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현장평가

검색결과 6,001건 처리시간 0.05초

청감실험방식에 따른 음풍경 평가결과 비교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the soundscape evaluation depending on the listening experiment methods)

  • 조아현;한찬훈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287-301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음풍경 조사를 위해 사용되는 실험법 중 현장평가와 실험실평가를 비교·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청주시 내 4개 지역에서 현장평가와 실험실평가를 수행하였다. 현장평가에서는 각 측정점을 이용 중이던 65명의 시민이 음풍경 평가에 참여했으며, 실험실평가에서는 20세 이상 건청인 48명이 참여해 녹취한 영상과 소리를 보고 들은 뒤 평가를 진행하였다. 실험실 평가는 현장 경험자와 현장 비경험자로 나누어 실시하였으며, 음원의 청취방법을 달리하여 헤드폰 및 스피커 이용 그룹으로 분류하여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현장평가와 실험실평가에서 공통적으로 소리의 크기와 불쾌감 사이에 매우 높은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그러나 실험실 평가에서는 시각 및 청각적 정보만으로는 현장의 상황을 정확히 판단할 수 없기 때문에 현장평가와 실험실평가에서 신호음 인식에 대한 차이가 나타났다. 실험실평가에서 헤드폰과 스피커 이용 그룹의 응답결과 중 가장 크게 들리는 신호음의 인지에 차이가 있었다. 또한 현장경험자는 자신이 경험한 기억을 이용하여 신호음을 인지하는 경향이 있는 반면에 현장비경험자는 주 신호음을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었다.

재난현장 상황평가 고려요소(MORT-TAC)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lements(MORT-TAC) of Situation Assessment at Disaster Sites)

  • 김성근;이영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호
    • /
    • pp.117-127
    • /
    • 2017
  • 평소에 잘 훈련된 요원도 재난현장에 도착하면 일순간 공황에 빠져서 상황평가를 잘못하여 단순한 사고가 대형재난으로 발전하기도 한다. 특히 오늘날 재난발생 시 현장지휘관은 국민의 알권리와 언론의 집중적인 관심으로 인하여 재난현장이 실시간대에 미디어를 통하여 생중계되는 관계로 비전문적인 재난현장 관계관들은 설 땅이 없게 되었다. 따라서 재난현장 관계관들이 전문성있고 필수 고려사항을 누락함 없이 재난현장 상황평가를 실시할 수 있는 역량은 그 어느 때보다 요구된다. 그러나 재난현장 상황평가 고려요소는 그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관련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이런 점을 감안하여 본 논문은 군사 분야에서 전투현장 상황평가 시 활용하고 있는 METT-TC(Mission, Enemy, Troops, Terrain and weather, Time available, and Civilian considerations)를 준용하여, 일반 재난현장에서 효과적인 상황평가 고려요소로 MORT-TAC(Mission, Object, Resources available, Terrain and weather, Time available, Ability, and Civilian considerations)를 제안하기 위함이다. 또한 MORT-TAC 각 요소별 세부 하위요소를 델파이 조사기법을 활용하여 재난현장 상황평가 표준모델을 제시하였는데 재난관계관들의 많은 활용을 기대해 본다.

건설 현장소장의 리더십 평가 방안에 관한 연구;LBDQ 기법을 활용한 파일럿 테스트를 중심으로 (Evaluation of Project Manager's Leadership in Construction Projects;Based on LBDQ and Pilot Test)

  • 강지선;김한수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7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209-212
    • /
    • 2007
  • 건설 현장에서 리더의 역할을 담당하는 현장소장의 리더십은 프로젝트의 성과와 성패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핵심 성공 요인이다. 그러나 리더십이라는 주제가 지니는 추상적${\cdot}$정성적 속성으로 인해 이를 측정 또는 평가하는 것이 용이하지는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장소장의 리더십에 대한 정량적인 평가는 건설기업 차원에서 자사(自社) 현장소장의 리더십 수준을 파악하고 이를 지속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필수적인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Leader Behavior Description Questionnaire(LBDQ) 기법을 건설 현장소장 리더십 평가에 활용하는 방안을 파일럿 테스트를 통해 제안하는데 있다.

  • PDF

학교현장에서의 적용을 위한 웹 기반 수행평가 설계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Design of Web-based Performance Assessment for its application to Schools)

  • 박소영;김창수
    • 한국멀티미디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00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202-205
    • /
    • 2000
  • 새학교 문화창조의 일환으로 현장에선 학습자의 전인적인 특성을 평가할 수 있는 수행평가를 실시하고 있다. 하지만, 현장여건의 개선없는 제도 도입으로 근본 취지와 관계없이 교사와 학습자는 이중부담에 시달리고 있어 교육의 질 개선에 어려운 점이 많다. 본 논문에서는 수행평가실시로 인한 교사의 업무부담을 줄이고 나아가 수업의 질을 개선하고자 현장 적응력있는 웹 기반 수행평가 설계를 제안하고자 한다.

