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혈관침습

검색결과 240건 처리시간 0.018초

유미흉에서 늑막외층 접근법을 통한 흉관 결찰술 -치험 1예- (Ligation of Thoracic Duct Via Extrapleural Approach for the Treatment of Chylothorax - Report of 1 case-)

  • 김성완;김덕실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6권11호
    • /
    • pp.883-885
    • /
    • 2003
  • 보존적 치료로 해결되지 않는 유미흉의 전통적인 수술적 치료방법은 우측 개흉술을 통한 흉관 결찰술이다. 저자들은 늑막외층 접근법을 이용한 새로운 흉관 결찰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이 수술의 장점은 통상적인 개흉술에 비해 환자에게 덜 침습적이며, 술후 새로운 흉관을 넣을 필요가 없고, 흉관을 찾기가 더 쉽다는 점이다. 저자들은 새로운 수술 방법으로 유미흉을 치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흉강경을 이용한 횡격막 거상증 치험 1례 (Videothoracoscopic Repair of Diaphragmatic Eventration -A Case Report-)

  • 정윤섭;염욱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2권3호
    • /
    • pp.330-332
    • /
    • 1999
  • 좌측 횡격막 거상증을 가진 40세 여자 환자에게 흉강경을 이용하여 횡격막 주름성형술을 시행하였다. 술후 흉부 X선 사진에서 좌측 횡격막의 하강과 좌측폐의 팽창을 확인할 수 있었다. 횡격막 거상증 환자에게 흉강경을 이용하여 수술하면 최소 침습적 수술이 갖는 여러 장점을 환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 PDF

경피적 경혈관 관상동맥 중재술과 최소침습성 관상동맥 우회술의 병용요법 (Combined Percutaneous Transluminal Coronary Angioplasty and Minimally Invasive Coronary Arterial Bypass Grafting(Hybrid CABG))

  • 장지민;유원희;김기봉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2권12호
    • /
    • pp.1127-1130
    • /
    • 1999
  •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including intracoronary stenting is currently an accepted treatment modality in the treatment of coronary artery disease and is widely performed to treat the patient with multivessel disease with decreased morbidities and less cost compared with conventional coronary rtery bypass grafting(CABG), Repeated interventions due to restenosis even after successful angioplasty are the major disadvantage of the angioplsty especially when the lesion is located inthe left anterior descending artery(LAD) Recently CABG through left anterior small thoracotomy using the left internal thoracic artery to revascularize the LAD territory without cardiopulmonary bypass so called Minimally Invasive Direct Coronary Artery Bypass(MIDCAB) was intrduced and performed with comparable early outcomes. In this regard the integrated approach with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and minimally invasive direct coronary artery bypass surgery so called 'Hybrid CABG' was suggested to be an effective treatment in suitable patients with multivessel coronary artery disease. We report three cases of Hybrid CABG.

  • PDF

이소성 간으로 오진된 좌폐 하엽의 결핵종 (A Tuberculoma in the Left Lower Lobe of Lung That Was Erroneously Diagnosed as Ectopic Liver)

  • 송동섭;한원철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2권6호
    • /
    • pp.789-791
    • /
    • 2009
  • 폐의 결핵종은 드물지 않게 관찰되는 소견이다. 그러나, 폐의 이소성 간은 매우 드물다. 결핵종으로 보여지는 폐결핵은 방사선적 소견으로 진단이 가능하지만 확진은 항산균을 확인하거나 조직학적 소견으로 한다. 초음파하 세침 흡인 조직 검사로 이소성간으로 잘못 진단된 좌하엽의 결핵종 증례를 보고한다. 간의 정상적 변이에 대한 이해가 불필요한 침습적 시술을 예방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Coil과 Fibrin Glue를 이용한 기관지 내시경하 기관지 늑막강루의 치료- 1예 보고 - (Bronchoscopic Treatment of a Bronchopleural Fistula with using Coils and Fibrin Glue - A case report -)

  • 조성준;류세민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0권9호
    • /
    • pp.648-650
    • /
    • 2007
  • 기관지늑막강루는 드문 질환이지만, 일단 생기면 높은 이완율과 치명률을 보이며 입원 기간과 비용부담이 초래되는 합병증의 하나이다. 일반적으로 수술적 치료가 우선이지만, 최근 들어 비침습적 방법으로 기관지 내시경을 이용한 치료가 보고되고 있다. 괴사성 폐렴에 합병된 기관지 늑막강루를 코일과 글루를 사용하여 기관지내시경을 이용, 성공적으로 치료하였기에 그 결과를 보고한다.

