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혈청형

검색결과 574건 처리시간 0.041초

한국인 국소 유년성 치주염환자의 Actinobacillus(Haemophilus) Actinomycetemcomitans 혈청형 및 백혈구독성 균주 분포 (Serotype and Leukotoxic Strain Distribution of Actinobacillus(Haemophilus) Actinomycetemcomitans in Korean Localized Juvenile Periodontitis)

  • 정현주;정종평;손성희
    • 대한미생물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487-501
    • /
    • 1986
  • 국소적 유년성 치주염의 원인균으로 중요시되고 있는 Actinobacillus Actinomycetemcomitans(Aa)는 구미인의 병소에서 혈청형 b형이 주종을 이루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나, 한국인에서의 부분적인 분리균주는 c형이 빈번한 젓으로 관찰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16명의 국소적 유년성 치주염 환자에서 Aa의 발현빈도를 조사하고 혈청형별로 분류하여 그 분포 및 백혈구 독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치주낭 및 건강치은 열구에서 보존치료용 paper point를 이용하여 치은연하 치태세균을 채취하여 Aa의 선택배지에 도말한 후 10% 탄산가스 배양기에서 $3{\sim}5$일간 배양하였으며, 집락의 형태, catalase검사, Gram염색,생화학검사로써 분리 동정하였다. 가토에서 3가지 혈청형의 표준균주인 ATCC 29523(a) Y4(b) SUNYaB67(c)에 대한 항혈청을 얻은 후 환산암모늄 침전법과 면역흡착법에 의하여 특이성을 갖는 감마글로블린액을 얻어서 ELISA법에 의해 분리균주의 혈청형을 분류하였다. 백혈구 독성은 다형핵 백혈구와 Aa분리균주를 함께 배양한 후 상층액에 대한 lactate dehydrogenase의 활성을 측정함으로써 평가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Aa균은 국소적 유년성 치주염 환자 16명중 75%에서 발견되었으며, 병소부위의 71%, 그리고 정상부위의 6%에서 나타났다. 2. 국소적 유년성 치주염 병소의 임상적 양상은 병소내 Aa의 존재여부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3. 3가지 혈청형의 환자별 분포는 9명의 환자에서 유사하게 관찰되었으며, 3명의 환자에서는 동일한 구강내 또는 동일한 치주낭에서 다른 2가지 혈청형이 함께 분리되었다. 4. 백혈구 독성검사를 시행한 45개 균주중 22%에서 독성을 나타냈으며, 채취부위의 69%에서 백혈구 독성균이 존재하였다. 또한, 동일한 병소에서 독성균과 비독성균이 함께 관찰되었다. 5. 백혈구 독성균의 분포는 3가지 혈청형간에 차이를 인정할 수 없었다.

  • PDF

한국에서 분리된 Vibrio cholerae non-O1의 혈청형의 분포 (The Distribution of Serogroup of Vibrio cholerae non-O1 Isolated in Korea)

  • 성희경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3-17
    • /
    • 2003
  • 우리나라 연안해역의 해수나 어패류에서 V. cholerae non-O1의 분포를 밝힘과 동시에 1996년 4월부터 동년 11월까지 분리된 환경분리주와 1984년부터 1996년까지 서울 및 부산소재 각 대학병원에서 환자로부터 분리된 총 55균주를 대상으로 생화학적 특성과 혈청형을 분석하였다. V. cholerae non-O1은 한국의 연안에서 206거체중 21검체(10%)에서 분리되었으나 V. cholerae O1 및 O139는 검출되지 않았다. 지역별로는 군산에서 16%로 검출률이 제일 높았다. 환경이나 환자에서 분리된 V. cholerae non-O1 55 균주에 대한 혈청형 분석결과 15종류의 혈청형이 검출되었는데 환경분리주 12종류, 환자분리주에서는 6종류이였다. 그런데 환경분리주에서는 O14가 68.3%(28/41)이였고, 환자분리주에서는 O8이 약 36%(5/14)로 많았고 그다음으로 O2와 O10등의 순이었다. 그리고 O2, O10와 O39는 환경 및 환자분리주에서 동시에 검출되었다.

