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혈관활성

검색결과 326건 처리시간 0.023초

한방차 조성물의 세포활성과 혈관이완 효과에 대한 융합적 연구 (Convergence Study of Cell Viability and Vascular Relaxtion of Hanbang-tea Prescrpition)

  • 박성혜;민제호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291-297
    • /
    • 2017
  • 본 연구는 혈관 활성에 도움이 되는 한방차를 개발하고, 섭취효능에 대한 동 서 융합적인 접근 필요성에 대한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기미론에 따라 혈관 활성을 가질 수 있는 포공영(Taraxaci Herba), 치자(Gardeniae Fructus), 감국(Chrysanthemum indicum) 및 금은화(Lonicerae Flos)를 선정하여 조성물을 만들고 각각 재료와 조성물의 영양성분, 조성물이 세포활성에 미치는 영향 및 수축혈관에 대한 이완정도를 분석하였다. 기미론적 원리에 따른 한방차 조성물은 체내 열을 제거하고 혈액순환을 촉진할 수 있는 효능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네 가지를 재료를 배합한 조성물은 세포활성에 유익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조성물은 수축혈관에 대해 이완효과를 가지고 있었고 조성물의 농도가 높을수록 수축된 혈관의 이완효과가 큰 것으로 관찰되어 이 조성물이 혈관 활성에 긍정적 영향을 주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한방차 조성물의 기미 특성과 현대 영양학의 특성이 융합된 섭취효능을 제시하였다고 사료된다.

반하 용매별 추출물의 생리활성 (Physiological Functionalities of Solvent Extracts of Pinellia ternata)

  • 김준호;오혜숙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83-83
    • /
    • 2009
  • 암을 제외한 대부분의 성인병은 혈액순환과 관련된 혈관계 질환들로 이들에 의한 사망 비율의 합은 암의 비율과 비슷하게 나타나 혈관계 질환의 심각성을 나타내고 있다. 혈전에 의한 혈관계 질환은 혈전용해제와 트롬빈저해제를 이용하여 치료하고 예방할 수 있으며, a-glucosidase 저해제는 당뇨병 예방과 치료에 이용할 수 있다. 예로부터 민간요법에서 다양하게 이용되어 왔던 반하를 성인병 치료와 예방에 관련된 기능성식품의 자료로 사용하기 위해 반하 열수추출물을 유기 용매로 분획화하고 분획물의 혈전용해활성, 트롬빈저해활성, 혈당강하효과를 측정하였다. 혈전을 직접 용해하는 활성을 측정하기위해 100 mg/ml의 농도로 준비한 시료액을 fibrin plate 방법을 이용하여 혈전용해활성을 측정 결과 hexane 층, chloroform 층, ethyl acetate 층, butanol 층에서는 활성을 나타내지 않았지만 물 층에서 만 0.8 plasmin unit의 높은 혈전용해활성을 나타냈다. 혈전의 형성을 억제하기위해 혈전형성의 필수 효소인 트롬빈의 활성을 저해하는 트롬빈저해활성을 측정하기위해 10 배 희석한 (10 mg/ml) 시료 용액을 이용하여 트롬빈저해활성을 측정결과 hexane 층에서 75.3%의 높은 트롬빈저해활성을 나타냈으며, ethyl acetate 층과 chloroform에서도 각각 43.3%와 39.7%의 활성을 나타냈다. 또한 탄수화물의 소화를 지연시킴으로서 소장에서 포도당의 흡수를 억제하여 혈관내 당의 농도를 조절하는 혈당강하제의 개발을 위해 준비된 조효소액(10 mg/ml)을 이용하여 a-glucosid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ethyl acetate 층과 hexane 층에서 각각 24.9%와 23.4%의 저해활성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반하의 hexane 층과 ethyl acetate 층과 물층은 혈전관련 혈관계 질환과 당뇨병 관련 기능성 식품의 개발 소재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최근 질병 치료에 효과는 크지만 부작용이 동반되는 화학약품들 대신 활성은 조금 뒤지지만 부작용이 없는 생약을 이용하려는 경향이 커지고 있다. 따라서 오랫동안 민간용법에서 사용되고 있는 반하는 안정성이 확인된 장점을 갖고 있어, 식품재료나 기능성 음료에 이용할 경우 장기간 섭취가 가능해 혈관계 질환의 치료와 예방에 큰 효과를 가져 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후코이단이 혈관 내피세포의 신생혈관 생성 효과 및 관련 유전자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ucoidan on Angiogenesis and Gene Expression in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s)

