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현장평가

Search Result 5,981, Processing Time 0.055 seconds

Comparative analysis of the soundscape evaluation depending on the listening experiment methods (청감실험방식에 따른 음풍경 평가결과 비교분석)

  • Jo, A-Hyeon;Haan, Chan-Hoon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41 no.3
    • /
    • pp.287-301
    • /
    • 2022
  • The present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soundscape evaluation results from on-site field test and laboratory test which are commonly used for soundscape surveys. In order to do this, both field and lab tests were carried out at four different areas in Cheongju city. On-site questionnaire surveys were undertaken to 65 people at 13 points. Laboratory listening tests were carried out to 48 adults using recorded sounds and video. Laboratory tests were undertaken to two different groups who had experience of field survey or not. Also, two different sound reproduction tools, headphones and speakers, were used in laboratory test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very close correlation between sound loudness and annoyance in both field and laboratory tests. However, it was concluded that there must be a difference in recognizing the figure sounds between field and laboratory tests since it is hard to apprehend on-site situation only using visual and aural information provided in laboratory tests. In laboratory tests, it was shown that there is a some difference in perceived most loud figure sounds in two groups using headphones and speakers. Also, it was analyzed that there is a tendency that field experienced people recognize the figure sounds using their experienced memory while non-experienced people can not perceive the figure sounds.

A Study on the Elements(MORT-TAC) of Situation Assessment at Disaster Sites (재난현장 상황평가 고려요소(MORT-TAC)에 관한 연구)

  • Kim, Sung-Geun;Lee, Young-Jai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5 no.1
    • /
    • pp.117-127
    • /
    • 2017
  • Even well trained personnel may fall victim to panic, and a wrong assessment of the situation can turn a small accident into a huge disaster. At the disaster site, the event is commonly broadcasted in real time and is unfiltered. Thus, the commander of the site must be able to accurately assess the scene while not missing out on key considerations. Despite the necessity of good situational assessment, there is barely any research on this topic. This study utilizes METT-TC(Mission, Enemy, Troops, Terrain and weather, Time available, and Civil considerations) which is used by militaries to assess combat situations, and proposes MORT-TAC(Mission, Object, Resources available, Terrain and weather, Time available, Ability, and Civil considerations) as factors to consider in effectively controlling the disaster site. The standard model is used for assessing disaster scenes by applying the Delphi analytical method on each sub-factor of MORT-TAC.

Evaluation of Project Manager's Leadership in Construction Projects;Based on LBDQ and Pilot Test (건설 현장소장의 리더십 평가 방안에 관한 연구;LBDQ 기법을 활용한 파일럿 테스트를 중심으로)

  • Gang, Ji-Sun;Kim, Han-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2007.11a
    • /
    • pp.209-212
    • /
    • 2007
  • Project managers' leadership in construction projects significantly influence project performance and outcomes. However, due to its conceptual and quantitative nature, leadership is a subject which is difficult to be evaluated or measured despite of the benefits of its measurement. The objective is this paper to apply the LBDQ technique in evaluating project managers' leadership and discuss outcomes through a pilot test.

  • PDF

The Study on the Design of Web-based Performance Assessment for its application to Schools (학교현장에서의 적용을 위한 웹 기반 수행평가 설계에 관한 연구)

  • 박소영;김창수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0.04a
    • /
    • pp.202-205
    • /
    • 2000
  • 새학교 문화창조의 일환으로 현장에선 학습자의 전인적인 특성을 평가할 수 있는 수행평가를 실시하고 있다. 하지만, 현장여건의 개선없는 제도 도입으로 근본 취지와 관계없이 교사와 학습자는 이중부담에 시달리고 있어 교육의 질 개선에 어려운 점이 많다. 본 논문에서는 수행평가실시로 인한 교사의 업무부담을 줄이고 나아가 수업의 질을 개선하고자 현장 적응력있는 웹 기반 수행평가 설계를 제안하고자 한다.