양식넙치에서 분리된 Edwardsiella tarda의 생화학적 및 혈청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biochemical and serological characteristics of Edwardsiella tarda isolated from cultured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방종득;전세규;박수일;최윤정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29-35
    • /
    • 1992
  • 1990년 7월부터 1991년 11월까지 우리나라에서 넙치 양식이 주로 이루어지고 있는 동해 및 남해안과 제주도 연안에 위치하고 있는 여러 넙치 양식장을 대상으로 넙치 에드와드병의 원인균인 Edwardsiella tarda를 분리하여, 이들의 생화학적 및 혈청학적 특성을 알아 보았다. 분리된 에드와드균은 131균주로서 이들의 생화학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균주 모두 $H_2S$ 및 indole를 생성하고, glucose, maltose, mannose, galactose 및 fructose등의 당을 산화시키고 가스를 형성하나 xylose, sucrose, rhamnose등의 당은 분해를 시키지 못하는 등의 특성을 가지고 있었다. 분리된 131균주 중 지역별로 대표가 되는 10개의 균주를 선택하여, 혈청학적 특성을 비교한 결과 일본에서 분류되고 있는 E. tarda의 세가지 혈청형을 나타내는 항혈청 E-22(혈청형 a), SU-138(혈청형 b) 및 SU-100(혈청형 c)과 대표균주간에는 항체가 E-22항혈청에 대하여는 2560-5120의 응집를 보인 반면, SU-138 및 SU-100의 항혈청에서는 각각 40-80과 40 이하의 응집를 보여 대표균주는 E. tarda serotype a와 유연성이 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표균주들을 10% acrylamide gel상에서 전기영동하여 세균단백질을 비교하여 본 결과, 대표 균주 모두가 단백질의 종류 및 양에 있어서 거의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연어 제품에서 분리한 Listeria monocytogenes의 분포, 병원성 특성 및 항균제 내성 (Prevalence, virulence characteristics and antimicrobial resistance of Listeria monocytogenes isolated from salmon products)

  • 진영희;류승희;곽재은;김리라;최영희;이명숙;황인숙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3권4호
    • /
    • pp.495-500
    • /
    • 2021
  • 본 연구는 2020년 5월부터 7월까지 서울시내 대형마트에서 수거한 연어 제품 65건에 대해서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를 분리하고, 분리한 균주에 대해서 혈청형, 병원성 관련 유전자 유무 및 항균제 내성 현황을 조사하였다. 연어 제품 65건 중에서 훈제연어 제품 53건 중 15건(28.3%), 기타 연어 제품 12건 중 1건(8.3%)에서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가 분리되었다.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 16균주의 혈청형을 분석한 결과 1/2a 형이 6균주(37.5%), 1/2b 형이 10균주(62.5%)로 1/2b 형이 우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어 제품의 보관방법, 제조회사 및 연어의 원산지별 혈청형과의 연관성을 살펴본 결과 냉장보관 제품에서는 1/2a 형이, 냉동제품에는 1/2b 형이 우세하였으며, 동일 제조회사 제품에서 동일한 혈청형이 확인되었고, 연어 원산지별과는 연관성이 확인되지 않아 연어 제조공정상에서 균의 오염이 주로 이루어짐을 짐작할 수 있었다.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의 병원성과 관련된 10가지 유전자에 대해 PCR 검사를 수행한 결과 16균주 모두 병원성 관련 유전자가 검출되어 잠재적으로 병원성이 확인되었다. 분리된 16균주에 대하여 15종의 항균제에 대한 감수성 시험을 실시한 결과 cefotetan 16주(100%), cefotaxime 14주(87.5%), cefepime 5주(31.3%), erythromycin과 tetracycline에 각각 1주(6.3%) 순으로 내성을 나타내었고, 나머지 10종의 항균제에 대해서는 모두 감수성을 나타내었다.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는 본질적으로 cefotetan, cefotaxime, cefepime과 같은 cephalosporine 계 항균제에 내성을 나타내는 것을 감안하면 대부분의 항균제에 감수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국내에서 소비가 점점 늘고 있고, 비가열 섭취가 대부분인 연어 제품에서 소비자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 및 관련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소아의 임상 검체 및 건강한 소아의 비인두에서 분리된 폐구균의 혈청형 및 페니실린 감수성 (Serotypes and Penicillin Susceptibility of Streptococcus pneumoniae Isolated from Clinical Specimens and Healthy Carriers of Korean Children)

