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현장적용 사례

Search Result 1,357, Processing Time 0.03 seconds

A Case Study of Selecting Rock Excavation Method Considering the Geological Conditions in Daejon Area (대전지역의 토목지질학적 조건을 고려한 암파쇄공법 선정에 관한 사례연구)

  • 윤성현;이광열;안명석;류창하
    • Explosives and Blasting
    • /
    • v.19 no.4
    • /
    • pp.11-22
    • /
    • 2001
  • 토목공사장에서 암파쇄 작업은 경제성과 안정성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작업이다. 본 논문은 대전지역에서 수행된 암파쇄 공법 설계 및 시공사례로서, 현장암반의 특성을 고려한 적정발파공법을 선정하기 위하여 대상 지역의 지질현황을 조사·분석하고, 또한 민원이 첨예한 도로개설 공사장에서 시험발파를 실시하여 이를 토대로 암절취 공법을 선정하여 시공한 사례보고이다. 대전지역의 지질은 선캠브리아기의 변성암류와 변성퇴적암류 및 이를 관입한 심성암류와 중생대 화강암으로 이루어져 있는 복잡한 분포를 이루고 있다. 사례연구 대상 현장은 편상구조가 현저한 관입 편상화강암 및 화강암질 편마암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시험발파 및 분석결과를 기초로하여 25.5m이내 지역은 HRS 등 무진동 파쇄공법의 적용을 제안하였고, 25.5∼36m 범위의 대부분 지역은 진동제어를 할 수 있는 제어발파공법을 권장하였고, 기타 진동 영향권에서 비교적 안전한 것으로 나타난 지역은 소발파공법을 적용하도록 제안하였다. 제안된 안에 따라 설계를 보완하고 시공한 결과 문제의 발생없이 성공적으로 시공이 완료되었다.

  • PDF

A Study on the Disaster Case Using MORT-TAC (재난현장 상황평가 고려요소(MORT-TAC)를 활용한 재난사례 연구)

  • Sung-Geun Kim;Chong-Soo Cheung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9 no.4
    • /
    • pp.757-769
    • /
    • 2023
  • Purpose: This paper aims to verify the applicability of MORT-TAC and expand the scope of research by studying disaster cases using MORT-TAC, a factor for considering disaster site situation evaluation presented in Dr. Kim Sung-geun's doctoral thesis. Method: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disaster cases were studied using MORT-TAC, focusing on literature research. Result: The Disaster Site Situation Assessment Consideration Element (MORT-TAC) can be used as a useful research methodology in studying disaster cases and allows a three-dimensional understanding of the disaster site through disaster site situation assessment. Conclusion: Studying disaster cases using MORT-TAC, a factor considering the situation evaluation of disaster sites, is useful for improving the expertise of disaster officials and gaining insight into disaster sites

Technical Trend of Trivalent Chromium Plating (3가 크롬도금의 기술 및 동향)

  • Na, Hyeong-Seon;Lee, Hu-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5.11a
    • /
    • pp.209-209
    • /
    • 2015
  • EPA, OSHA의 크롬 mist 배출강화기준, ROHS 등에 의한 6가 크롬사용이 억제되어 그 대안으로 친환경 프로세스인 3가 크롬도금이 핸드폰 부품을 중심으로 적용이 되어 대량 생산 기술이 확립이 되고, 최근 자동차 장식도금 분야에 까지 적용이 확대되어 가고 있다. 그러나 아직도 3가 크롬도금을 적용하는데는 많은 혼선과 문제점이 보고되고 있다. 이에 본 발표에서는 3가 크롬도금의 최신 기술 동향을 소개하고, 3가 크롬도금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 현장 적용사례를 보고하여 3가 크롬도금 적용 활성화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본 발표에서는, - 3가 크롬도금에 대한 소개 - 아토텍 프로세스의 소개 - 염산욕과 황산욕의 비교 - 내식성 관련 자료 - 현장관리 및 적용사례 등을 포함하여 간략하게 소개하고자 한다.