좌내흉동맥과 복재정맥편을 사용한 관상동맥우회로술 환자에서의 추적조사에서 MDCT의 유용성 (Effectiveness of MDCT for the Followup of CABG Patients with LIMA to LAD and Saphenous Veins to Others)

  • 강준규;김형태;박인덕;정영미;이철주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8권6호
    • /
    • pp.410-414
    • /
    • 2005
  • 관상동맥우회로술 시에 이식편으로 사용되는 혈관들의 조합은 다양하다. 또한 수술 후의 장기 추적조사에 침습적인 관상동맥조영술을 이용하는데는 제한이 되어왔다. 본 연구에서는 좌내흉동맥을 좌전하행지에, 나머지의 목표혈관에는 복재정맥편을 사용하는 고전적인 방법으로 수술한 환자들에서 외래에서 비침습적인 MDCT로 이식편의 개존유무를 수술자의 입장에서 확인하는 방법의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아주대학교의료원 흉부외과에서 1995년부터 2003년 사이에 다중관상동맥질환으로 관상동맥우회로술을 받았던 환자들 중 외래추적조사에서 특별한 증세의 재발을 호소하지 않았던 환자들을 대상으로 환자의 동의 하에 16 Channel MDCT를 시행하였던 80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이식도관의 개존성을 분석하였다. 결과: 대상환자 중 남녀비는 61:19였으며 평균연령은 $58.9\pm8.9$세였다. MDCT의 촬영시점은 최소 수술 후 7일에서 수술 후 9년으로 중앙값은 6.5년이었다. 환자당 평균 $3.10\pm1.9$개의 도관이 이식되었다. 좌전하행지에 좌내흉동맥을 72명의 환자에 이식하였고, 나머지의 목표혈관에는 복재정맥편을 이식하였다. 복재정맥편의 목표혈관은 좌전하행지 8예, 우관상동맥에 47예, 둔각지에 61예, 대각지에 60예를 각각 이식하였으며, 이중 42예에서 연속문합을 시행하였다. 이식편의 5년개존율이 좌내흉동맥이 $93.1\%$였고 복재정맥괸이 $89.3\%$였다 복재정맥편의 목표혈관별 5년개존율은 대각지 $94.9\%$, 둔각지$92.1\%$, 그리고 우관상동맥이 $79.2\%$순이었다. 복재정맥편의 경우 단독문합의 페쇄율이 $5\~21.3\%$로 연속문합의 $4.8\%$에 비해 높았다. 걸론: 관상동맥우회로 술 후에 외래추적기간 중 시행한 MDCT는 이식도관의 개존을 확인하는데 효과적이었으며, 향후 영상의 해상도가 높아지면 관상동맥의 질환을 진단하는데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조사의 결과에 의하면 관상동맥우회로술시에 좌내흉동맥과 복재정맥편을 혼용한 수술의 결과는 만족한 것으로 판단된다.

수막 혈관주위세포종 환자에서의 수술과 방사선치료 -증례보고- (Meningeal Hemangiopericytoma Treated with Surgery and Radiation Therapy - Case Report -)

  • 장지영;오윤경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4권2호
    • /
    • pp.149-155
    • /
    • 2006
  • 수막에 발생하는 혈관주위세포종은 경질막에 기초한 드문 종양으로서 국소재발과 함께 신경축이나 신경외 장소로 원격전이를 일으킬 수도 있다. 저자들은 수막에 발생한 혈관주위세포종 환자 2예에서 수술 전 방사선치료와 수술 후 방사선치료를 각각 경험하였기에 방사선치료의 역할에 관한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한다. 첫 번째 증례는 41세 남자로 3개월 동안 두통과 우측 반부전마비가 있었다. 1차 수술과 2차 수술 시 종양은 거의 제거할 수 없었고 수막 혈관주위세포종으로 진단되었다. 수술 전 방사선치료를 좌측 전두두정부의 큰 잔여종양에 일 회에 1.8 Gy씩 31회에 걸쳐 총 55.8 Gy를 조사하였다. 방사선치료 후 CT검사상 종양은 현저하게 크기가 줄었고 방사선치료 후 6개월에 시행한 3차 수술 시 잔여 종양의 크기는 $2{\times}2cm$로 완전히 제거되었다. 추적 CT검사상 국소재발의 소견은 없었고, 1차 수술 후 4년 10개월 동안 원격 전이 없이 생존하고 있다. 두 번째 증례는 45세 여자로 갑작스러운 두통과 시력 장애로 수막종이 의심되어 종양제거수술을 받았는데 조직 검사상 우측 전두엽에 발생한 혈관주위세포종으로 진단되었으며 시상동을 침습한 소견을 보였으나 완전히 제거되었다. 국소재발을 줄이기 위해 수술 후 방사선치료가 의뢰되었고 방사선치료는 우측전두엽 부위에 일 회에 1.8 Gy씩 30회에 걸쳐 총 54 Gy를 조사하였다. 수술 후 5년 동안 국소 재발이나 원격전이 없이 정상적인 활동을 유지하면서 생존하고 있다.