  • PDF

하천결빙시 유량측정 정확도 제고를 위한 관측방법 및 기기 현장적용평가(산지 소하천 유역을 중심으로) (Field application assessment of observation methods and gauging instruments for improvement of the accuracy of discharge measurement at ice cover (Review of small mountainous catchment))

  • 김동필;황석환;정성원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4년도 학술발표회
    • /
    • pp.1082-1085
    • /
    • 2004
  • 산지 소하천 유역에서 하천결빙이 발생하는 시기의 유량측정은 평상시의 유량측정 방법으로는 정확한 유량측정성과를 기대하기는 어렵다. 하천결빙시의 유량측정 자료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관측방법의 개발과 다양한 관측기기의 현장적용평가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관측방법의 새로운 기준 적용과 다양한 관측 기기를 이용하여 유량측정을 수행하고 측정성과를 비교 검토함으로써 현장적용평가를 실시하였으며, 현장평가의 적용을 통해 산지 소하천 유역특성에 적합한 유량측정기술 및 기기의 개발을 이루고자 하였다.

  • PDF

건설현장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한 위험성평가 프레임워크 개발 (Development of a Parts Evaluation Framework Using a Construction Site Digital Platform)

  • 신연철;문유미
    • 한국재난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재난정보학회 2023년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 /
    • pp.101-102
    • /
    • 2023
  • 건설 현장에서 발생하는 사고가 전체 산업재해의 약 20~30%로 높은 비율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위험성평가를 통해 위험을 감지하고 대책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현장의 모든 관리자 및 근로자들이 참여하고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근로자들의 안전한 작업환경을 조성하고, 건설현장 근로자의 안전의식과 안전문화를 형성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하기 위한 위험성평가 프레임워크 개발에 있다. 이를 통해 종합적인 안전관리를 실현하고, 안전한 작업환경을 조성하며, 근로자의 안전의식을 높이고 안전문화를 정착시키는 것이 주요 목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하여 건설현장에 적합한 위험성평가 프레임워크를 개발하고자 한다. 이 프레임워크를 통해 안전한 작업환경을 조성하고, 건설현장 근로자의 안전의식과 안전문화를 형성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안전한 작업환경 조성과 안전사고 미연에 예방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측가능하다.

  • PDF

공동주택과 오피스 건설현장의 조직원선정 및 평가실태 비교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f Status on the Selection and Evaluation of Field Manager in Apartment and Office Building Project)

  • 이정용;김병래;손창백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3년도 학술대회지
    • /
    • pp.290-293
    • /
    • 2003
  • 건설산업의 조직운영은 생산성 및 원가절감에 중요한 요소이다. 그러나 현재 조직개선을 위한 노력이 부족할 뿐만 아니라 조직의 평가방법 또한 체계적으로 갖추고 있지 않다. 본 연구는 공동주택 및 오피스의 현장조직원 선정실태 분석을 통하여 현장조직인의 선임방법, 직급, 및 인원수 결정기준, 자격조건등을 종합하여 제시하였고, 현장 조직원의 선정절차를 제안하였다. 또한 현장관리조직원에 활동에 대한 평가실태 분석을 통하여 현장소장에 대한 평가항목 및 배점, 준공현장에 대한 평가항목 및 배점을 제안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건설공사의 현장관리조직원의 선정 및 평가에 대한 기준을 체계적으로 갖추지 못한 건설기입에 효율적인 조직운영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함으로써 생산성향상 및 원가절감에 기여하고자 한다.

  • PDF

건설현장배치 수준의 정량적 평가: 사용성평가 방법을 활용하여 (Quantitative Analysis of Construction Site Layout: A Usability Evaluation Study)

  • 박성훈;김태완;손보식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3권5호
    • /
    • pp.34-42
    • /
    • 2022
  • 건설현장배치는 프로젝트 공기와 비용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이에 대한 최적화 및 자동화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연구의 목표변수인 건설현장배치의 수준을 평가하는 근거는 매우 제한적이다. 본 연구는 사용성평가 방법을 활용하여 건설현장배치의 수준을 평가하고 향후 건설현장배치 자동화 및 최적화 연구에서 초점을 맞추어야 하는 부분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설문결과 국내건설현장배치 사용성은 효과와 작업환경 항목에서 낮은 점수를 받았으며, 작업자가 관리자에 비해 낮게 평가하였다. 또한 작업환경 항목에서 낮은 점수를 받았으며 현장접근성과 시설 편의성이 낮음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는 건설현장배치 현황을 파악하고 개선방향을 제시함으로써 건설현장배치 자동화 및 최적화 연구의 진행을 위한 지식에 기여한다.

