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혈관생성

검색결과 276건 처리시간 0.026초

호중구의 Respiratory Burst에 미치는 PLA2 및 PAF와 영향 : In vitro에서의 호중구의 산소기 생성 및 Apoptosis에 관한 연구 (Effect of the Inhibition of PLA2 and PAF on the Neutrophilic Respiratory Burst and Apoptosis)

  • 이영만;김상경;박윤엽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8권6호
    • /
    • pp.887-897
    • /
    • 2000
  • 연구배경 : 급성호흡부전증후군(ARDS)의 병인론을 호중구의 산소기 생성 및 apoptosis 의 관정에서 PLA2 및 PAF의 역할과 연관하여 알아보았다. ARDS의 원인 중 산소기의 역할이 주로 염증성 cytokine 및 지질분자와 관련하여 연구되고 있는 점에 착안하여 내독소에 의한 PLA2, PAF의 작용 및 이에 따른 호중구의 혈관내피세포로의 유착, 산소기에 의한 pulmonary surfactant의 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다. 방법 : PMA로 자극된 호중구에서 PLA2 및 PAF의 억제에 따른 산소기 형성의 변화에 대해서도 알아보았으며 내독소에 의한 호중구에서의 PLA2활동도의 변화, lysoPAF remodelling에 미치는 PLA2 및 PAF의 억제의 효과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다. 또한 내독소 및 PMA에 의해 자극된 상태에서의 PLA2 및 PAF의 억제가 호중구의 apoptosis에 미치는 영향도 알아보았다. 호중구에 의한 조직의 손상은 혈관내피세포로의 호중구의 유착이 선행되어야 하므로 이러한 작용에 PLA2 및 PAF가 미치는 영향을 호중구 유착검사를 통하여 알아보았고 형태학적으로는 산소기와 pulmonary surfactant의 결합을 확인하였다. 결론 : ARDS 시의 호중구의 역할은 PLA2 및 PAF의 작용에 의한 산소기 형성 및 염증성 지질분자의 생성을 통해 조작의 손상을 유발하는 듯하며 이때 PLA2의 억제는 호중구의 apoptosis의 증가 및 산소기의 생성을 감소시키고 또한 호중구의 혈관내피세포로의 유착을 감소시켰다. PAF의 억제는 호중구의 산소기 생성의 감소 및 호중구의 유착을 억제하여 조직의 손상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진피(陳皮)의 염증 억제 효과 (Anti-inflammatory Effect of Citrus Unshiu)

  • 박성혁;윤상학;권영미;염승룡;권영달;신병철
    •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25-37
    • /
    • 2005
  • 목적 : 진피(Citus Unshiu, CU)는 실험적으로 항산화, 항알러지, 항종양 효과 등이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비만세포에서 PMA와 A23187에 의하여 유도된 싸이토카인의 증가에 대한 진피 추출물의 억제 효과와 그 기전을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 PMA+A23187에 의한 싸이토카인 생성에 대한 진피 추출물의 억제효과 기전을 조사하기 위하여 진피를 처리한 후 $IL-1{\beta}$, IL-8, $TNF-{\alpha}$의 생산 및 혈관내피성장인자 (VEGF), 과립구 대식구 군집 자극 인자 (GM-CSF), 저산소 유도 인자(HIF-1)의 발현을 조사하였다. 결과 : 실험에서 PMA와 A23187을 처리한 경우 대조군에 비하여 $IL-1{\beta}$, IL-8, $TNF-{\alpha}$의 생산을 유의하게 증가시켰으나 진피 추출물을 처리한 군에서는 유의하게 억제되었다. 특히 $IL-1{\beta}$의 생성은 $103.7{\pm}5%$, IL-8 생성은 $34.6{\pm}7%$, $TNF-{\alpha}$의 생성은 $85.9{\pm}4.5%$ 억제되었다. (P<0.05). 또한 진피 추출물은 PMA와 A23187에 의하여 증가한 VEGF, GM-CSF, $HIF-1{\alpha}$의 발현 증가를 억제하였다 (약 90.9%의 VEGF, 61.6%의 GM-CSF). 결론 : 이러한 결과는 진피가 염증반응에 대한 HIF-1의 억제자로 작용할 수 있으면, 진피가 비만세포 매개성 염증 질환 치료제의 후보 물질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Interleukin-1으로 유도된 급성폐손상에서 rutin의 효과 (Rutin Ameliorates Neutrophilic Oxidative Stress-Induced Acute Lung Injury by Intratracheal IL-1 Insufflation in Rats)

