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현장 구축

검색결과 2,350건 처리시간 0.038초

사례분석을 통한 객체검출 기술의 건설현장 적용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Object Detection Method in Construction Site through Real Case Analysis)

  • 이기석;강성원;신윤석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8권2호
    • /
    • pp.269-279
    • /
    • 2022
  •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건설현장의 재해 예방을 위해 딥러닝기반의 개인보호구 검출 모델을 개발하고, 실제 건설현장에 적용하여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수행 방법은 실제 환경의 데이터를 구축하고, 개발된 개인보호구 검출 모델을 적용하였다. 개인보호구 검출 모델은 크게 근로자 검출 및 개인보호구 착용 분류 모델로 구성되어 있다. 근로자 검출 모델은 딥러닝 기반의 알고리즘을 실제 현장에서 획득한 데이터셋을 구축하여 학습 및 근로자를 검출하였고, 개인보호구 착용 분류 모델은 앞단에서 추출된 근로자 검출영역에서 학습된 개인보호구 검출 알고리즘을 적용하였다. 구축된 모델의 검증을 위해 건설현장 3곳에서 획득된 데이터를 통해 실험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데이터베이스 12,000장을 구축하여 정상검출 9,460장(78.8%), 오검출 1,468(12.2%), 미검출 1,072장(8.9%)으로 나타났으며 주요 원인은 영상에서의 객체 크기, 객체간 중첩(Occulusion), 객체 잘림, 그림자에 의한 오검출로 분류되었다. 결론: 개인보호구 검출모델은 현장 상황마다 다른 검출률을 확인할 수 있었고, 본 연구의 결과가 차후 현장적용을 위한 연구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감성 의류용 PET직물설계 DB에 관한 연구 - 일본과 국내 직물 비교 - (A Study on the Data Base of Fabric Design on the PET Woven Fabric for Sensitive Clothing -Comparison between Japanese and Domestic Fabrics-)

  • 김승진;강지만;정기진;박경순
    • 한국섬유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섬유공학회 2003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55-258
    • /
    • 2003
  • 합섬소재를 이용한 의류용 직물설계1)에 있어 원료의 특성과 경ㆍ위사의 번수, 직물의 조직 및 밀도에 따른 직물설계 조건$^{2)}$ 은 다양하게 변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이론적 배경과 실제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데이터는 미흡한 수준이다. 따라서 다품종 소량 생산 체제에 대비하는 다양한 소재의 설계에 필요한 Data Base 구축이 필요한 실정$^{3)}$ 이다. 본 연구는 직물용 CAD System에서의 합섬 의류용 직물설계에 응용 가능한 DB를 구축하기 위해 국내 직물설계$^{4)}$ 와 일본 직물설계$^{5}$)를 비교하여 국내직물의 수준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실제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각각 100여 종류의 직물설계조건들을 조사ㆍ분석하여 국내와 일본 직물설계를 비교함으로써 감성 의류용 합섬 소재 설계에 있어 체계적인 지표가 되고 보다 우수한 품질을 위한 직물설계의 기초자료를 제공함으로써 현업에 있는 업체와 기관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중략)

  • PDF

현장 직무 분석을 통한 SCADA 교육과정 개발 연구

  • 이주헌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9년도 제40회 하계학술대회
    • /
    • pp.1700_1702
    • /
    • 2009
  • 한국전력의 원격감시제어설비(SCADA System)는 전력계통 운영 자동화 및 변전소 무인운전을 위하여 송변전사업소에 구축한 전력자동화설비이다. 원격감시제어설비는 안정적 전력공급을 위하여 필수적인 전력ICT설비로 고장시 전력공급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사업소에서는 설비 운영 및 품질유지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직무교육을 통해 현장 업무를 지원하고 있는 KEPCO Academy에서는 SCADA 담당직원의 직무역량 강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갈수록 복잡해지고 대용량화 되어 가는 전력계통의 안정적 운영을 위해 SCADA설비를 구축하고 운영하는 직원들의 책임과 역할은 한층 더 커지고 있는 현시점에서 현장 직무분석을 통한 SCADA 교육과정을 개발 운영함으로써 직원들의 실무지식 및 운영기술을 강화하여 안정적인 전력공급 업무에 기여하고, 교육효율 향상 및 교육만족도 제고를 통해 사내 직무교육기관으로서의 KEPCO Academy 위상을 강화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 PDF

u-Manufacturing 환경 구축을 위한 RFID 기반 생산 시스템 구조 설계 및 정보 모델링 (Architecture design and information modeling for RFID-based u-Manufacturing infrastructure)