  • PDF

Analysis of Application Cases and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n Portable Dynamic Cone Penetration Test (DCPT) to Identify the Deterioration Cause of Damaged Reinforced Earth Walls (보강토옹벽의 피해원인 규명을 위한 휴대형 동적콘관입시험(DCPT) 적용사례 분석 및 효용성 평가)

  • Lee, Kwang-Wu;Cho, Sam-Deok
    • Journal of the Korean Geosynthetics Society
    • /
    • v.19 no.4
    • /
    • pp.95-109
    • /
    • 2020
  • In this study, a total of six site cases were reviewed to assess the site applicability of portable dynamic cone penetration test (DCPT) by identifying the cause of damage to the damaged reinforced earth wall using portable dynamic cone penetration test. An improved dynamic concrete penetration tester was used at the site to enable ground surveys of more than 6 meters. The test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the standard penetration test (SPT) and the correlation was analyzed. Through the analysis of various field application cases, it was found that portable dynamic cone penetration test was very convenient to apply at the site of the damaged reinforced earth wall, and DCPT could play a major role in identifying the cause of damage and verifying stability of the retaining wall by continuously identifying the ground strength.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results of the dynamic cone penetration test and the standard penetration test showed a correlation of N≒(1/3~2/3)·Nd in sandy soil.

초고층 건물에서의 설비 조립화 공법 사례

  • 이정광
    • The Magazine of the Society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ng Engineers of Korea
    • /
    • v.30 no.2
    • /
    • pp.25-32
    • /
    • 2001
  • 각종 설비 조립화 공법에 대하여 소개하고 특히 초고층건물에서의 P.F.P(pre fabricated piping)공법의 현장적용사례를 소개하고자 한다.

  • PDF

Pile Integrity Test Examples for Displacement in-situ Concrete Piles (소구경 현장타설 콘크리트 말뚝의 건전도 시험사례)

  • 이명환;홍헌성;김성회;전영석
    • Proceedings of the Korean Geotechical Society Conference
    • /
    • 1999.10a
    • /
    • pp.423-430
    • /
    • 1999
  • PIT collector를 이용한 저변형률 건전도시험(low strain pile integrity test)은 충격에 의해 발생하는 응력파장의 특성을 분석하여 말뚝의 길이와 형상을 추정하는 방법이다. PIT시험(Pile Integrity Test)은 장말뚝인 경우와 지반저항이 큰 경우 선단부의 위치가 분명하게 확인되지 않아 해석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으며 적용할 수 있는 대상말뚝에도 종류에 따라 제한된다. 그러나 이밖의 경우 간편성과 말뚝의 대략적인 단면형상을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 다른 방법에 비하여 유리하다. 이 때문에 국내에서도 PIT시험의 적용 빈도가 증가하는 추세이며 지난 3~4년 동안 주로 대형 교량건설 현장의 대구경 현장타설말뚝에 대하여 적용되어 왔다. 최근 국내에서는 대구경 현장타설말뚝이 아닌 소구경 현장타설말뚝에 대하여 PIT시험을 실시하는 경우도 증가하고 있다. 현장 조건상 말뚝길이가 길지 않은 경우 시험분석결과 말뚝의 선단부가 분명하게 확인되었고 말뚝 중간부 및 하부의 necking 또는 bulging, 선단부의 단면이 확대되거나 축소되는 형상 등 다양한 단면형상을 나타내었다. 이 결과로부터 건전도시험의 효과적인 분석방안, 시간(양생)효과 등을 판단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The role of design in civil construction site "Walk good!"-Singapore MRT No. 2 subway line Construction fence Design project (토목공사 현장에서 디자인의 역할 "Walk good!"-싱가포르 도시철도(MRT) 2호선 산사태방지 지지기반 펜스 디자인 프로젝트)

  • Liu, Chang;Ahn, Byou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125-126
    • /
    • 2012
  • 최근 몇 년 사이 공사현장의 미관 개선을 위하여 단순 기능적인 요소로 인식되었던 공사장 펜스에 공공디자인을 통한 환경그래픽을 적용 하는 사례가 빈번해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10년 동서대 퍼블릭디자인 앤 라이팅연구소가 싱가포르 도시철도 공사현장의 펜스에 적용한 디자인프로젝트에 관한 연구이다.