  • PDF

Field application assessment of observation methods and gauging instruments for improvement of the accuracy of discharge measurement at ice cover (Review of small mountainous catchment) (하천결빙시 유량측정 정확도 제고를 위한 관측방법 및 기기 현장적용평가(산지 소하천 유역을 중심으로))

  • Kim, Dong Phil;Hwang, Seok Hwan;Jung, Sung 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5b
    • /
    • pp.1082-1085
    • /
    • 2004
  • 산지 소하천 유역에서 하천결빙이 발생하는 시기의 유량측정은 평상시의 유량측정 방법으로는 정확한 유량측정성과를 기대하기는 어렵다. 하천결빙시의 유량측정 자료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관측방법의 개발과 다양한 관측기기의 현장적용평가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관측방법의 새로운 기준 적용과 다양한 관측 기기를 이용하여 유량측정을 수행하고 측정성과를 비교 검토함으로써 현장적용평가를 실시하였으며, 현장평가의 적용을 통해 산지 소하천 유역특성에 적합한 유량측정기술 및 기기의 개발을 이루고자 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a Parts Evaluation Framework Using a Construction Site Digital Platform (건설현장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한 위험성평가 프레임워크 개발)

  • Shin, Yeon-Cheol;Moon, Yoo-Mi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11a
    • /
    • pp.101-102
    • /
    • 2023
  • 건설 현장에서 발생하는 사고가 전체 산업재해의 약 20~30%로 높은 비율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위험성평가를 통해 위험을 감지하고 대책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현장의 모든 관리자 및 근로자들이 참여하고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근로자들의 안전한 작업환경을 조성하고, 건설현장 근로자의 안전의식과 안전문화를 형성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하기 위한 위험성평가 프레임워크 개발에 있다. 이를 통해 종합적인 안전관리를 실현하고, 안전한 작업환경을 조성하며, 근로자의 안전의식을 높이고 안전문화를 정착시키는 것이 주요 목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하여 건설현장에 적합한 위험성평가 프레임워크를 개발하고자 한다. 이 프레임워크를 통해 안전한 작업환경을 조성하고, 건설현장 근로자의 안전의식과 안전문화를 형성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안전한 작업환경 조성과 안전사고 미연에 예방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측가능하다.

  • PDF

A Comparative Analysis of Status on the Selection and Evaluation of Field Manager in Apartment and Office Building Project (공동주택과 오피스 건설현장의 조직원선정 및 평가실태 비교분석)

  • Lee Jung-Yong;Kim Byeong-Lae;Son Chang-Bae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autumn
    • /
    • pp.290-293
    • /
    • 2003
  • The field organization management in construction industry is very important factor improvement and cost reduction. But, until now, evaluation methods on the existing field organization did not make ready and endeavor of organization betterment was insufficient in construction industry.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provide basic data for reasonable selection and evaluation of the field manager through analyzing operation status of the existing field organization in apartment and office building project by interview and questionnaire on the 22 construction companies. This study presented optimal proposal on the selection and evalution of field manager for productivity improvement and cost reduction by means of efficient construction progress in apartment and dffice building project.

  • PDF

Quantitative Analysis of Construction Site Layout: A Usability Evaluation Study (건설현장배치 수준의 정량적 평가: 사용성평가 방법을 활용하여)

  • Park, Seonghun;Kim, Tae Wan;Son, Bosik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23 no.5
    • /
    • pp.34-42
    • /
    • 2022
  • Construction site layout is attracting attention as efficient use of construction site space greatly affects the duration and cost of the overall construction. Therefore, there are many studies that automate and optimize construction site layout planning. However, the usability of construction site, which consists of goal variables of the studies, has still been unknown. Therefore, the authors present the evaluation criteria for usability of construction site layout and evaluate the usability of domestic construction sites through user survey. Furthermore, the difference in usability between construction site managers and construction site workers was confirmed. As a result of the survey, domestic construction site layout had a low effectiveness and had the lowest score in the environment category. In addition, construction site workers scored lower overall than construction site managers. Through such usability evaluation results, it contributed to the construction site layout theory by assessing current construction site layout practice and suggesting an improvement direction for automating site layout planning.

