄가스는 발생하지 않았다. 비수소가스발생율은 sucrose 농도가 40 g/l일 때 0.956 ml/g VSs/h이었으며, sucrose 농도가 300g/l의 경우는 0.011 ml/g VSS/h이었다. 수소가 발생하는 기간 동안 VFAs의 생성은 acetate, butyrate의 순으로 높게 생성되었으나, propionate로의 전환은 발견되지 않았다. solvents의 경우 butanol이 가장 높게 발생하였다.

  • PDF

Comparison of Metabolic Fingerprintings between Biofilm and Aeration Tanks of RABC System for Food Wastewater Treatment (식품폐수처리 RABC system의 생물막과 포기조 대사지문 비교)

  • Lee, Dong-Geun;Yoo, Ki-Hwan;Sung, Gi-Moon;Park, Seong-Joo;Lee, Jae-Hwa;Ha, Bae-Jin;Ha, Jong-Myung;Lee, Sang-Hyeon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19 no.3
    • /
    • pp.349-355
    • /
    • 2009
  • Metabolic fingerprinting of microbial communities was investigated with Biolog GN2 plates using samples of biofilm and aeration tanks from an RABC (rotating activated Bacillus contactor) system - an advanced wastewater treatment system for the food wastewater of pig slaughterhouses. Aerobic and anaerobic results revealed the following four aspects. First, simple matching and pairs t-test of daily variation showed more defined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latedness of active microbial communities than that of mere optical densities. Second, metabolic potentials were higher in biofilm than in aeration tanks (p<0.01), meaning higher activity of biofilm. Third, two aeration tanks showed the highest similarity (78%) and similar metabolic power (p=0.287). However, actively used carbon sources were different among samples, signifying change of active communities at each wastewater treatment step. Finally, aerobic and anaerobic metabolic fingerprinting patterns were different for the same samples representing activities of microaerophilic and/or anaerobic communiti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daily variation and anaerobic incubation would help in the comparison of metabolic fingerprintings.

Comparison of Anaerobic Digestion for food wastewater and food waste by HADS Pilot Plant (HADS Pilot Plant를 이용한 음폐수와 음식물쓰레기의 혐기성 소화 비교)

  • Ju, Donghun;Lee, Jungmin;Park, Seongbum;Sung, Hyunje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6a
    • /
    • pp.245-245
    • /
    • 2010
  • 우리나라 생활폐기물 중 음식물쓰레기는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또한, 음식물쓰레기에서 발생되는 음폐수의 발생량은 8,926톤/일에 달하고 있지만, 이 중 극히 일부만이 하수처리장 등에서 병합 처리되고 있고 대부분은 해양 투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독일 GBU사로부터 중온/습식/이상 혐기성 소화 기술을 도입하여 HADS Pilot Plant를 설치하였고, 2008년 3월부터 국내 음폐수 및 음식물쓰레기에 적합한 최적의 운전기술을 확보하기 위한 Pilot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된 HADS Pilot Plant는 산발효조($6m^3$), 메탄발효조($50m^3$), 안정화조/가스저장조($40m^3$)그리고 가스 소각기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적용 음폐수 및 음식물쓰레기는 경기도 Y군에 위치한 사료화 시설에 반입되는 것을 이용하였는데 음폐수는 평균 TS 13.5%, VS 80%, pH $3.7{\pm}0.2$의 성상을 나타내었다. 이를 이용해 계단식으로 유기물 부하를 증가시키면서 $4kgVS/m^3/d$까지 적용하며 중온 상태에서 혐기성 소화를 실시한 결과, $0.8Nm^3/kgVS_{rem}/d$의 바이오가스 회수 및 85%의 VS 감량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음식물쓰레기는 음폐수와 달리 1차 파쇄/선별기 및 배관상에 설치되는 2차 미세파쇄/선별기를 통한 전처리를 실시하였고, 1차 파쇄/선별 후 평균적으로 TS가 17.4%, VS는 81%, pH는 $3.85{\pm}0.2$의 성상을 나타내는 음식물쓰레기를 2차 미세파쇄/선별기를 거쳐 Pilot Plant의 산발효조에 투입하여 중온상태에서 혐기성 소화를 실시하였다. 음폐수 적용시와 마찬가지로 계단식으로 유기물 부하를 증량하면서 $4kgVS/m^3/d$까지 적용하여 운전하였고, 그 결과 약 $0.9{\sim}1.2Nm^3/kgVS_{rem}/d$의 바이오가스 회수와 85~87%의 VS 감량 효율을 확인하였다. 음폐수와 음식물쓰레기의 혐기성 소화 실험 결과, 제거된 VS량을 기준으로 보았을 때, 음식물쓰레기에서 더 많은 바이오가스 발생하였는데 이는 음식물쓰레기에 존재하는 고형물이 미생물들의 서식 공간으로 활용됨에 따라 혐기성 소화 과정에서 일어나는 혼합 발효 및 공영양 대사가 음폐수 대비 좀 더 수월하게 일어날 수 있게 된 데에 따른 결과라고 생각된다. 당사의 HADS Pilot Plant test에서는 계단식의 순차적인 유기물 부하 증량과 총VFA/총 알카리도 비율을 0.3~0.4 수준이하로 유지하며 운전함에 따라 음폐수와 음식물 모두에서 안정적으로 $4kgVS/m^3/d$까지의 유기물 부하 적용이 가능하였다. 또한, 생산된 바이오가스 내 메탄의 함량은 60~65%를 유지하였으며, 메탄발효조의 pH는 별도의 조절이 없이도 운전기간 동안 평균 7.8~7.9 수준을 유지하였다. 이처럼 pH 3.7~3.8의 음폐수 또는 음식물쓰레기의 투입에도 안정적인 완충능력을 보여준 것은 소화조 내에서 기질로부터 분해되어져 나오는 암모니아와 이산화탄소가 강력한 버퍼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음에 따른 결과로 사료된다. 그리고 음폐수와 음식물쓰레기의 경우 모두 85%이상의 높은 VS 제거율을 보여주었는데 이는 당사의 HADS Pilot Plant 소화조의 구조가 내통과 외통으로 구분되어져 있음에 따라 plug flow + CSTR의 특징을 가짐에 따른 결과로 판단된다. 상기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에는 $5kgVS/m^3/d$ 수준의 유기물 부하 적용운전도 계획하고 있다.