  • 윤주성;이상현;서석환
    • 한국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산업공학회/한국경영과학회 2006년도 춘계공동학술대회 논문집
    • /
    • pp.1282-1289
    • /
    • 2006
  • 유비쿼터스 시대에 즈음하여, 최근 생산 분야에서는 유비쿼터스 컴퓨팅 기술과 제조기술의 접목을 통해 제조 현장의 혁신을 가능케 하는 u-Manufacturing 패러다임이 주목 받고 있다. u-Manufacturing 환경의 구축을 위해서는 국제적 협업 환경에서 제품 확장 수명 주기 상의 자유로운 정보 수집 활동과 더불어, 생산 현장과 상위 시스템 간의 실시간 정보 교환이 주요 이슈로 대두된다. 본 논문에서는 u-Manufacturing 패러다임을 실현할 수 있는 방안으로서 RFID 기술을 활용한 생산 시스템을 아래의 연구를 통해 제시한다: (1) 생산 현장에서 RFID 기술 활용 시나리오와 RFID 기반 생산 시스템의 구조를 제안하고, (2) 이에 사용되는 정보를 국제 표준 규격(ISO 10303-239, ISO 15531 등)에 입각하여 모델링하고, (3) 프로토타입 구현을 통해 유효성을 검증한다.

  • PDF

원자력발전소 S/G U-tube ECT 취득신호 원격평가환경 구축 (Establishment of Remote ECT Data Analysis System of S/G U-tubes at Nuclear Power Plant)

  • 장문종;한칠성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1998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G
    • /
    • pp.2433-2435
    • /
    • 1998
  • 원자력발전소의 증기발생기는 기능상으로도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증기발생기 내의 전열관 손상이나 누설은 바로 방사능 누출의 원인이 되므로 원자력 발전소의 안전성 측면에서 보면 매우 중요한 설비이다. 따라서, 증기발생기 전열관은 정기보수시 마다 전열관 각각에 대해 비파괴검사의 일종인 와전류검사(Eddy Current Testing, ECT)를 통해 건전성을 평가하고 있다. 현재는 신호를 취득하고 평가하는 업무가 별개의 기관에서 수행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현장에 관련 인력과 장비가 이동되어야 한다. 그러나, 취득한 신호를 평가자가 on-line으로 받을 수 있고 그 결과를 이용하여 즉시 피드백이 가능하다면 평가기관의 인력은 현장에 있지 않더라도 평가가 가능하다. 그러므로, 원격 평가 환경을 구축한다는 것은 평가자가 굳이 현장에 가지 않더라도 지역에 상관없이 LAN을 활용하여 전국 어디서든 평가가 가능하도록 하고자 함에 있다.

  • PDF

토석류 피해지 현장조사 및 LiDAR 자료의 활용 (Application of LiDAR Data and Site Surveys of Damaged Field by Debris Flow Disaster)

  • 오채연;전계원;전병희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5년도 학술발표회
    • /
    • pp.279-279
    • /
    • 2015
  •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이상기후 현상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산사태나 토석류와 같은 산재재해가 발생하여 인근 도심에까지 영향을 끼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해마다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산지 토사재해의 피해저감과 원인분석을 위하여 과거 강원도 인제군에서 발생한 산사태 및 토석류가 발생 현장을 조사하였고 발생유역의 특징을 분석하기 위해 GIS기법을 이용하여 기후, 지질, 지형, 토양 등의 공간자료를 구축하고 보다 정밀한 지형인자 추출을 위하여 지상 LiDAR를 활용하여 토석류 발생현장을 스캔하고 3D 지형자료를 구축하였다. 추후 공간자료와 3D지형자료를 활용하여 토석류 발생량 추적이나 확산 범위등 정밀 분석의 기초자료로 활용 될 것이다.

  • PDF

광역에너지이용 네트워크 구축 기술개발 (Development of Technology for Network Construction using Wide Area Energy)

  • 김래현;장원석;홍재준
    • 에너지공학
    • /
    • 제17권3호
    • /
    • pp.125-138
    • /
    • 2008
  • 에너지원의 다양화와 효율적인 이용을 위하여 광역지역의 통합에너지관리 시스템 구축이 요구되고 있다. 본 보문에서는 이러한 필요성에 부응하여 광역에너지 네트워크 구축에 필요한 핵심기술을 발굴하여 이를 종합적으로 현장에 적용하는 기술개발 을 수행하고 있다. 이를 위해 IT기술과 접목한 광역 네트워크 열공급 최적화 통합시스템 구축 기술, 발생되는 배열을 이용한 열펌프와 같은 미활용에너지 이용기술, 다양한 열원을 이용한 열수송 및 축열 기술 등 새로운 시스템을 개발하고 이를 현장적용을 통해 경제성을 평가하여 최종적으로 실용화할 수 있는 사업화 모델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재난통신 체계에 따른 품질요건 재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design of Quality Requirements for Disaster Communication Systems)