  • PDF

호주 노사관계에서의 한국계 이주노동자의 노동실태 - 건설산업 타일직종의 사례 -

  • Kim, Sam-Su
    • Korean Journal of Labor Studies
    • /
    • v.14 no.2
    • /
    • pp.309-346
    • /
    • 2008
  • 이 논문에서는 호주에서 한국계 이주자가 다수 취업하고 있는 건설산업의 타일직종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계 이주노동자의 노동실태를 밝힌다. 건설현장의 사례조사를 통해 중층적 하청구조의 말단에 편성된 타일노동조직인 노무재하청업체의 작업방식 및 생산성관리, 숙련구분 및 임금결정, 임금수준 등 기타 노동조건을 구체적으로 규명한다. 그리고 이를 호주의 노사관계에서 제도화된 자영청부방식 및 자영청부공의 노동조건 등과 비교한다. 사례조사는 2006년도에 시드니지역 상업용 건축부문의 타일시공현장 두 곳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두 곳의 건축현장 모두 노조가 활동하는 현장임에도 불구하고 한국계 이주 타일노동자는 공식적인 노사관계제도가 적용되지 않는 무협약상태에 있다. 건설산업의 최저 노동조건이라고 할 수 있는 전국재정 마저도 적용되고 있지 않다. 그들이 공식적인 노사관계제도의 적용으로부터 배제된 근본적인 이유는 타일회사로부터 타일시공을 다시 하수급하는 한국계의 노무재하청업체(오야까따)에 고용되어 있기 때문이다. 타일회사나 빌더는 1990년대 후반부터 다수 유입되기 시작한 한국계 타일공을 이와 같은 노무 재하청방식으로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건설노조는 확대되는 노무재하청에 대해 한국계 타일노동자를 대상으로 한 여권조사, 임시고용비자 및 타일청부면허 취득 캠페인 등의 활동을 통해 불법취업자의 사용을 금지하는 한편 한국의 타일기능공을 자영타일공으로 전환시켜 노사관계 질서를 세우려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노조의 활동에도 불구하고 기업협약에 의해서 명문으로 금지되고 있는 노무재하청의 관행이 전혀 개선되지 않고 있다. 노무재하청 관행에 대한 건설노조 정책의 가장 곤란한 문제점은 노무재하청을 행하는 당사자인 재하청업자를 한국계 타일노동자 조합조직의 중심으로 하고 있으며, 또 하지 않을 수 없는 점에 있음을 양국 간의 숙련구분 및 임금제도 비교분석을 통해 밝혔다.

미국의 시행착오에서 배우는 폐광 환경복원 최적화 기법

  • 황대규;이진용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2.11a
    • /
    • pp.45-58
    • /
    • 2002
  • 폐기물과 오염물질 투기로 인해 발생된 오염지의 복원은 1980년대 초반 미국이 본격적으로 시도하여 현장조사, 위해도 평가, 타당성 검토의 3단계를 거쳐 복원대책을 수립하는 정형이 이루어졌다. 이 정형에서는 먼저 현장조사로 오염상태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고 위해도 평가로 오염도가 인체와 환경에 미치는 위해도를 정량화하며 타당성 검토에서 위해도를 제거하기 위한 각종대안을 검토하여 최종안을 선정한다. 이 과정 자체는 합리적이었으나 여러 가지 시행착오를 거치며 과잉대책이 남발되고 사업효과도 미흡하여 점차 예산낭비의 대표적인 사례로 비판이 제기되었다. 시행착오의 가장 큰 기술적 원인은 위해도 평가와 별개로 타당성 검토를 수행하며 비현실적인 완벽복원을 추구한 탓이며 이를 극복하려는 최적화 기법이 90년대 초반에 소개되었다. 이 최적화기법은 타당성 검토단계에서 각 대안의 잔류 위해도를 산정하고 해당대안의 비용과 비교하여 위해도를 허용수준으로 줄이는 최소비용 대안을 발견하는 방법이다. 이 최적화기법을 실제 프로젝트에 적용한 결과 복원대책 수행에 기대 이상의 비용절감을 이루고 정부의 수용도도 높았다. 특히 정비대책에 현장조건의 특성을 활용하는 창의적 대안을 도입하면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바 두 가지 사례를 소개하였다. 앞으로 상당한 투자가 예상되는 폐광오염 문제에도 이 기법을 적용하면 비용과 효과를 최적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어 그 모델을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