격리차단된 제내지 하천환경의 생태적 연계성 평가 기술 (Ecological Assessment Technique of Connectivity to Disconnected Floodplains by Levee)

  • 조강현;진승남;조현석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7년도 학술발표회
    • /
    • pp.7-7
    • /
    • 2017
  • 범람파동 개념에 따르면 하도와 홍수터의 횡적 연결성은 하천 생태계의 생물다양성과 생산성 증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제방에 의하여 제내지 홍수터가 하도와 차단된 우리나라 하천에서 생태적 서비스를 증대하기 위해서 횡적 연결성을 복원하는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횡적 연결성의 복원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우선 하도와 홍수터 사이에 생태적 연결성의 현황을 파악하고 연결성을 저해하는 요인을 진단하는 평가 기술 개발이 시급히 요청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제방에 의하여 차단된 제내지 하천환경에서 수리적, 생태적 횡적 연결성을 평가하고 진단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연결성 회복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차단된 제내지 하천환경 평가는 1)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하여 차단된 하천공간을 탐색하고, 2) 탐색된 전체 재내지에서 원격평가에 의하여 간편하게 횡적 연결성 평가를 실시하고, 3) 선정된 특정 제내지 대상지에서 현장평가에 의하여 상세하게 연결성을 평가하는 순서로 수행된다. 차단된 하천공간의 획정은 홍수가 범람할 수 있는 제내지 공간을 잠재적 하천공간으로 정의하고 수치표고모델 (DEM)과 하천기본계획의 30년 빈도 홍수위 자료를 이용하여 제내지 홍수터를 탐색하였다. 제내지 홍수터의 원격 연결성평가는 지리정보시스템에서 수치지도와 토지피복도 등 공간자료를 이용하여 수리 및 서식처 환경성, 제방 차단성과 하도 및 육상 연결성을 평가하고 원격평가 결과를 토대로 현장평가 대상지를 선정하였다. 횡적 연결성의 현장평가를 위하여 크게 하도-홍수터 연결성과 제내지 서식처 보존성으로 평가 항목을 선정하였다. 또한 연결성 평가는 수리연결성과 생물연결성으로, 서식처 보존성 평가는 습지유지율, 습지보존성, 육역지보존성을 세부항목으로 구성하였다. 평가 항목별로 5 등급의 평가 기준에 따라서 평가 점수를 부여하고 평가 총점을 산출하여 최종 연결성 평가 등급을 5 단계로 구분하였다. 현장평가를 위한 MS Access 기반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여, 데이터 입력과 관리 및 평가 결과 산출과 비교를 편리하게 하였다. 개발된 제내지 하천환경 평가법을 청미천과 만경강에 적용하여 검증하였다. 개발된 평가법을 바탕으로 차단된 제내지 하천환경에서 연결성 회복에 따른 어류와 식생의 분포를 예측하는 수리생태 결합모델을 개발하였다. 먼저 차단된 제내지에서 연결 수로를 복원하여 유속, 수심 분포를 준이차 수리수문 모델로 예측하였다. 예측된 수리 환경에 따라서 지표어종의 서식처 적합도 지수 (HSI)를 이용하여 서식 분포 확률을 모의하였다. 또한 일반화가법모델 (GAM)을 이용하여 환경구배에 의한 우점식생의 분포를 예측하였다. 차단된 제내지 하천환경의 생태적 연계성 평가 기술을 기반으로 제방제거, 제방후퇴, 제방고 하강, 수문 및 연결수로 개선, 생물이동 저해 장벽 제거 등의 다양한 복원기술이 개발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건설현장 위험성평가 운영시스템 구축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Construction Site Risk Assessment Operation System)

  • 이재붕
    • 한국재난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재난정보학회 2022년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 /
    • pp.185-186
    • /
    • 2022
  • 2012년 9월부터 건설현장 위험성평가는 안전관리 업무로 의무화되었으나, 해당 근로자가 사전위험성을 추정하고 대책을 수립하여 재해예방 활동으로 연계되기에는 위험성평가 작성부터 어려움이 있다. 위험성평가 운영시스템 구축을 통해 건설현장 근로자가 해당작업의 위험요인 및 안전대책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작업 공종 선택만으로 해당작업의 다양한 위험요인과 안전대책을 제시하고, 해당 공종에서 발생한 재해사례를 보여줌으로써 동종 재해 재발방지 대책수립이 가능하도록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이러한 위험성평가 활동의 효과분석을 위해 H건설사의 운영평가에서, 위험성평가 운영시스템 구축 이후 건설현장 근로자가 위험성평가 활용에 쉽게 접근할 수 있고 해당공정의 위험요인 추정 및 위험예방 대책 수립이 가능하게 되었으며, 평가기간 동안 재해율 감소에도 영향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