  • 박호;김범수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323-328
    • /
    • 2017
  • 신생혈관생성은 여러 신생혈관 생성 인자들이 포함되는 중요한 과정이며, 특히 이 과정에서는 섬유아세포증식인자(FGF-2)는 세포의 증식률과 미세관 형성을 촉진하기 때문에 중요한 신생혈관 생성인자로 여겨진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해조류에서 추출되는 후코이단 다당류 물질이 섬유아세포 증식인자2에 의한 혈관내피세포의 미세관형성을 더욱 촉진한다고 보고하였다. 그러나 섬유아세포 증식인자와 후코이단 복합처리에 따른 신생혈관생성 활성에 대한 분자적 메카니즘은 아직 연구가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신생혈관생성 활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섬유아세포 증식인자와 후코이단 물질의 복합처리에 따른 세포의 증식과 미세관형성률 그리고 세포의 이동율을 측정하였다. 또한 이들의 신생혈관 생성 활성에 관련된 인자를 탐색하기 위하여 VEGF-A, ICAM-1, MMP9, 그리고 ICAM-1 유전자를 연전사 중합연쇄반응으로 평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는 후코이단과 섬유아세포 증식인자 복합처리는 혈관내피세포의 성장률, 미세관 형성률 그리고 세포의 이동률을 촉진하고, 이 과정에서 신생혈관생성 기능과 관련된 STAT3, VEGF-A, MMP9 그리고 ICAM-1의 유전자 발현을 촉진함으로 신생혈관 생성활성이 나타나는 것으로 보여진다. 그러나 이러한 유전자 발현이 fucoidan/FGF2에 의한 angiogenic 활성 촉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VEGF 조절을 통한 육계 추출물의 신생혈관 형성 촉진 작용 (Stimulatory Efect of Cinnamomum cassia Extract on Angiogenesis Through Regulation of VEGF)

  • 고정민;이상훈;백용현;최도영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6권1호
    • /
    • pp.153-162
    • /
    • 2009
  • 목적 : 한의학 분야에서 육계(CCE: Cinnamomum cassia)는 혈류 순환이 저하된 상태에 널리 쓰이는 약재이다. 이 연구에서는 CCE와 그 활성 혼합물인 cinnamic acid가 in vitro와 in vivo에서 발휘하는 신생혈관 형성 작용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 CCE와 CA의 신생혈관형성 작용을 알아보기 위하여 Human unbilical endothelial cells(HUVECs)와 Bovine arterial endothelial cells(BAECs) 그리고 Matrigel assay를 이용하였다. 결과 : In vitro에서 CCE와 그 활성 혼합물은 HUVEC 증식, 이동, 모세혈관-유사 관 형성을 유도한다. CCE에서의 25-50% 증가(1 또는 10ng/ml 용량에서)는 CA에서 증식과 유사하게 나타났다. HUVEC에서는 증식이 뚜렷하게 나타났으나 BAEC에서는 증식이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아 증식 효과는 내피세포의 기원에 따라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BAEC는 CCE와 CA에서 증식은 보이지 않았지만 이동과 모세혈관-유사 관 형성 또는 분화를 보였다. 또한 CCE와 CA는 HUVEC에서 VEGF 발현과 Flk-1/KDR 발현을 각각 2.2배와 2.5배 증가시켰다. 결론 : CCE와 그 활성 혼합물은 in vivo와 in vitro에서 혈관 내피세포의 VEGF 발현을 통하여 신생혈관 형성 작용을 유도하며 이는 앞으로 다른 한약 추출물의 신생혈관형성 촉진 작용 연구에 모델을 제시할 것으로 보인다.