신장동맥색전술을 실시한 개의 실험적 수신증의 혈동학 (Renal hemodynamics in dogs with experimental hydronephrosis treated with transarterial embolization of renal artery)

  • 장동우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413-419
    • /
    • 2001
  • 개에서 실험적으로 편측성 신수종증을 유발한 후, 이오헥솔-에탄올 용액을 신장동맥내로 주입하여 신수종증이 유발된 신장으로서의 혈류를 차단하는 신동맥 색전술을 실시한 후, 컬러 도플러 초음파상을 이용하여 색전술이 실시된 신수종증의 신장과 반대편 정상신장을 평가하고자 본 실험을 실시하였다. 수뇨관 결찰 후, 유발 전에 비하여 혈관저항지수가 4일, 9일, 17일째에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BUN, creatinine, ALT, calcium, phosphorus는 변화하지 않았다. 이를 통하여 12두의 개에서 요관 결찰 17일째에 편측성 수신증이 유발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신장동맥 색전술은 7두의 신수종증이 유발된 신장측의 신장동맥에 대퇴동맥을 통하여 선택적으로 카테터를 삽입한 후 이오헥솔-에탄올 용액을 주입하였으며, 시술 중 심전도, 산소포화도, 체온 맥박, 호흡수는 모두 정상범위에 있었다. 신장동맥 색전술 후 사망한 개체는 없었으며, 색전물질의 유출로 인한 부작용도 관찰할 수 없었다. 색전술 실시 후 시행한 칼라도플러 초음파 검사에서는 7두 모두에서 실험 전 기간에 걸쳐 색전된 신장에서 혈관신호를 관찰할 수 없었으나, 색전술을 실시하지 않은 5두에서는 신장내에서 혈관신호를 관찰할 수 있었다. 그리고 색전술을 실시한 7두의 정상신장의 평균 혈관저항지수는 정상견의 혈관저항지수와 유의적인 차이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칼러 도플러 초음파 검사법은 개의 수신증에 실시한 신장동맥 색전술 후의 신장동맥의 재맥관화를 평가할 수 있는 간편하며, 비침습적인 검사법으로 사료된다.

  • PDF

흉요추부에서 발견된 경막외 해면상 혈관종 - 증례 보고 - (A Thoracolumbar Pure Spinal Epidural Cavernous Hemangioma - A Case Report -)

  • 최병삼;김주연;이승준
    • 대한척추외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169-174
    • /
    • 2018
  • 연구계획: 증례 보고 목적: 신경인성 종양과 유사한 흉요추부의 경막외 해면상 혈관종 환자를 보고하고자 한다. 선행 연구문헌의 요약: 뼈에 침습이 없는 경막외 해면상 혈관종은 매우 드문 질환으로 제한된 문헌 보고만이 존재한다. 대상 및 방법: 53세 여자 환자가 내원 한달여 전부터 시작된 좌측 하지의 감각저하를 동반한 저린 느낌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내원시 시행한 신경학적 검진에서 기타 다른 신경학적 이상 소견은 관찰되지 않았다. 자기공명영상에서는 흉추 11-12번간 좌측 추간공에 $2{\times}0.5cm$ 크기의 종괴가 관찰되었다. 수술을 시행하여 이를 완전 적출하였다. 결과: 병리 검사에서 해면상 혈관종이 확진되었다. 수술 부위의 약한 통증을 제외하고, 추적 관찰 2년동안 추가적인 신경학적인 증상 발생 없이 좋은 결과를 보였다. 수술 후 2년째에 촬영한 MRI에서 종양의 재발 소견은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척추의 경막외 해면상 혈관종은 매우 드문 질환이며, 다른 경막외 병변들과 감별하기는 쉽지 않다. 그러나, 수술적 치료의 좋은 예후를 보이는 점을 감안하면, 경막외 병변의 감별진단시 이를 반드시 고려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노년 동맥관계존증에서의 경침습 외과적 도관폐쇄술 (Less Invasive Surgical Transcatheter Closure in an Old Patient with Patent Ductus Arteriosus Porstmann's Procedure-)

  • 선경;김정택;김광호;김현태;권준;박금수;이우형;이춘수;구마테 무네타카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3호
    • /
    • pp.311-314
    • /
    • 1998
  • 68세된 고령의 여자 환자에서 폐고혈압과 동맥관 및 주변 대동맥의 석회화 병변이 동반된 동맥관개존증이 발견되어 Porstmann 술식을 이용해 성공적으로 폐쇄시켰다. 저자 등은 Rashkind 술식이 부적당하거나 실패한 일부 경우에서 Porstmann 술식이 개흉술을 대치할 수 있는 경침습 외과적 도관 폐쇄술로서 의의가 있다고 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