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혈당관리

Search Result 309,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당뇨 합병증 - 내 눈에 혈관이 자란난다! 당뇨병성 망막증

  • Gwak, Jeong-Eun
    • The Monthly Diabetes
    • /
    • s.251
    • /
    • pp.34-35
    • /
    • 2010
  • `모르는 것이 약이다'라는 말이 있다. 하지만 당뇨병에서는 절대 수용되어서는 안 될 말이다. 당뇨병은 장수 질병인 만큼 그에 따른 합병증도 많기 때문에 이것에 대해 모르고서는 당하기(?) 일수이다. 특히 불행하게도 당뇨병환자가 피해 갈 수 없는 합병증인 당뇨병성 망막증은 실명 위험률이 높아 적극작인 혈당관리와 조기검진이 절실하다. 이 무서운 당뇨병성 망막증에 대해 알아본다.

  • PDF

알쏭달쏭 칼로리 퀴즈: 내가 먹는 음식과 양에 따른 칼로리를 퀴즈를 통해 알아보자

  • 사단법인 한국당뇨협회
    • The Monthly Diabetes
    • /
    • s.254
    • /
    • pp.57-57
    • /
    • 2011
  • 당뇨병환자의 식사관리는 여간 어려운 것이 아니다. 식품의 성분에 따라 혈당조절에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이것저것 따져볼 것이 많다. 삭사요법을 잘 하려면 식사의 양(칼로리)에 유념하여야 하는데, 너무 많거나 적은 양을 먹게 되면 오히려 혈당조절이나 체중조절에 나쁜 영향을 주므로 다음의 칼로리 퀴즈를 참고하여 알맞은 양 섭취를 습관화 하자.

  • PDF

아는 만큼 치료하는 당뇨병: 노인 당뇨병환자의 혈당관리 노하우

  • Gwak, Jeong-Eun
    • The Monthly Diabetes
    • /
    • s.254
    • /
    • pp.20-21
    • /
    • 2011
  • 당뇨병은 노화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이 때문에 나이가 들수록 당뇨병이 많이 발생한다. 실제 우리나라 한 대학병원의 조사에 따르면 65세 이상 노인 10 명 중 3명이 당뇨병환자로 나타났다. 이렇게 노인당뇨의 발병률이 점점 증가하고 있지만 노인 대부분은 그저 '늙어서 그런가보다'며 제대로 된 당뇨검사나 치료를 받지 않아 심각한 상황을 예고한다.

  • PDF

메디컬 리포트 - 당뇨 환자 과일 섭취는 금물?

  • Kim, Seon-Gyu
    • 건강소식
    • /
    • v.38 no.2
    • /
    • pp.38-39
    • /
    • 2014
  • 최근 과일로 끼니를 대체하거나 식후 입가심으로 소량의 과일을 섭취하며 건강을 지키려는 사람들이 많아졌다. 그렇다면 평소 엄격한 식이요법으로 혈당을 관리해야 하는 당뇨 환자도 과일을 많이 섭취해도 괜찮을까?

  • PDF

Effects on Glycemic Control by Continuous Self Monitoring of Blood Glucose in Diabetic Patients (당뇨병환자의 지속적 자가 혈당관리에 따른 혈당조절의 효과)

  • Jang, Gyeong-Wha;Kwon, Myung-Soon
    •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Home Health Care Nursing
    • /
    • v.17 no.2
    • /
    • pp.104-111
    • /
    • 2010
  • Purpose: To evaluate the effects of continuous self monitoring of blood glucose (SMBG) on glycemic control in diabetic patients. Methods: Among the diabetic patients who visited the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in H hospital from April 1 to October 27 2008, 76 patients were divided into the experimental group (n=39) and control group (n=36). The experimental group was required to measure blood glucose levels at least twice every other day using SMBG; their compliance was aided by weekly telephone reminders for 3 months after discharge. Glycated hemoglobin, fasting blood sugar and postprandial 2 hours glucose level, triglyceride and high density lipoprotein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study. Results: Baseline characteristics were not different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hree months lat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ostprandial glucose between the two groups (t=-2.042, p=.045). Conclusion: There was significant improvement of glycemic control after the use of continuous SMBG, suggesting its value in strict glycemic control and the merit of an aggressive education program.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