  • 권성철;박윤엽;이영만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474-480
    • /
    • 2010
  • 흰쥐에서 Interleukin-1 (IL-1)으로 유도된 급성폐손상에서의 group II phospholipase $A_2$ ($PLA_2$) 억제제인 rutin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Rutin은 IL-1에 의해 증가한 폐장내의 myeloperoxidase의 활성도를 감소시키지는 못하였으나 폐포세척액 내의 호중구의 수 및 모세혈관의 손상지표로 알려져 있는 폐장 모세혈관에서의 단백질 누출양을 감소시켰다. 동시에 rutin은 IL-1에 의하여 증가한 폐장의 염증조절효소인 $PLA_2$의 활성도를 감소시키고 결과적으로 호중구에서의 산소기의 생성을 감소시켰다. Rutin 뿐만 아니라 manoalide, scalaradial 같은 group II $PLA_2$의 억제제도 호중구의 respiratory burst를 감소시킴을 확인하였다. IL-1에 의하여 증가한 폐포세척액 내에서의 cytokine induced neutrophil chemoattractant의 농도는 rutin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았다. 형태학적으로는 IL-1에 의한 폐장조직에서의 산소기의 형성이 관찰되었고 rutin은 이러한 산소기의 생성을 현저히 감소시켰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group II $PLA_2$ 억제제인 rutin은 호중구에서의 활성 산소기의 생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함으로써 IL-1에 의한 급성폐손상의 감소를 가져 오는 것으로 결론지을 수 있다.

Purification of Nitric Oxide Synthase from Bovine Pancreas

  • Nam, Suk-Woo;Seo, Dong-Wan;Lee, Young-Jin;Sung, Dae-Seok;Han, Jung-Whan;Lee, Hyang-Woo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6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84-184
    • /
    • 1996
  • Nitric Oxide Synthase(NO synthase: EC.1.14.13.39)는 생체내에서 L-arginine을 기질로 하여 nitric oxide(NO)와 L-citrulline의 생성을 매개하는 효소로서 뇌, 간장, 신장, 체장등 대부분의 주요장기와 근육세포, 신경세포 등 거의 모든 조직에 분포하고 있다. NO synthase에 의해 생성되는 NO는 혈관이완작용, 신경전달 물질로서의 작용, 면역 담당세포에서의 세포 독작용 등 많은 생리현상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체장에서는 췌외분비 기능의 항진에 있어 세포내 cGMP level의 변동이 NO와 연관된다는 사실에 주목하고 있으며 본연구실에서도 이에 관한 연구가 진행중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 췌조직의 100,000$\times$g cytosol을 효소원으로 하여 다음과 같이 NO synthase의 분리, 정제를 시행하였다. Ammonium sulfate로 30%(176g solid ammonium sulfate/$\ell$) 포화, 침전 후 2',5'-ADP agarose 및 calmodulin-agarose affinity chromatography를 연속적으로 시행하여 NO synthase를 분리하였으며 electrophoresis상에서 약 160kd의 분자량을 나타내었다.

  • PDF

토끼 대동맥 내피에서 A23187에 의하여 유리되는 혈관이완물질의 특성에 관한 연구 (Release of a Stable Endothelium-derived Relaxing Factor by A23187 from the Rabbit Aortic Endothelium)

