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혈관 조영술

검색결과 336건 처리시간 0.023초

복합 [$90^{\circ}-{\tau}-180^{\circ}-2{\tau}-180^{\circ}-{\tau}$ 시이퀸스를 이용한 핵자기 공명 혈관 조영술 (MR ANGIOGRAPHY USING THE COMPOSITE [$90^{\circ}-{\tau}-180^{\circ}-2{\tau}-180^{\circ}-{\tau}$] SEQUENCE)

  • 김재호;이기동;전현호;조장희
    • 대한의용생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의용생체공학회 198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5-37
    • /
    • 1989
  • A new MR angiography technique using a composite sequence for the suppression of static sample signals is proposed and verified with experiments. When the composite [$90^{\circ}-{\tau}-180^{\circ}-2{\tau}-180^{\circ}-{\tau}$] sequence is applied, the large signal from the static sample is sufficiently suppressed but the signal from fresh inflow sample of which amplitude. is observed without suppression. These properties are appropriate for angiographic applications. In this paper, a modified line scan method (Block line scan angiography) incorporated with the composite [$90^{\circ}-{\tau}-180^{\circ}-2{\tau}-180^{\circ}-{\tau}$] sequence is used to obtain flow-only images, i.e., angiograms. The block line scan method improves the resolution in the flow-direction at the expense of imaging time. With the composite sequence, there is no need for subtraction procedure as in the most conventional angiographic methods. Experimental results for a phantom and a normal volunteer with KAIS 2.0 Tesla MRI system are shown.

  • PDF

허혈성 대장염에 동반된 용혈성 요독 증후군 1례 (A Case of Hemolytic Uremic Syndrome in a Child with Ischemic Colitis)

  • 김양현;안선영;박지민;이재승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8권1호
    • /
    • pp.86-90
    • /
    • 2004
  • 저자들은 복통과 구토, 혈변을 주소로 내원한 환아의 바륨 대장 조영술에서 무지문양(thumb-printing)을 확인하여 허혈성 대장염 진단하에 치료 중 미세혈관성 용혈성 빈혈과 혈소판 감소, 전해질 불균형과 급격한 소변량 감소의 급성 신부전 소견을 확인하고 허혈성 대장염에 동반된 용혈성 요독 증후군을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경한 둔상에 의하여 발생한 경골 동맥의 경골비골동체의 가성동맥류 (Pseudoaneurysm of Tibioperoneal Trunk of Tibial Artery Caused by Minor Blunt Trauma)