  • 이진아;김남희;김동호;박기원;김윤경;김경효;박진영;최은화;이환종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6권9호
    • /
    • pp.846-853
    • /
    • 2003
  • 목 적 : 폐구균은 건강한 소아의 비인두에서 분리될 수 있는 정상 균총이지만, 다양한 종류의 침습성 감염과 국소 감염을 일으킨다. 최근에 영아 및 어린 소아에서도 침습성 감염에 대한 예방 효과가 우수한 7가의 단백 결합 백신이 개발되었다. 백신의 적절한 사용을 위해서는 백신을 사용하고자 하는 지역에서 분리되는 폐구균의 혈청형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방 법 : 2000년 3월부터 2002년 2월까지 2년간 서울대학교 어린이병원, 이화여자대학교 동대문병원, 성균관대학교 강북삼성병원에 내원한 15세 미만의 환아의 임상 검체에서 분리된 폐구균 127 균주와 1997년 11월부터 1998년 10월까지 1-5세 사이의 건강한 소아의 인후 도찰 검체에서 분리된 폐구균 72균주를 대상으로 Quellung reaction을 이용하여 혈청형을 결정하였으며, oxacillin 디스크 확산법을 이용하여 penicillin에 대한 감수성을 검사하였다. 결 과 : 임상 검체에서 폐구균이 분리된 소아의 연령은 2세 미만이 43%, 2-5세가 35%, 5-15세가 21%였다. 균혈증, 뇌수막염, 복막염 등의 침습성 감염은 전체 감염의 24%를 차지하였으며 이러한 경우 폐구균의 페니실린 내성률은 90%였다. 2세 미만의 경우는 전체 폐구균 감염의 22%가 침습적 감염이었고 호흡기계 검체 및 중이염은 각각 46%, 26%를 차지하였다. 폐구균의 혈청형 분포는 19F(24%), 19A(17%), 23F(15%), 6A(11%), 6B(7%), 9V (6%)의 순이었으며, 페니실린 내성빈도는 94%였다. 임상 검체에서 분리된 폐구균 중 56%(교차반응 혈청형 포함시 84%), 침습성 감염과 중이염의 경우 각각 57%(80%), 48%(88%)가 7가 백신에 포함되었다. 건강한 소아의 인후두 도찰 검사의 폐구균 혈청형은 19F(31%), 14(21%), 11A(13%), 23F(11%), 18C(6%), 19A(4%)의 순으로 이 6가지 혈청형이 전체의 86%를 차지하였고 페니실린 내성률은 86%였으며 7가 백신에 71%(78%)가 포함되었다. 임상 검체 및 건강한 소아에서 분리된 폐구균 중 페니실린 내성균의 60%(90%)가 7가 백신에 포함되었다. 결 론 : 우리나라 소아의 임상 검체 및 건강한 소아의 비인두에서 분리되는 폐구균의 혈청형은 6A, 6B, 14, 19A, 19F, 23F 등이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분리된 균주의 56-84%가 7가 단백 결합 백신에 포함되었다.

혈청 유리형 전립선항원 (free PSA) 측정을 위한 효소면역측정법의 개발 (Development of Enzyme Immuno Assay for Analysis of Free Prostate Specific Antigen in Serum)

  • Kyung-Ok Lee;Kyung-In Kim;Kyu-Pum Lee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07-114
    • /
    • 1997
  • 전립선특이 항원 (PSA: Prostate Specific Antigen)은 전립선 세포에서 분비되는 단백질로서 장기 특이성이 높아 전립선암의 조기진단 및 치료의 예후를 판단하기 위해 임상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혈청 종양표지검사의 대상항원이다. 그러나 혈청 PSA치는 전립선암 뿐 아니라 양성 전립선질환인 전립선비대증 (BPH), 전립선 경색, 전립선 염증 등에서도 상승될 수 있다. 혈청 내의 PSA는 여러 가지 분자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대표적으로 ${alpha}_1$-antichymotrypsin과 결합된 결합형 PSA(PSA-ACT)와 유리형 PSA (free PSA)로 나눌 수 있다. 전립선 암 환자의 혈청에는 결합형 PSA가 95% 이상으로 매우 높고 유리형 PSA의 분포는 매우 작은 반면 전립성비대증에서는 유리형 PSA의 농도가 높아지므로, 결합형 PSA와 동시에 유리형 PSA를 측정하면 종양표지검사로서의 특이성과 예민도를 높일 수 있다는 보고가 있어, 최근 혈청내의 유리형 PSA의 측정의 중요성이 임상적으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sandwich 원리로 유리형 PSA 효소면역 측정법 (EIA) kit를 개발하고 그 유용성을 검토한 결과, 고, 저 농도에서의 일내, 일간 변이 계수 (CV)는 4% 이하였으며 상품화된 free PSA kit와 비교하였을 때 두 방법간의 상관계수는 0.9965으로 매우 양호하였다. 또한 농도가 높은 세 환자의 검체를 희석하여 직선성 검사를 하였을 때 상관계수가 모두 0.995이상으로 나타났다. 또한 microplate 법에서 문제될 수 있는 hook effect는 유리형 PSA농도가 40 ng/mL까지 나타나지 않았으며, 98.9%~104.1%의 회수율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면역측정법 kit는 혈청 중의 유리형 PSA를 정확하고 간편하게 분석할 수 있으므로 임상 실험실에서 전립선암이나 전립선질환의 진단 및 치료효과의 판정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한국인에서 Streptococcus pneumoniae 분리주의 폐구균 표면 단백 A (Pneumococcal Surface Protein A of Streptococcus pneumoniae Isolates from Koreans)

