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현장환경관리

Search Result 1,505,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Operation Model of On-site Environmental Management Council to Enhance Eco-friendliness in Public Construction Sites (공공 건설현장의 친환경성 제고를 위한 현장환경관리협의회 운영 모델)

  • Sohn, Jeong-Rak;Park, Seong-Sik;Jun, Myoung-Hoon;Song, Sang-Hoon
    • Land and Housing Review
    • /
    • v.3 no.4
    • /
    • pp.423-431
    • /
    • 2012
  • The trends of Green growth and environmentally-friendliness came to be the key development indicator for sustaining global environment for the future. Korean government reflected these trends in the main flows of the national development index. Korean construction industry is concentrating investment on fields related to these trends such as technologies for carbon dioxide deduction, materials or products for environmentally-friendly building and alternative energy development, as well. However, efforts to follow these trends during the construction process as a step for production phrase are not being considered enough. In this study, we analysed current status and points to be improved of on-site environment management by surveying major project owners and representatives of the environmental affairs in the leading companies of those fields. Also, we suggested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operation model as a solution for enhancing environmentally-friendliness for systematic approach to manage on-site environment in public construction sites. In addition to these solutions, further approaches such as shifting paradigm of project owners and contractors, securing workforce and practical budget for efficient management activities, developing environmental management manuals, setting standards for evaluation of activities are needed for the stable settlement of on-site environmental management.

Development of Smart Safety Management System using IoT based assistant equipment for Industrial Fields (산업현장에서 IoT 기반의 작업자 보조기기를 활용한 스마트 안전 관리 시스템 개발)

  • Kim, Ju-Su;Umarov, Jamshid;Kim, Deo-Hoo;Lee, Chol-U;Oh, Ryum-Duc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5.01a
    • /
    • pp.93-94
    • /
    • 2015
  • 최근 산업 현장에서 재해는 설비의 다양화, 인적 구성의 복잡성, 작업환경의 변화 등으로 다양하게 발생되고 있다. 특히 경제적 자립도가 취약한 중소기업에서는 관리능력이 미흡하여 안전에 대한 조직 및 관리, 교육 등이 큰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안전관리의 현실은 대기업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나 재해율은 일본 등 주변국보다 2~4배 높은 수준으로 선진국에 비해 아직도 매우 심각한 문제이다. 한편, 환경과 재난방지, 헬스케어 등과 같은 분야에 널리 활용되고 있는 고도화된 IoT 기술은 최근 빌딩, 도시 관제 시스템뿐만 아니라 산업 현장의 설비와 인력관리 등 IoT 기술의 활용이 활발해지는 추세다. 본 논문에서는 IoT를 활용한 기술 개발을 통해 다양한 분야의 산업현장에 산재하고 있는 각종 위험인자를 포함하여 작업자의 근로 환경 정보를 영상 및 센싱 데이터를 이용하여 인지하고 작업자에게 현장 위해요인을 파악함으로써 합리적인 대책의 마련을 통해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하고, 이와 더불어 업무지원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여 인명피해의 감소, 작업능률과 생산성 향상을 야기할 수 있는 스마트 안전제어 및 원격 업무 지원을 위한 지능형 산업안전 관리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Technique of Construction Site Management based on UAV and USN (UAV와 USN 기반의 건설현장관리기법 연구)

  • Yeon, Sang-ho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5 no.1
    • /
    • pp.457-467
    • /
    • 2019
  • In recent years, various methods have been attempted to visually manage the construction site efficiently, and in particular, there has been a tendency to use a UAV or a drone in the air rather than a land on a construction site, Can be visually photographed and recorded or analyzed. In this study, the unmanned aerial photographs were taken at least three times and the USN sensors were simultaneously operated on the main structure at the time of shooting, The goal of this research was to make the image information and environmental information of the construction site available for efficient construction management by matching. As a result, not only professional engineers at construction sites but also administrative managers can visually confirm the detailed situation of the site at the time of the construction site and the completion status, and can help decision making in appropriate budget input and appropriate resource support The experts in each field discussed the safety management of the construction site, the prevention of disaster and various factors of change which can be changed by natural environment factors.

A Study on Concrete Curing Quality Management Based on Various Test of Construction Condition under Hot Weather Circumstance (서중(暑中) 환경에서 현장 콘크리트 시험을 통한 양생 품질관리 방안)

  • Park, Shin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7 no.2 s.30
    • /
    • pp.71-80
    • /
    • 2006
  • It is required to study systematical on the concrete quality management to extend structure life because rebuilding effect is reducing under present condition of large sized and high stories structure. Concrete, which shows its intensity by hydrating action and a big change in quality according to hot weather and temperature, produces a lot of quality problem under hot and cold weather. Because of each specification and construction plan which does not have basic standard on site, concrete's quality is irregular and makes some defect. As a result, Dae-gu is fumed out to be the longest area after investigating application period and days focused on 8 cities weather information about t relationship between hot weather circumstance and construction environment. Therefore, we first surveyed the curing construction processing in the region and found out the problem of quality management. Then figure out the way of solution. Moreover, we integrated curing quality management, which is applied differently to each site, to have equal quality and to reduce defect from construction site. And then, based on various test of construction condition and analysis of quality management item, we suggest effective concrete quality management to make curing construction standard guide and plan under hot weather.