  • PDF

혐기성 슬러지를 이용한 디젤오염토양의 분해

  • 박현철;이태호;박태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3.09a
    • /
    • pp.298-301
    • /
    • 2003
  • 생물학적 토양오염 복원기술은 산소와 영양염류를 오염토양에 공급하여 호기성 미생물의 대사작용을 자극함으로써 유류를 생분해 하는 방법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유류에 오염된 토양은 혐기성 상태인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호기성 미생물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산소를 공급하여야 하므로 운전비가 많이 드는 단점이 있다. 최근에는 혐기성 미생물을 이용하여 유류오염 토양을 정화하는 방법이 보고되고 있다. 혐기성 생분해 방법은 다소 분해 속도는 느리지만 산소를 공급하지 않기 때문에 경제적인 유류오염토양 복원 방법으로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디젤을 사용하여 인위적으로 10000 mg/kg.TPH soil의 농도로 오염시킨 토양 50g을 100$m\ell$ 용적의 vial에 주입하고 하수처리장의 혐기성 소화조 슬러지를 15$m\ell$, 30$m\ell$을 주입하여 배양하였으며 TPH의 분해량과 CH$_4$$CO_2$ 발생량을 측정하였다. vial의 기상을 $N_2$가스로 치환함으로써 혐기성 상태가 되도록 하였으며, 35$^{\circ}C$에서 90일간 배양하였다. 그 결과, 슬러지를 주입하지 않은 대조군의 경우에는 TPH의 분해가 거의 없었지만, 슬러지를 주입한 경우에는 TPH(Total Petroleum Hydrocarbon)농도가 55% 제거된 것으로 나타났다. TPH의 분해는 CH$_4$$CO_2$ 발생량과 밀접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하수처리장의 혐기성 소화조 슬러지를 이용한 유류오염 토양의 복원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양에서 유동 가능성이 있는 중금속만을 추출하였다. 분석실험은 토양의 Cd2+ 와 Pb2+를 대상으로 행하여졌으며, 여러 토양에서 추출 분석한 결과를 EDTA분석결과와 비교하였다. 실험결과, 중금속은 매우 신속하게 고분자 자성체와 결합하였고, 그 후 자성체를 외부 자장으로 모은 후 산으로 용해시키고, 결합된 중금속은 Graphite furnace AAS로 분석함으로써 빠르고 효율적으로 분석실험을 수행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실험에서 나타난 수치들을 비교 검토한 결과 토양 분석시 sandy soil에서는 자성체를 이용한 분석이 EDTA에 의한 방법보다 더 높은 추출도를 보인 반면, silt 함량이 많은 토양의 경우에서 EDTA분석에서 더 높은 중금속 추출도를 보였다.s 중에서 490nm와 555nm의 복합밴드를 포함하는 OC2 알고리즘(ocean color chlorophyll 2 algorithm)을 사용하는 것이 OC2 series 및 OC4 알고리즘보다 좋은 추정 값을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환경에서는 5일에서 7월에 주로 이 충체의 유충이 발육되고 전파되는 것으로 추측되었다.러 가지 방법들을 적극 적용하여 금후 검토해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잡은 전혀 삭과가 형성되지 않았다. 이 결과는 종간 교잡종을 자방친으로 하고 그 자방친의 화분친을 사용할 때만 교잡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여교잡을 통한 종간잡종 품종육성 활용방안을 금후 적극 확대 검토해야 할 것이다하였다.함을 보이고 있다.X> , ZnCl$_{3}$$^{-}$같은 이온과 MgCl$^{+}$, MgCl$_{2}$같은 이온종을 형성하기 때문인것 같다. 한편 어떠한 용리액에서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