  • 김치대;임병용;홍승철;홍기환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25-133
    • /
    • 1991
  • 내피세포가 제거된 토끼의 적출 장간막 동맥에서 토끼의 대동맥 내피세포로 부터 A23187과 acetylcholine은 NO와 유사한 혈관 이완성 물질 (EDRF)을 유리한다. 이에 첨가하여 A23187은 acetylcholine과는 달리 superoxide anion에 의하여 파괴되지 않는 EDRF도 유리시킴을 확인하고 이의 특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정상적인 생리영양액에서는 A23187과 acetylcholine의 용량-반응 곡선은 내피세포에 의존하지 않는 sodium nitroprusside의 곡선과 유사하였다. 이들은 methylene blue에 의하여 억제되었다. Hypoxanthine (HX)과 xanthine oxidase (XO)를 bath내로 투여시 phenylephrine에 의한 수축이 일과성으로 증가한 후 지속적으로 이완되었다. HX-XO 반응중에는 A23187은 장간막 동맥을 즉각적으로 이완시켰으나 acetylcholine의 이완작용은 소실되었다. A23187에 의하여 야기되는 장간막동맥의 이완은 50 mM $K^+-PSS$로 수축을 야기시켰을 때에는 나타나지 아니하였다. Superoxide dismutase를 전처치하였을 때는 HX-XO 반응중에도 acetylcholine 뿐만아니라 A23187에 의한 장간막 동맥의 수축은 이완되었다. 한편, acetylcholine에 의하여 야기되는 장간막 동맥의 이완은 A23187에 의하여 야기되는 이완에 비하여 phorbol 12-myristate 13-acetate (PMA)에 훨씬 더 민감하게 억제되었다. 내피세포의 기능과는 무관한 sodium nitroprusside에 의하여 야기되는 이완은 PMA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아니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볼때, A23187과 acetylcholine은 methylene blue에 의하여 억제되는 내피세포 의존성 이완을 야기시키고, 첨가하여 A23187은 어떤 병적 환경 아래서는 superoxide anion과 PMA에 저항성을 지닌 혈관이완성 물질을 유리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앞으로 A23187에 의하여 유리되는 혈관 이완성 물질이 superoxide anion에 의존하여 생성된 것인지에 대하여는 추후의 연구과제이다.

  • PDF

융합 단백질을 이용한 재조합 인간 혈관내피세포 성장인자의 정제공정 개발 (Development of Purification Process of Recombinant Human Vascular Endotherial Growth Factor (VEGF) using Fusion Protein)

  • 성기현;김인호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5권3호
    • /
    • pp.369-378
    • /
    • 2017
  • 혈관 내피세포 성장인자(Vascular endotherial growth factor, VEGF)는 혈관 투과율 조절이나 혈관 생성에 관련된 단백질로 임상용으로 쓰일 가능성이 높다. 이 단백질은 고순도와 고효율로 상업적으로 대량생산이 필요하다. 유비퀴틴 융합 단백질로 온화한 조건에서 용해시키기 위해 다양한 조건을 연구하였고, pH와 변성제 변화를 시도하였다. BL21 (DE3) 대장균 숙주세포에서 pET28-a 벡터를 사용하여 재조합 대장균을 제조하여, 20 L의 회분식 배양으로 14 g/L농도의 세포배양을 하였다. 발효 후UBP1 효소 분해와 재접힘 단계를 포함한 4단계의 크로마토그래피 공정으로 구성된 정제공정으로 VEGF를 정제하였다. 유비퀴틴 융합단백질로 2 M 요소와 pH10 온화한 조건에서 VEGF의 정제가 가능하였다. 2번의 Ni-affinity 크로마토그래피컬럼을 이용하여 고효율의 재접힘과 이합체화 공정을 수행하였다. DEAE (Diethyl Amino Ethyl) 음이온 교환 컬럼을 통하여 변형체(multimeric, misfolded)단백질과 endotoxin을 제거 할 수 있었다. 젤 여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dimer와 monomer를 분리 하여 이합체화 VEGF를 제조하였다. 최종 VEGF의 특성분석을 SDS-PAGE (Soidum Dodecyl Sulfate-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전기영동, RP-HPLC (Reversed Phase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으로 하여 순도 97% (RP-HPLC기준)를 얻었다.

PI3K/Akt 및 MAPK 기전 조절을 통한 Artesunate의 콜라겐 유도의 사람 혈소판 응집 억제효과 (Artesunate inhibits collagen-induced human platelets aggregation through regulation of PI3K/Akt and MAPK pathway)