  • 양정모;김정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10호
    • /
    • pp.327-335
    • /
    • 2015
  • 재난통신망은 TETRA(TErrestrial Trunked RAdio)에서 대용량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광대역 이동통신 기술인 Public Safety-LTE(Long Term Evolution) 자가망을 활용하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재난재해 대응기관 간의 일원화된 통신체계 유지를 위해 재난안전통신망 구축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나, 재난재해 현장에 위치한 피해당사자와의 통신을 고려하지 않고 재난재해 대응기관 간 지휘통제를 중심으로 통신망을 구축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재난통신망 구축동향과 해외 선진사례를 해석하여 전 범위 재난통신망 구축을 위한 쟁점을 도출하고 통신주체와 목적에 따라 재난통신 영역을 새롭게 정의하여 재난통신 영역을 통제통신, 대응통신, 현장통신, 당사자통신, 경보통신으로 세분화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재정의 된 재난통신 영역의 특성을 분석하고 이에 따른 핵심 품질요건을 재설계하여 영역별 음영지역 없는 전 범위 재난통신 체계 구축방안을 수립하였다.

농업용수 디지털 정보를 활용한 용수공급 네트워크 분석 (Analysis of Water Distribution Network using Digital Data in Agricultural Watershed)

  • 신지현;남원호;윤동현;양미혜;정인균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2년도 학술발표회
    • /
    • pp.510-511
    • /
    • 2022
  • 물관리기본법의 시행 및 제1차 국가물관리기본계획의 이행에 따라 물관리 자료의 정보화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과거 농업용수관리는 기초자료의 오류, 계측데이터의 부족 등이 한계점으로 지적되었으며, 과학화·표준화된 농업용수 물수급 분석 체계 구축 및 물정보의 정확성이 요구된다. 최근 통합물관리 국가정책 대응을 위한 물수급 분석 기반 마련을 목적으로 한국농어촌공사에서는 농업용수 용 배수 계통 정밀조사, 공간자료 재구축 등을 통한 농업용수 디지털 정보체계 구축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연속수치지형도 및 토지피복, 스마트팜맵 등의 디지털 공간자료를 수집하고 현장조사와 영농조사를 바탕으로 최신화된 용배수계통도, 수혜면적 자료를 구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화한 용배수계통도를 이용하여 수리해석 모델 기초자료를 구축하고, 들녘단위 (주·보조수원, 저수지 및 양수장 등) 용수계통도 구현함으로써 수원공별 용수공급 네트워크를 분석하고자 한다. 농업용수 공급체계 반영이 가능한 EPA-SWMM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Storm Water Management Model)을 활용하여 다양한 물공급 시나리오를 적용하여 최적의 물관리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안성시 고삼저수지를 대상으로 연속수치지형도, 농경지전자지도, 고해상도 DEM 등을 활용한 디지털 조사와 수로 표고, 길이 및 너비 등 현장조사를 수행하였으며, 현장 물관리 방안을 적용하여 물분배 모의가 가능한 EPA-SWMM 기반 수원공-용수로-수혜구역을 연결하는 용수공급 네트워크를 구축하였다. 농촌용수종합정보시스템 (Rural Agricultural Water Resource Information System, RAWRIS)에서 제공하는 계측 자료를 활용하여 관개기간의 강수량, 소비수량, 증발산량, 공급량 등을 적용하여 농업용수 공급량, 배분량을 추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물관리 담당자에게 상세한 현행 용수공급량 및 용수공급체계 정보 제공과 향후 국가물관리기본계획, 농어촌용수이용합리화계획의 물수급 분석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Mobile GIS를 이용한 건축물 유지관리 시스템 (Structure Maintenance & Management System by Mobile GIS)

  • 이성민;강택순;강성봉;유환희
    •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75-180
    • /
    • 2002
  • 과거 시간, 인력, 비용절약 등의 능률 우선과 양적 팽창의 성장 추구에 의하여 개발자체가 우선순위를 갖게 됨에 따라 유지관리분야는 그 중요성이 인정받지 못하고 소홀히 대하여 왔다. 하지만 건설이 일정 수준에 도달하면서 건설과 유지관리는 동등한 비중을 갖게 되며 복지 사회로 접어들면서 개발보다는 유지관리부분이 더 중요하게 인식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건축물의 유지관리를 위한 전문가적 정보시스템을 Mobile GIS를 적용하여 구축함으로서 기존의 건축물 유지관리업무의 한계성을 벗어나 현장에서 직접 데이터를 검색, 저장, 관리하여 신속하고 경제적으로 건축물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본 시스템이 구축되어 응용분야에 적용되면 급변하는 현장 상황에 적절하게 대처가 가능하며, 실시간 데이터 베이스의 갱신과 구축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