  • 김경호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8권11호
    • /
    • pp.1206-1211
    • /
    • 2005
  • 목 적 : 현재 연구 개발되고 있는 PspA에 근거한 폐구균 단백 백신은 기존의 백신과 달리 여러 종류의 혈청형에 대해 동시에 광범위한 방어 면역을 유도할 가능성이 있다. 동물 실험에서 PspA는 폐구균 보균과 호흡기 감염 뿐 아니라 패혈증에 대해서도 방어 면역을 형성함이 보고되었다. 본 연구는 한국 소아와 어른에게서 분리된 폐구균에서 PspA 백신에 포함된 PspA family인 family 1과 family 2의 분포를 알기 위해 시행되었다. 방 법 : 총 89주의 폐구균을 대상으로 항혈청을 이용하여 슬라이드 응집 방법으로 폐구균 피막의 혈청형을 분류하였다. 또한 PCR을 이용하여 family 1과 family 2의 시발체를 사용하여 분리된 폐구균의 PspA family를 정하였다. 결 과 : 총 89주의 폐구균 분리주에서 17 종류의 폐구균 혈청형이 분류되었다. PspA 종류는 79주(88.8%)에서 결정되었는데 20주(22.5%)가 family 1, 59주(66.3%)가 family 2이었다. 아홉주(10.1%)에서 family 1과 2에 모두 양성 반응을 보였으므로 family 1과 2 단백을 포함하는 PspA 백신의 가능한 방어 범위는 98.9%이었다. 각 PspA family들은 균이 분리된 사람의 나이, 분리된 곳, 혹은 페니실린에 대한 감수성 등과 의미 있는 관련성이 없었으나 피막 혈청형에 따라서는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 결 론 : 본 연구에서 분리된 폐구균 분리주의 98.9%가 PspA family 1과 2에 속하였으므로 이를 포함한 백신은 폐구균에 대해 혈청형과 관련 없이 좀 더 광범위한 효과를 보일 것으로 추정된다. 향후 좀더 다양하고 많은 폐구균 분리주를 대상으로 PspA family의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PspA 백신의 개발과 적용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생굴로부터 bacteriophage의 분리 및 부분특성 (Isolation and Partial Characterization of Bacteriophage from Oyster)

  • 김영희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5권5호
    • /
    • pp.605-610
    • /
    • 1996
  • 시판중인 생굴을 대상으로 Vibrio 속을 숙주로 하는 bacteriophage의 분리를 시도하였다. 4 종의 Vibrio 속과 5 혈청형의 Vibrio parahaemolytius를 실험대상으로 한 결과 배brio parahaemolyticus 2 혈청형에서만 bacteriophage가 분리되었다. 분리된 phage의 plaque 크기는 0.4mm였으며 전자현미경적 형태는 미부가 뚜렷하지 않은 육각형의 두부가 관찰되었고 크기는 67nm$\times$83nm 였으며, PFV/ml은 1.25$\times$$10^{11}$이었다. 분리된 phage는 chloro-form에 감수성을 나타내었다. 분리된 phage의 genomic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핵산을 분리한 결과 DNA로 판명되어졌으며 두 혈청형 모두 제한효소 처리한 결과 Eco R I으로 4부위의 절단양상과 Hind III로부터 14부위 절단양상이 관찰되었다.