  • 서승표;황석하;홍성하;김재남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5권5호
    • /
    • pp.431-435
    • /
    • 2020
  • 주로 고에너지 손상이나 관통상에 의해서 발생하는 가성동맥류는 진단이 지연되면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저자들은 계단에서 넘어져 다친 후 처음에는 단순 타박 및 피부 열상으로 진단되었다가 증상이 악화되어 수상 2주일 후 시행한 자기공명영상 검사와 컴퓨터 단층촬영 혈관 조영술에서 경골 동맥의 경골비골동체의 가성동맥류로 뒤늦게 진단된 63세 남자를 치험하였다. 경한 둔상에 의하여 경골비골동체에 가성동맥류가 발생한 예는 아직까지 국내에 보고된 바 없어 이에 저자들은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심폐바이패스없이 심박동상태에서 시행한 관상동맥우회술후 중기 개통율 (Midterm Patency after Off-Pump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 이철;장우익;임청;김기봉;채인호;오병희;이명묵;박영배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4권8호
    • /
    • pp.583-590
    • /
    • 2001
  • 배경: 심폐바이패스없이 심박동상태에서 시행하는 관상동맥우회술 후의 각종 도관들의 1년째 개통율을 심패바이패스하의 심정지상태에서 시행하는 통상적 관상동맥우회술 및 심폐바이패스하의 심박동상태에서 시행한 관상동맥우회술 후의 1년재 개통율과 각각 비교하고 그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심폐바이패스없이 심박동상태에서 시행한 관상동맥우회술(I군; n=122)의 결과를 심폐바이패스하의 심정지상태에서 시행하는 통상적 관상동맥우회술(II군; n=65) 및 심폐바이패스하의 심박동상태에서 시행하는 관상동맥우회술(III군; n=19)의 결과와 비교, 분석하였다. I 군에서는 수술 직후와 수술후 1년째에 관상동맥조영술이 시행되었고, II군 및 III군에서는 수술후 1년째에서 시행되었다. 도관의 개통정도는 A(excellent), B(fair), 혹은 O(occluded)의 3등급으로 평가하였다. 결과: I, II, III군에서의 평균 원위 문합수는 각각 3.1$\pm$1.1, 3.7$\pm$0.9, 3.6$\pm$0.9개 이었다. I 군에서는 92%(112/122)의 환자들에서 퇴원 전 관상동맥조영술이 시행되었는데 개통율 (A+B)은 동맥 도관이 96.4%(162/168), 복재정맥이 85.6%(160/187) 이었다. 74%(90/122)의 환자들에서 술후 1년째 관상동맥조영술이 시행되었으며, 개통율은 동맥 도관이 97.89%(132/135), 복재정맥이 67.9%(106/156) 이었다. II군에서는 65%(42/65)의 환자들에서 술후 1년째 관상동맥조영술이 시행되었다. 개통율은 동맥 도관이 93.5%(43/46), 복재정맥이 88.3%(98/111) 이었다. III군에서는 89%(17/19)DML 환자들에서 술후 1년째 관상동맥조영술이 시행되었다. TRO통율은 동맥 도관이 100%(19/19), 복재정맥이 86.8%(33/38) 이었다. 결론: 세 군간에 동맥 도관들의 1년째 개통율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심폐바이패스 없이 심박동상태에서 시행하는 관상동맥우회술후 복재정맥의 개통율은 수술 직후에도 동맥 도관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았으며(p<0.001), 술후 1년째 복재정맥 개통율 또한 II군(p<0.001) 및 III(p<0.01)의 수술후 1년째 복재정맥 개통율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았다. 이러한 결과는 복재정맥을 이용하여 심폐바이패스없이 시행하는 관상동맥우회술의 경우, 수술전후 항응고 요법에 특별한 주의가 필요할 것이라는 사실을 시사한다.

  • PDF

관상동맥 우회로술 154예이 조기 임상 결과 (Clinical Analysis of the Early Result of Coronary Artery bypass Graft)

  • 송창민;안재범;김우식;신용철;유환국;김병열;김인섭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8권7호
    • /
    • pp.476-482
    • /
    • 2005
  • 최근 들어 관상동맥 질환과 관상동맥 우회술은 점차 증가하고 수술성적은 점차 나아지고 있다. 국립의료원에서도 1985년 관상동맥 우회술을 시작한 이래 154예의 수술을 시행하였으며, 이에 대한 성적을 분석, 보고하는 바이다. 대상 및 방법: 1985년 1월부터 2004년 6월까지 관상동맥 우회술을 받은 148명을 대상으로 154예의 수술을 시행하였으며, 수술 전 진단, 관상동맥 질환 정도, 시행한 수술의 종류, 이식된 혈관의 종류, 원위부 문합수, 동반된 술식, 수술 후 심기능 보조를 위한 대동맥내 풍선펌프의 이용 추이, 수술 후 합병증 및 사망률 등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148명에서 성비는 남녀 각 84명$(56.8\%)$, 64명$(43.2\%)$이었으며, 평균연령은 $58.9\pm8.3$세였다. 수술 전 진단은 불안전성 협심증 97예$(63.0\%)$, 안정성 협심증 31예$(20.1\%)$, 급성 심근경색이 12예$(7.8\%)$, 심근경색 후 협심증이 14예$(19.1\%)$이였다. 수술 전 관상동맥 조영상 좌주 관상동맥질환 12예$(7.8\%)$, 삼혈관 질환 68예$(44.2\%)$, 이 혈관 질환 39예$(25.3\%)$, 일혈관 질환 55예$(22.7\%)$이었다. 총 154예 중 체외순환하 관상동맥 우회술이 78예$(50.6\%)$, 비체외순환하 수술이 76예$(49.4\%)$였고, 3예에서 비체외순환하 관상동맥 우회술에서 체외순환하 관상동맥 우회술로의 전환이 있었다. 원위부 문합수는 총 319개, 평균 $2.06\pm0.96$이었다. 관상동맥 우회술시 다른 수술이 동반되었던 경우가 총 10예$(6.5\%)$였다. 수술 후 대동맥내 풍선펌프는 21예$(13.6\%)$에서 이용하였으나, 비체외순환하 수술에서는 4예$(5.1\%)$로 줄었으며, 전체 사망환자는 12명$(7.9\%)$이었으나, 2001년 이후에는 111예 중 5명$(4.5\%)$으로 감소하였다. 수술합병증으로 수술 전후의 심근경색증 9예$(5.8\%)$, 저심박출증 17예$(11\%)$, 부정맥 30예$(19.5\%)$등이었다. 결론: 국립의료원 흉부외과에서는 관상동맥 우회술을 시작한 이래 수술경험의 축적, 비체외순환하 관상동맥 우회술의 도입, 내흉동맥 및 요골동맥으로의 이식편 이용 변화에 따라 수술성적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으며, 향후 더 많은 임상경험의 축적 및 장기 추적 관찰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Takayasu 동맥염에서 Aorto-bicarotid-biaxillary Bypass -1예 보고 - (Aorto-bicarotid-biaxillary Bypass in Takayasu′s Arteritis -One case report-)