  • PDF

호장근으로부터 분리된 emodin의 혈관신생 억제 활성 (Emodin from Polygonum cuspidatum showed Angiogenesis Inhibiting Activity in vitro)

  • 이태규;김종화;소준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6권1호
    • /
    • pp.50-54
    • /
    • 2003
  • 호장근에서 분리한 emodin은 VEGF로 유도된 혈관신생의 한 단계인 혈관내피세포의 이동을 강하게 억제하였다. 또한 emodin은 혈관내피세포 이동을 억제시킨 $0.1\;{\mu}g/ml$ 농도에서 시험관내 혈관신생을 억제하였으며, 그 효과는 농도의존적인 양상을 보였다. 생체내 혈관신생 모델인 CAM assay에서도 emodin은 혈관신생을 억제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emodin이 현재까지 보고된 여러 가지 생리활성 이외에 혈관신생 억제활성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것이다. 따라서 emodin을 함유하고 있는 호장근은 혈관신생 관련 질환에 대한 천연물 유래 치료제의 개발을 위한 중요한 식물자원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허혈-재관류 : 미세혈관 기능 장애의 기전 (Ischemia-Reperfusion : Mechanism of Microvascular Dysfunction)

  • 박재홍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5권3호
    • /
    • pp.295-301
    • /
    • 2002
  • 미세혈관의 모든 분절(세동맥, 모세혈관, 세정맥)에 있는 내피세포의 기능은 허혈-재관류(ischemia-reperfusion)에 노출시 장애가 발생하게 되는데, 세동맥에서는 혈관확장 능력이 떨어지고, 모세혈관에서는 체액 여과 및 백혈구에 의한 혈관의 막힘(leukocyte plugging)이 증가되며, 세정맥에서는 백혈구-내피세포 접착(leukocyte-endothelial cell adhesion)과 단백의 혈관 외 누출이 증가한다. 활성 산소(reactive oxygen species)와 nitric oxide의 생산의 불균형은 이들 반응을 촉진시키며, 심혈관 질환의 위험 인자인 hypercholesterolemia, 당뇨병, 고혈압 등은 I/R에 대한 미세혈관 반응을 더욱 악화시킨다.

Lycopene의 새로운 혈관내피세포 생리활성 (Novel Function of Lycopene in Vascular Endothelial Cell)

  • 조진구;김성현;서정화;안선영;정은실;박헌용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7호
    • /
    • pp.1093-1099
    • /
    • 2010
  • 항암 효과와 항산화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진 lycopene은 심혈관에서의 기능이 현재까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lycopene의 심혈관 기능을 알기 위해 혈관내피세포를 이용해 다양한 세포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lycopene은 내피세포의 성장 및 이동을 촉진하였으나 세포사멸에는 영향이 없었다. 또한, 백혈구의 혈관내피세포 부착을 억제하였고 내피세포 내 신호전달물질인 MAPK들의 활성을 촉발하였다. MAPK의 활성 억제제를 이용한 신호전달기전 연구실험 결과, ERK와 p38 MAPK의 활성은 세포성장에 관여하고, JNK의 활성은 세포이동에 관여함을 확인하였다. 종합하면, lycopene은 혈관내피세포의 신호전달 물질인 MAPK들를 통해 세포성장 및 이동을 촉진시키며, LPS에 의한 THP-1의 내피세포 부착을 억제 하는 등 혈관내피세포의 다양한 생리활성을 조절한다. Lycopene의 이러한 혈관내피세포 기능들은 lycopene이 혈관질환 치료제로 응용될 가능성이 있음을 의미한다.