  • PDF

2000-2002년 바이러스성 뇌수막염의 발생양상 및 특성 (Isolation of Enterovirus Causing Aseptic Meningitis in Busan, 2000-2002 Years)

  • 조경순;정명주
    • 미생물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248-252
    • /
    • 2003
  • 2000년~2002년 사이 부산지역의 병의원으로부터 의뢰된 바이러스성 뇌수막염 환자로 의심되는 환자의 가검물을 대상으로 바이러스 분리를 시도한 결과 2000년에는 검체 292건 중 2건, 2001년에는 371건 중 4건, 2002년에는 703건 중 83건의 장내바이러스를 분리하였다. 2000년에 분리된 원인 바이러스의 경우 echovirus 11 혈청형과 coxsackievirus B2 혈청형이, 2001년에는 coxsackievirus B5 혈청형만이 분리되었으며, 2002년에는 echovirus 2, 3, 6, 7, 9, 13, 25, 30 혈청형이 70건으로 가장 많았고, coxsackievirus B3과 B4 혈청형이 10건으로 예전에 비해 보다 다양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월별발생 양상은 2000년에는 동절기인 12월과 1월에, 2001년에는 5월에 집중적으로 발생하였으며, 2002년에는 4월부터 11월까지 넓은 발생 분포를 나타내었지만 특히 6월과 7월에 가장 발생율이 높았다. Echovirus와 coxsackievirus는 Vero와 HEp-2 세포주에서 강한 병변 효과를 나타내었다. 전자현미경으로 촬영한 echovirus 및 coxsackievirus의 형태학적 양상은 모두 envelope가 없고 크기가 30~35 nm로 아주 작은 구형의 특징을 나타내었다. 세포병변 효과가 나타난 세포배양액에 대하여 nested PCR을 수행한 결과 echovirus 및 coxsackievirus 모두 436 bp 위치에 단일띠를 나타내었으며, serotype은 국립보건원 소화기계바이러스과에 의뢰하여 확인 동정하였다.

소아에서 발생한 호흡부전이 동반된 아데노 바이러스 폐렴 (Adenovirus Pneumonia with Respiratory Failure in Pediatric Patients)

  • 도성숙;마상혁;박재선;이영호;이환종;이규만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5권2호
    • /
    • pp.258-266
    • /
    • 1998
  • 목 적 : 국내에서는 1995년 세균성 폐렴과 유사한 중증 아데노 바이러스에 의한 폐렴 환자가 발생하여 사망환자의 발생과 함께 생존아에서 심한 합병증을 야기함으로써 관심을 끌기 시작하였다. 이에 저자들은 1997년 상반기에 아데노 바이러스에 의하여 급격히 진행하는 폐렴과 호흡부전이 동반된 환자가 발생하여 중증 아데노 바이러스 호흡기 감염에서 바이러스의 혈청형을 분석하여 이 질환의 진단, 치료, 예방에 도움이 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1996년 11월부터 1997년 7월까지 마산파티마병원 소아과에 호흡기 감염으로 입원한 환자에서 원인 바이러스를 규명하고자 비인두강 흡인물을 채취하여 RS 바이러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아데노 바이러스의 배양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환자의 비인두강 흡인물에서 아데노 바이러스가 분리되고 호흡부전으로 인하여 인공 보조 환기 요법이 필요하였던 환자들을 대상으로 분리된 아데노 바이러스의 혈청형을 규명하고 임상상에 대하여 분석을 하였다. 결 과 : 1) 바이러스가 분리가 된 환자는 총 대상 환자 460명중 143명이었고(30.9%) 그 중 아데노 바이러스는 66례(46.2%)가 분리되었으며 심한 호흡 부전으로 중환자실에서 인공 보조 환기 요법 치료가 필요하였던 환자는 5명이었다. 환자들의 발생기간은 l월부터 5월까지였으며 연령은 신생아 포함하여 6개월에서 11개월까지 분포하였고 성별의 분포는 남아 4례, 여아가 l례였다. 2) 임상증상은 전례에서 고열과 호흡곤란이 있었으며 증상발현에서 인공 보조 환기 요법이 필요하였던 기간은 1~4일이었으며 사용한 기간은 7~19일이었다. 3) 환자들의 입원기간은 17~47일까지였으며 보호자가 자의 퇴원한 1례를 제외한 4명은 생존하였다. 4) 환자들의 합병증은 범발성 혈액응고증이 2례, 폐쇄성 기관지염이 2례에서 나타났다. 5) 환자에서 분리된 아데노 바이러스의 혈청형은 총 5례중 2례에서 7형, 1례에서 5형, 2례는 혈청형 결정을 하지 못하였다. 결 론 : 1996년에 혈청형 7의 유행에 이어 1997년 상반기에 아데노 바이러스에 의한 심한 폐렴 환자의 발생이 있었으며 혈청형 7외에도 5형 및 다른 형도 심한 호흡기 질환을 일으킬 수 있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