  • 이동하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5권1호
    • /
    • pp.57-62
    • /
    • 2022
  • 혈소판의 과도한 활성화 및 응집은 심혈관계 질환의 주요원인이 된다. 따라서, 혈소판 활성화 및 응집을 억제하는 것은 심혈관계 질환을 예방하고 치료하는데 있어서 매력적인 치료 표적으로 여겨진다. 특히, 혈관 내피세포에서 분비되는 collagen에 의한 강력한 혈소판 활성화와 응집이 혈관질환에서 특징적이다. Artesunate는 Artemisia 또는 Scopolia 속 식물의 뿌리에서 추출한 화합물이며, 항암 및 알츠하이머 병 분야에서 효과가 있다고 보고된 바 있다. 그러나, artesunate가 collagen 유도의 혈소판 활성화와 응집에 미치는 영향과 그 기전에 대해서는 규명된 바가 없다. 본 연구에서는 collagen이 유도하는 사람 혈소판 응집에 있어 artesunate이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고, artesunate의 작용 기전을 명확히 하였다. Artesunate은 혈소판가 활성화 될 때 신호 전달 과정에 작용한다고 알려진 인단백질인 PI3K/Akt 및 MAPK의 인산화를 억제하였다. 또한, artesunate는 TXA2 생성을 감소시켰고, ATP 및 serotonin 방출 등의 혈소판 내 과립 분비를 감소시켰다. 그 결과, artesunate는 혈관 내피세포에서 분비되는 강력한 응집 유도 물질인 collagen으로 유도된 혈소판 응집을 106.41 μM의 IC50로 강력하게 억제하였다. 이 결과들을 통해, artesunate가 혈관 손상을 통해 일어나는 사람 혈소판의 활성화 및 응집을 억제하는 데 유효한 항혈전 물질로 가치가 있음을 제안한다.

뇌 세포막의 유동성과 산화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솔잎(Pine Needle) 에틸아세테이트획분의 영향 (Effects of Pine Needle Ethyl Acetate Fraction on Membrane Fluidity and Oxidative Stress in Brain Membranes of Rats)

  • 최진호;김대익;배승진;박시향;김남주;조원기;김군자;김창목
    • 생명과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692-698
    • /
    • 2003
  • 뇌 세포막 유동성의 촉진 및 LPO생성의 억제효과는 중풍 등 뇌혈관질환을 억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혈관성치매의 예방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26,18]. 따라서 솔잎 EtOAc획분을 하루 25, 50, 100 mg/kg BW로써 SD계 랫트에 45일동안 투여하여 뇌조직중의 세포막 유동성 (membrane fluidity : MF), 기초 및 유도활성산소(BOR 및 IOR), 산화적 스트레스로서 과산화지질(lipid peroxide : LPO) 및 산화단백질(oxidized protein : OP), 그리고 리포푸신(lipofuscin : LF)의 축적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여 보았다. 솔잎 EtOAc획분의 투여에 의하여 뇌조직의 mitochondria 및 microsome획분에서 용량의존적으로 MF가 증가효과가 나타났지만, EtOAc-100 투여그룹의 mitochondria 획분에서만 약 10%의 유의적인 MF의 증가효과가 인정되었다. 뇌조직의 mitochondria에서 기초 및 유도활성산소로서 BOR 및 IOR의 생성은 EtOAc-50 및 EtOAc-100투여그룹에서 각각 9.2∼10.2% 및 17.1∼24.0%의 유의적인 억제효과가 인정되었고, microsomes에서 BOR 및 IOR의 생성은 EtOAc-50및 EtOAc-100투여그룹에서 각각 11.6∼16.6% 및 12.1∼16.1%의 유의적인 억제효과가 인정되었다. 산화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은 mitochondria 및 microsomes획분에서 EtOAc-50 및 EtOAc-100투여그룹에서 각각 8.5∼12.0% 및 11.6∼18.5%의 유의적인 LPO의 생성 억제효과가 인정되었지만, 뇌조직의 두 획분에서 OP의 생성은 EtOAc획분의 용량의존적으로 억제되었지만, 유의성은 인정할 수 없었다. 또한 뇌조직에서 LF의 축적도 EtOAc획분의 용량 의존적으로 억제효과가 나타났지만, 유의성은 인정할 수 없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평가하여 볼 때 솔잎 EtOAc획분의 투여는 뇌조직의 유동성을 촉진하고 LPO의 생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지만, 현재의 투여농도에서는 OP 및 LF의 생성을 방지할 수 없을 것으로 생각된다.

양에서 좌측 개흉술 하에 완전인공심장의 체내이식형 양심실 보조장치로 사용에 관한 연구 (Application of the Total Artificial Heart as an Implantable Biventricular Assist Device by Left Thoracotomy in an Ovine Model)

