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현탁류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7초

바다모래 채취 시 해수 수질 및 생태계 영향에 대한 해양환경조사 개선 방안 (Improvements in the Marine Environmental Survey on Impact of Seawater Qualities and Ecosystems due to Marine Sand Mining)

  • 김영태;김귀영;전경암;엄기혁;김인철;최보람;김희정;김진민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43-156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주변 해역에서 바다모래 채취 시 발생되는 현탁류에 대해 5년간(2008년~2012년) 해양환경조사서 내 조사 현황을 검토하였다. 이 기간 동안 연 근해역 내 7곳(남해 EEZ, 서해 EEZ, 서해 EEZ 변경 단지, 태안군 관할 해역, 안산시 관할 해역, 옹진군 관할 해역 2곳)의 바다모래 채취구역 중 2곳(EEZs와 연안역 내 채취 구역 각각 1곳)에서 현탁류 내 부유토사의 확산과 이동에 관한 현장 관측이 수행되었다. 그러나 해역별 해양물리적, 지형적 특성과 기상 조건을 반영한 조사 정점 및 범위를 선정한 사례는 확인되지 않았다. 조류, 파랑, 바람장, 수심, 하계 성층화 등의 영향에 의해 부유토사는 바다모래 채취 구역을 넘어 훨씬 더 먼 거리까지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바다모래 채취 과정에서 해저층 퇴적물의 재부유, 그리고 준설선박의 여수토와 배사관에서 배출되는 월류수 등에서 기인한 부유토사의 확산에 대해 집중 모니터링 방안과 세부 조사 기법의 도입이 필요하다. 또한 현탁류의 확산 경로상에서 부유물질, 영양염, 중금속 등의 오염물질로 인해 주변 해양환경과 유용 수산생물이 포함된 해양생태계 등에 미치는 누적 영향을 추적하고, 환경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통합 지침안을 마련해야 한다.

점토광물(粘土鑛物)에 의(依)한 methyl 2-benzimidazole carbamate의 흡착(吸着) (Adsorption of methyl 2-benzimidazole carbamate on clay minerals)

  • 김박정;박만;허남호;최정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4권2호
    • /
    • pp.125-129
    • /
    • 1991
  • 상괴중(上壞中)에서 methyl 2-benzimidazole carbamate(MBC)의 흡착양상(吸着樣相)에 관(關)한 기초자과(基礎資科)를 얻고자 Kaolinite, Bentonite 및 Zeolite에 Na와 Mg를 포화(飽和)시키고 MBC를 첨가(添加)하여 습식(濕式)진(振)탕법(法)으로 흡착실험(吸着實驗)을 행(行)하였다. MBC점토광물(粘土鑛物)의 현탁류(懸濁流)에 있어서 Kaolinite는 2시간(時間), Bentonite와 Zeolite는 10시간(時間) 진탕 반응(反應)으로 각각(各各) 반응평형(反應平衡)에 도달(到達)하였다. MBC의 흡착량(吸着量)은 Zeolite>Bentonite>Kaolinite의 순(順)이었으며 포화(飽和)시킨 각(各) 이온의 종류간(種類間)에는 Mg보다 Na포화점토(飽和粘土)가 다소(多少) 컸다. MBC의 농도(濃度)가 높을수록 흡착량(吸着量)은 증가(增加)하였으며, 점토량(粘土量)이 많아질수록 MBC의 흡착량(吸着量)은 증가(增加)하였으나, Kd치(値)는 오히려 감소(減少)되었으며, Na-Zeolite가 가장 높은 Kd치(値)를 나타냈다. 각(各) 농도(濃度)에서 현탁류(懸濁流)의 pH가 낮을수록 MBC의 흡착량(吸着量)은 증가(增加)하였다. 따라서 점토광물(粘土鑛物)에 의(依)한 MBC흡착(吸着)은 상괴중(上壞中)에 존재(存在)하는 점토광물(粘土鑛物)의 종류(種類))와 함량(含量), ph 및 CEC등에 영향(影響)을 받을 것으로 사료(思料)된다.

  • PDF

서해 EEZ 해역에서 바다모래 채굴에 민감한 해양수질인자들 (Changes in The Sensitive Chemical Parameters of the Seawater in EEZ, Yellow Sea during and after the Sand Mining Operation)

  • 양재삼;정용훈;지광희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3권1호
    • /
    • pp.1-14
    • /
    • 2008
  • 서해 중부에 위치한 배타적경제수역(EEZ) 내에서 이루어지는 바다모래 채굴로 인한 해양수질의 장단기적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2004년부터 2007년까지 8회에 걸쳐 사방 약 30 km의 장방형 해역에 대한 광역적이고 종합적인 현장 조사를 수행하였다. 전체 대상 해역을 바다모래가 실제 채굴되는 구역과 잠재적인 영향 구역, 그리고 비교 구역으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조사항목은 pH, ORP, 수온, 염분 등과 같은 기본적인 항목과 함께 부유물질(SS), 영양염(질산염, 아질산염, 암모니움염, 인산염)과 엽록소-a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이러한 광역 정점 조사와 함께 바다모래가 채굴되는 선박에 근접하여 실제 부유물질 등이 확산되는 경로를 따라 표층, 중층, 저층에서 관측하는 집중 조사도 수행하였다. 광역 조사의 결과, 바다모래 채굴로 인하여 민감하게 영향을 받는 인자는 부유물질, 암모니움염, 질산염, 엽록소-a, ORP로 나타났다. 또한 채굴선박에 인접하여 발생한 현탁류를 따라 집중 조사한 결과, 주변해역의 평균농도보다 큰범위가 부유물질은 표층과 저층에서 남북방향으로 폭 8 km, 동서방향으로 폭 약 5 km를 가진 타원형 형태로 확산되었으며, 이에 비하여 인산염은 매우 좁은 범위 내에 한정되었다. 또한 암모니움염도 좁은 범위에 국한되었으나, 암모니움염의 확산방향에 연장하여 질산염의 높은 농도가 나타나고, 같은 위치에서 높은 N/P와 높은 엽록소-a 농도가 동반되었다. 지난 4년간의 광역조사와 집중조사를 통해 발견할 수 있었던 가장 중요한 사실은 바다모래 채굴의 영향을 일차적으로 민감하게 나타내는 수질인자는 부유물질, 암모니움염, 질산염 및 ORP이며, 이로 인한 이차적인 효과가 높은 N/P 비율과 높은 엽록소-a 로 감지되었다는 점이다. 이 중 부유물질과 ORP는 부이와 자동 측정장비를 사용하여 원거리에서 자료를 얻을 수 있으므로 바다모래 채굴 해역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에 매우 유용한 수질인자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