Ecological Assessment Technique of Connectivity to Disconnected Floodplains by Levee (격리차단된 제내지 하천환경의 생태적 연계성 평가 기술)

  • Cho, Kang-Hyun;Jin, Seung-Nam;Cho, Hyunsu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7-7
    • /
    • 2017
  • 범람파동 개념에 따르면 하도와 홍수터의 횡적 연결성은 하천 생태계의 생물다양성과 생산성 증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제방에 의하여 제내지 홍수터가 하도와 차단된 우리나라 하천에서 생태적 서비스를 증대하기 위해서 횡적 연결성을 복원하는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횡적 연결성의 복원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우선 하도와 홍수터 사이에 생태적 연결성의 현황을 파악하고 연결성을 저해하는 요인을 진단하는 평가 기술 개발이 시급히 요청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제방에 의하여 차단된 제내지 하천환경에서 수리적, 생태적 횡적 연결성을 평가하고 진단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연결성 회복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차단된 제내지 하천환경 평가는 1)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하여 차단된 하천공간을 탐색하고, 2) 탐색된 전체 재내지에서 원격평가에 의하여 간편하게 횡적 연결성 평가를 실시하고, 3) 선정된 특정 제내지 대상지에서 현장평가에 의하여 상세하게 연결성을 평가하는 순서로 수행된다. 차단된 하천공간의 획정은 홍수가 범람할 수 있는 제내지 공간을 잠재적 하천공간으로 정의하고 수치표고모델 (DEM)과 하천기본계획의 30년 빈도 홍수위 자료를 이용하여 제내지 홍수터를 탐색하였다. 제내지 홍수터의 원격 연결성평가는 지리정보시스템에서 수치지도와 토지피복도 등 공간자료를 이용하여 수리 및 서식처 환경성, 제방 차단성과 하도 및 육상 연결성을 평가하고 원격평가 결과를 토대로 현장평가 대상지를 선정하였다. 횡적 연결성의 현장평가를 위하여 크게 하도-홍수터 연결성과 제내지 서식처 보존성으로 평가 항목을 선정하였다. 또한 연결성 평가는 수리연결성과 생물연결성으로, 서식처 보존성 평가는 습지유지율, 습지보존성, 육역지보존성을 세부항목으로 구성하였다. 평가 항목별로 5 등급의 평가 기준에 따라서 평가 점수를 부여하고 평가 총점을 산출하여 최종 연결성 평가 등급을 5 단계로 구분하였다. 현장평가를 위한 MS Access 기반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여, 데이터 입력과 관리 및 평가 결과 산출과 비교를 편리하게 하였다. 개발된 제내지 하천환경 평가법을 청미천과 만경강에 적용하여 검증하였다. 개발된 평가법을 바탕으로 차단된 제내지 하천환경에서 연결성 회복에 따른 어류와 식생의 분포를 예측하는 수리생태 결합모델을 개발하였다. 먼저 차단된 제내지에서 연결 수로를 복원하여 유속, 수심 분포를 준이차 수리수문 모델로 예측하였다. 예측된 수리 환경에 따라서 지표어종의 서식처 적합도 지수 (HSI)를 이용하여 서식 분포 확률을 모의하였다. 또한 일반화가법모델 (GAM)을 이용하여 환경구배에 의한 우점식생의 분포를 예측하였다. 차단된 제내지 하천환경의 생태적 연계성 평가 기술을 기반으로 제방제거, 제방후퇴, 제방고 하강, 수문 및 연결수로 개선, 생물이동 저해 장벽 제거 등의 다양한 복원기술이 개발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A Study on the Effect of Construction Site Risk Assessment Operation System (건설현장 위험성평가 운영시스템 구축효과에 관한 연구)

  • Lee, Jae-B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10a
    • /
    • pp.185-186
    • /
    • 2022
  • 2012년 9월부터 건설현장 위험성평가는 안전관리 업무로 의무화되었으나, 해당 근로자가 사전위험성을 추정하고 대책을 수립하여 재해예방 활동으로 연계되기에는 위험성평가 작성부터 어려움이 있다. 위험성평가 운영시스템 구축을 통해 건설현장 근로자가 해당작업의 위험요인 및 안전대책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작업 공종 선택만으로 해당작업의 다양한 위험요인과 안전대책을 제시하고, 해당 공종에서 발생한 재해사례를 보여줌으로써 동종 재해 재발방지 대책수립이 가능하도록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이러한 위험성평가 활동의 효과분석을 위해 H건설사의 운영평가에서, 위험성평가 운영시스템 구축 이후 건설현장 근로자가 위험성평가 활용에 쉽게 접근할 수 있고 해당공정의 위험요인 추정 및 위험예방 대책 수립이 가능하게 되었으며, 평가기간 동안 재해율 감소에도 영향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