  • 원태희;민병구;김원곤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4권4호
    • /
    • pp.296-304
    • /
    • 2001
  • 배경: 이번 연구의 목적은 체내이식형 양심실 보조장치의 개발을 위한 안전하고 간편한 동물실험 모델을 확립하는 것이며 이동작동형 완전 인공심장의 양심실 보조장치로의 사용 가능성을 알아보는 것이다. 대상 및 방법: 7마리의 Corridale 양을 대상으로 실험하였다. 5번째 늑간극을 통하여 좌측 개흉술을 시행하고 좌측 유출로 캐뉼라는 하행 대동맥에 Dacron graft을 사용하여 연결하였고 유입로 캐뉼라는 좌심방에 삽입하였다. 우측 유출로 캐뉼라는 하행 대동맥과 같은 방법으로 주폐동맥에 연결하였으며 유입로 캐뉼라는 혜동맥을 하방으로 젖혀 우심방이를 노출시킨 다음 우심방이에 삽입하였다. 4마리에 있어서는 양심실 보조장치를 전복막강(preperitoneal space)에 위치시켰으며 2마리에 촤측흉강 내에, 1마리에서는 외부에 위치시켰다. aPTT는 수술전 aPTT의 2∼2.5배로 맞추어 주었다 결과: 수술중 또는 수술직후 사망한 경우는 없었으며 7마리 모두 인공호흡기 이탈이 가능하였고 스스로 기립하고 음식물 섭취도 가능하였다. 1마리는 술후 2일째 혈전 색전증 및 인공호흡기 작동 잘못으로 사망하였으며 2마리의 겨우는 술후 2일째 각각 양심실 보조장치의 작동 잘못 및 호흡부전으로 사망하였고, 3마리의 경우는 술후 4일째 혈전색전증으로 인한 급성신부전 및 호흡부전 등으로 사망하였다. 1마리에 있어서는 28일간 생존하였으며 양심실 보조장치의 구동 장치에 연결된 라인의 마로로 인해 양심실 보조장치의 작동이 정지되었으나 바로 양심실 보조장치를 제거하고 살릴 수 있었다. 모든 경우에 있는 캐뉼라를 삽입하고 양심실 보조장치를 작동시키는데 큰 어려움이 없었다. 7마리 중 4마리에서 혈전이 발견되었으며 특히 판막을 연결한 부위에 혈전생성이 많았다. 그러나 캐뉼라에는 혈전생성이 없었다. 결론: 양에 있어서 좌측 개흉술 및 전복막강 공간에 양심실 보조장치를 위치시키는 이번 동물실험 모델은 체내 이식형 양심실 보조장치 개발을 위한 좋은 동물실험 모델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디동 작동기형 완전 인공심장의 혈전생성을 억제할수 있는 방법들의 연구개발이 지속된다면 장기간의 체내 이식형 양심실 보조장치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Reduced Number of Endothelial Progenitor Colony-Forming Units in Patients with Preeclampsia

  • Kim, Shin-Young;Park, So-Yeon;Kim, Jin-Woo;Lee, Mi-Bum;Han, You-Jung;Ahn, Hyun-Kyong;Choi, Jun-Seek;Han, Jung-Yeol;Kim, Moon-Young;Choi, Kyu-Hong;Ryu, Hyun-Mee
    • Journal of Genetic Medicine
    • /
    • 제7권2호
    • /
    • pp.138-144
    • /
    • 2010
  • 목 적: 자궁내막의 신혈관 형성을 조정하는 혈관내피전구세포는 자궁-태반 순환에서의 신혈관 형성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혈관내피전구세포의 정량적 지표로 사용되는 집락생성단위(CFU)의 감소는 혈관질환의 예측 표지자로서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상 산모와 자간전증 산모 간에 CFU의 수적인 차이를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임신말기의 단태 정상 산모 26명과 자간전증산모 20명을 대상으로 혈관내피전구세포의 수를 CFU로 정량화하였다. 효소면역분석법을 이용하여 혈장내의 VEGF와 sFlt-1, PlGF 농도를 분석하였다. 결 과: CFU의 수는 정상 산모에 비해 자간전증 산모에서 매우 감소하였다[median value: 3 (range: 1-12) vs median value: 31(range:3-81) CFU/ well, P<0.001). 집락을 구성하는 대부분의 세포는 혈관내피세포의 특징적인 성질을 보였다(Ulex europaeus lectin의 발현 및 acetylated lowdensity lipoprotein의 섭취). 혈장내의 sFlt-1 농도는 정상 산모에 비해 자간전증 산모에서 매우 높은 반면(P<0.001), PlGF의 농도는 매우 낮았으며(P=0.004), sFlt-1과 PlGF의 농도는 CFU의 수와 연관성이 없었다. 결 론: 산모 말초혈액내의 CFU의 수적 감소가 자간전증 발생에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