Development of a Parts Evaluation Framework Using a Construction Site Digital Platform (건설현장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한 위험성평가 프레임워크 개발)

  • Shin, Yeon-Cheol;Moon, Yoo-Mi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11a
    • /
    • pp.101-102
    • /
    • 2023
  • 건설 현장에서 발생하는 사고가 전체 산업재해의 약 20~30%로 높은 비율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위험성평가를 통해 위험을 감지하고 대책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현장의 모든 관리자 및 근로자들이 참여하고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근로자들의 안전한 작업환경을 조성하고, 건설현장 근로자의 안전의식과 안전문화를 형성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하기 위한 위험성평가 프레임워크 개발에 있다. 이를 통해 종합적인 안전관리를 실현하고, 안전한 작업환경을 조성하며, 근로자의 안전의식을 높이고 안전문화를 정착시키는 것이 주요 목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하여 건설현장에 적합한 위험성평가 프레임워크를 개발하고자 한다. 이 프레임워크를 통해 안전한 작업환경을 조성하고, 건설현장 근로자의 안전의식과 안전문화를 형성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안전한 작업환경 조성과 안전사고 미연에 예방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측가능하다.

  • PDF

Deploying Ubiquitous Traffic Flow Control System under the ITS Environments (ITS 환경에 유비쿼터스 교통관리시스템 접목 가능성 연구)

  • Park, Eun-Mi;Oh, Hyun-Sun;Suh, Euy-Hyun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10 no.5
    • /
    • pp.36-46
    • /
    • 2011
  • It is thought traffic flow management under the ubiquitous transportation system has great potential in view of individual vehicle data availability and V2V, V2I two-way communication environments. However, it is expected that deployment of the ubiquitous transportation system takes some tim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valuate the feasibility of the algorithm under the ITS environment. The speed management algorithm proposed in the previous research is revised to fit for the ITS data collection and information provision environment. And the feasibility of the algorithm is evaluated through simulation experiments.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 닭 기르기 100문 100답

  • 한국계육협회
    • Monthly Korean Chicken
    • /
    • v.20 no.9
    • /
    • pp.92-93
    • /
    • 2014
  •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에서는 지난해 앙계현장에서 농가가 필요로 하는 기술 분야의 질의사항에 대한 분야별 전문가가 답변한 '축산현장 애로기술 해결을 위한 닭 기르기 100문 100답집'을 발간했다. 이 책자에는 육종 번식, 종자보존과 관리, 사양관리, 항생제 대체제 이용, 계사시설과 환경관리, 특수관리, 생산물의 품질관리, 위생과 질병, 경영관리 등 양계의 다양한 분야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이 담겨져 있다. 지난해에는 육계관련 육종 번식, 사양관리에 대해 알아보았고, 올해는 항생제 대체제 이용, 계사시설과 환경관리 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 PDF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 닭 기르기 100문 100답

  • Na, Jae-Cheon
    • Monthly Korean Chicken
    • /
    • v.20 no.5
    • /
    • pp.50-52
    • /
    • 2014
  •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에서는 지난해 양계현장에서 농가가 필요로 하는 기술 분야의 질의사항에 대한 분야별 전문가가 답변한 '축산현장 애로기술 해결을 위한 닭 기르기 100문 100답집'을 발간했다. 이 책자에는 육종 번식, 종자보존과 관리, 사양관리, 항생제 대체제 이용, 계사시설과 환경관리, 특수관리, 생산물의 품질관리, 위생과 질병, 경영관리 등 양계의 다양한 분야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이 담겨져 있다. 지난해에는 육계관련 육종 번식, 사양관리에 대해 알아보았고, 올해는 항생제 대체제 이용, 계사시설과 환경관리 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 PDF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 닭 기르기 100문 100답

  • 한국계육협회
    • Monthly Korean Chicken
    • /
    • v.20 no.10
    • /
    • pp.70-71
    • /
    • 2014
  •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에서는 지난해 양계현장에서 농가가 필요로 하는 기술 분야의 질의사항에 대한 분야별 전문가가 답변한 '축산현장 애로기술 해결을 위한 닭 기르기 100문 100답집'을 발간했다. 이 책자에는 육종 번식, 종자보존과 관리, 사양관리, 항생제 대체제 이용, 계사시설과 환경관리, 특수관리, 생산물의 품질관리, 위생과 질병, 경영관리 등 양계의 다양한 분야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이 담겨져 있다. 지난해에는 육계관련 육종 번식, 사양관리에 대해 알아보았고, 올해는 항생제 대체제 이용, 계사시설과 환경관리 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