  • 김대현;이인호;윤호철;김수철;김범식;조규석;박주철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7권2호
    • /
    • pp.176-179
    • /
    • 2004
  • 30세 여자 환자가 어지러움증과 심계항진을 주소로 입원하였다. 양측 상지 및 양측 총경동맥에서 맥박이 촉지되지 않았으며, 대동맥 조영술상 무명동맥과 양측 총경동맥이 심하게 좁아져 있었고 양측 쇄골하동맥은 완전 폐쇄되어 있었다. 제Ⅰ형의 Takayasu 동맥염으로 진단하고 뇌 혈류 개선과 양측 상지의 혈류 개선을 위해 수술을 시행하였다. 4개의 서로 다른 절개를 통해 상행 대동맥, 양측 경동맥, 양측 쇄골하동맥, 양측 액와동맥을 노출시키고 인조 혈관을 이용하여 상행 대동맥-양측 총경동맥-양측 액와동맥 간의 우회술을 시행하였으며, 수술 후 어지러움증과 심계항진은 사라졌다.

Behcet's 병을 동반한 Budd-Chiari 증후군 -1례 보고- (Budd-Chiari Syndrome Complicating Behcet's Disease -Report of one case-)

  • 오봉석;김보영;김인광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2호
    • /
    • pp.219-222
    • /
    • 1996
  • 34세 남자가 복수 및 복부 팽 만감을 주소로 입원하였다. 단층촬영 및 하대정맥 조영술상 간정맥 직상부의 하대 정맥폐색이 의심되는 Budd-Chiari 증후군으로 진단되었다. 대증요법으로 간문맥고혈압과 하대정맥폐색증상이 호전이 안되어, 체외순환, 중등도저체온 및 정 상심박동하에 폐색부위절제술 및 하대정맥성형술을 10mm인조혈관을 사용하여 시행하였다. 술후 환자는 구강및 피부와 이학적 검사상 구강궤양, 피하 혈전성 정맥염, 모낭염성 병변, 피부의 자극성 항진 및 포도막염이 관찰되었고 상대정맥 폐색증상이 병발하였으며 Behcet씨 병으로 진단되었다.