봉약침액과 melittin의 세포고사 효과가 FBS에 의하여 유도되는 혈관 평활근 세포 증식에 미치는 영향 (The Apoptotic Effect of Bee Venom and Melittin on FBS-induced Vascular Smooth Muscle Cells Proliferation)

  • 한재춘;송호섭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3권3호
    • /
    • pp.91-102
    • /
    • 2006
  • 목적 : 이 연구에서는 FBS에 의하여 유도되는 혈관 평활근 세포 증식에 대한 봉약침액과 Melittin의 세포 고사효과의 영향 및 작용 기전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 $I{\kappa}Ba$, p-$I{\kappa}Ba$, p-ERK1/2, p-Akt, p53, Bcl-2, Bax 및 active caspase-3는 Western blotting을, $NF-{\kappa}B$는 EMSA와 immunofluorescence staining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 : 1. Melittin은 $NF-{\kappa}B$ 활성에 대하여 $I{\kappa}Ba$의 인산화를 유의하게 익제하고 $I{\kappa}Ba$를 증가시켰으며, $NF-{\kappa}B$의 DNA 결합과 $NF-{\kappa}B$ p50의 핵 내 유입을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2. Melittin은 $NF-{\kappa}B$ 활성을 증가시키는 물질인 Akt의 인산화를 유의하게 억제하였고, ERK1/2의 인산화도 억제하였다. 3. Melittin은 세포사멸 전구 단백질인 p53, Bax 및 caspase-3의 발현을 유의하게 증가시켰고, 세포사멸억제 단백질인 Bcl-2의 발현은 감소시켰다. 결론 : 이상의 결과는 $NF-{\kappa}B$ 와 Akt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혈관평활근세포 증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을 입증한 것이며, 향후 안전성 연구를 바탕으로 혈관성형술 후 재발성협착증과 동맥경화증의 치료제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면역계 질환 치료제로서의 인삼의 생리활성 성분의 개발 연구

  • 이시용;김경만;임동구;오기완;최수형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4년도 춘계학술대회 and 제3회 신약개발 연구발표회
    • /
    • pp.232-232
    • /
    • 1994
  • 인삼이 면역계 질환의 일종인 과민성 반응에 대한 치료약으로서의 가능성을 연구하기 위해서 in viva와 in vitra실험을 수행하였다. in vitra실험으로서는 hyaluronidase의 활성을 지표로 삼았으며, in viva실험에서는 mouse이각, rat등피부, 복강 비만세포, 그리고 guinea pig의 ileum에서 면역반응에 대한 아답타겐의 작용을 관찰하였다. in uitra 실험에서는 hyaluronidase와 histamine 분비를 항알레르기 작용의 지표로 사용하였다. hyaluronidase의 경우 그 활성은 Cacl2로 활성화 시키기 전이나 후에 모두 아답타겐(100, 50, 및 10 mg/ml)에 의해서 현저하게 억제되었다. 한편 rat 복강 비만 세포에서의 histamine유리 시험에서는 아답타겐(0.5, 1, 5mg/ml)이 histamine유리가 증가되었다. Guinea pig의 ileum 평활근에서는 아답타겐이 평활근 자극 작용없이 항히스타민 효과률 나타내었다. in uiua 실험의 첫 단계로 우리는 혈관 투과성에 미치는 아답타겐의 효과를 mouse 이각과 rat 등피부에서 관찰하였다. Mouse이각에서의 실험에서는 hoistamine, serotonin, 그리고 LTC4로 challenge하여 관찰한 결과 histamine과 serotonin의 경우, 혈관투과성 항진은 아답타겐(50-400mg/m1)에 의해서 유의성있게 억제되었으나, rat 등 피부에서는 mouse에서와는 달리 48-hr PCA가 증가 되었고, histamine에 의한 혈관투과성 항진은 아답타겐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았다. 반면에 compound 48/80과 serotonin에 의한 혈관투과성 항진은 mouse 의 경우에서처럼 아답타겐에 의해 억제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