  • PDF

Lemierre 증후군의 수술 치험 -1례 보고- (Surgical Treatment of Lemierre′s Syndrome -A case report-)

  • 오정훈;이정철;이동협;이장훈;정태은;한승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4권8호
    • /
    • pp.644-647
    • /
    • 2001
  • Lemierre 증후군은 원발성 구인두 감염증으로 인하여 내경정맥의 패혈성 혈전정맥염과 원격전이성 감염증이 발생하는 드물고도 진행이 빠른 임상적 상태로 특징지워진다. 심한 흉부 외상으로 기관 절개하에서 기계호흡 치료 중이던 40세 남자 환자가 우측 경부의 현저한 종창과 폐렴증상이 나타나면서 전신적인 패혈증상이 동반되었다. 경부 전산화 단층촬영과 자기공명 혈관조영술에서 우측 내경정맥이 큰 중심 괴사성 혈전에 의해 완전히 폐쇄되어 있었으며, 주위로의 염증파급이 매우 심한 혈전정맥염의 소견을 보였다. Clindamycin과 haparin의 투여에도 불구하고 염증소견은 더욱 악화되었다. 즉각적인 내경정맥 혈전제거술 및 절제술을 시행하였으며, 이후 환자의 전신적인 패혈증상과 폐렴 그리고 국소적인 염증소견이 소실되었다.

  • PDF

경구경계부식도암에서 흉강경을 이용한 근치적 식도암적출술 (Thoracoscopic Radical Esophagectomy in Cervico-Thoracic Esophageal Cancer)

  • 박재길;이선희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6호
    • /
    • pp.681-688
    • /
    • 1996
  • 경구경계부 식도에 발생된 악성종양의 경우에는 진단시에 이미 식도에 밀접해 있는 기관과 주요 신경 그리고 혈관등에 침범되어 있는 경우가 많으며, 또한 외과적 절제에도 기술적인 어려움이 있어 식도암 의 발생부위중 가장 예후가 불량한 부위로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진행형 경흥경계부 식도암 환자 1례에서 합병치료로 종양의 묶췄를 향상시킨후, 흥강경 을 이용한비개흥적 종격동 림프절적출과 경부의 림프절을 확대적출함으로써 근치도III의 고치요도술을 시행하였다. 술후 끌병증의 발병없이 식도조영술에서 양호한 조명제의 통과소견을 보였으며, 병 리 조직학적 소견상 조기식도암(TINOMO, SM2)으로 판정되어 술후 합병치료는 시행하지 않고 경과를 관찰중에 있다.

  • PDF

정위방사선수술 시스템의 임상 적용을 위한 QA (QA of a stereotactic radiosurgery system for clinical application)

  • 조병철;오도훈;배훈식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10권2호
    • /
    • pp.89-94
    • /
    • 1999
  • BRW 정위프레임을 사용하여 정위방사선수술을 시행하기 위해 1) 정위방사선수술용 원형 콜리메이터, 2) 혈관조영술을 통하여 치료 위치 결정을 위한 localizer, 3) 결정된 치료위치를 치료기에서 조준하기 위한 target localizer, 4) 정위방사선수술용 컴퓨터 치료계획 시스템으로 구성되는 정위방사 선수술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저자들은 자체 개발한 정위방사선수술 시스템의 임상 적용에 앞서, 인체 모형 팬톰 및 QA용 팬톰을 사용하여 일련의 모의 치료를 시행하여 봄으로써 위치 오차의 정도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실험결과 ,1) 기하 팬톰을 이용한 컴퓨터 치료계획 시스템의 위치 확인 정확도는 평균값, Avg.=(equation omitted)이 1.0mm 이었으며, 2) 치료기의 중심점의 기계적 정밀도는 0.6 $\pm$ 0.2 mm, 3) 컴퓨터단층촬영 및 혈관조영술을 이용한 가상 타켓의 위치 계산의 차이는 0.8 mm 크기 차이는 1.5 mm 로 분석되었고, 4)전 치료과정에 대한 위치오차는 0.9$\pm$0.3 mm 로 나타났다. 이들 결과를 종합해 볼 때 , 저자들이 개발한 정위방사선수술 시스템의 기하학적 위치에 대한 정확도는 임상 적용에 적정 범위 안에 포함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정확도의 유지를 위해서는 정기적인 QA가 필수적이라 하겠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