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현장업무 자동화 시스템

Search Result 34, Processing Time 0.044 seconds

Smart Glasses and Mobile Application Development for Automation of Construction Safety Management (건설 안전관리 업무의 자동화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및 스마트 글래스 개발)

  • Choi, Hye-Rin;Kang, Hyun-Ku;Kim, Seong-Min;Lee, Min-Young;Choi, Tae-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2.11a
    • /
    • pp.830-832
    • /
    • 2022
  • 최근 산업 재해 중 업종별 사고 사망자 수가 1 위인 건설 산업에서 안전관리자는 실질적인 현장관리와 사고 예방의 핵심 인력으로 그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안전 관리 활동 수준과 재해율은 높은 상관관계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적은 인력 및 과도한 서류 작업으로 인해 직무 스트레스 및 생산성 저하에 큰 영향을 미치며 이는 현장 업무 효율성 저하 원인으로 꼽힌다. 특히 중소규모 건설사는 대형 건설사에 비해 안전 관리 활동 수준 차이 조사 항목에서 대부분의 항목에서 열악하며 통합관리시스템 또한 보유하지 않는 경우가 많아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건설사 규모와 관계없이 이용 가능한 스마트글래스(SmartGlasses)와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으로 현장업무의 프로세스 자동화 구현 및 통합안전 관리 시스템을 제안하여 서류작업의 간소화, 직무 스트레스 감소, 건설 안전 관리자의 생산성 및 안전성의 혁신적 향상에 공헌한다.

Design of Integrated Mobile System for Efficient Distribution Field Work Process (효율적 배전현장 업무처리를 위한 통합형 모바일 시스템 설계)

  • Shin, Jin-Ho;Lee, Yeong-Koo;Yi, Bong-Jae;Kim, Young-Il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7.07a
    • /
    • pp.1825-1826
    • /
    • 2007
  • 세계적으로 현장업무는 현장에서 접수하여 즉시 처리하는 방식으로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다. 현재 전력업무의 대표적인 모바일 시스템으로 기동보수/순시점검 모바일시스템이 시범운영되고 있으나, 자동처리 기능개선, 네비게이션 기능개발 등 자동화 및 지능화 기술개발이 필요하며 작업차량의 위치와 상태와 무관하게 운영되고 있는 업무들을 통합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모바일시스템 개발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효율적인 배전운영 현장업무 처리를 위한 통합형 모바일시스템을 설계한다. 모바일 서버, 무선통신망, 단말기용 모바일시스템에 대한 전반적인 시스템의 구성방안 설명하고, 핵심적인 요소기술 개발사항과 방법을 제시한다.

  • PDF

A Development of Workflow Management System For Enterprise Integration (기업 통합을 위한 워크플로우 관리 시스템 개발)

  • Byoun, Bo-Gyun;Han, Hyun-Chul;Youn, Ch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1.10b
    • /
    • pp.1241-1244
    • /
    • 2001
  • 워크플로우 관리 시스템은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자동화하여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등장한 개념이다. 초기에는 비교적 작은 규모의 업무현장에서 활용되었으나, 업무환경의 급속한 변화에 따라 점차 자동화해야 하는 프로세스의 규모가 확대되고 있다. 즉, 단순히 하나의 사업장에서의 프로세스 자동화가 아닌 좀더 복잡한 업무 환경에서도 활용 가능한 프로세스 자동화 개념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기존의 워크플로우 관리 시스템의 개념을 확장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빠르게 변화하는 기업 환경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하여 기업 내 업무시스템들을 손 쉽게 비즈니스 프로세스 관점에서 통합할 수 있는 워크플로우 관리 시스템을 설계 구현하였다. 이를 위한 기반 기술로 XML 을 사용하였으며 통합할 시스템들 간에 사용할 통신 프로토콜로는 HTTP 를 이용하였다.

  • PDF

New! 안전시설&보호구 - 경제성과 안전성을 갖춘 자동화시스템, 건설현장에서 '인기'

  • Im, Dong-Hui
    • The Safety technology
    • /
    • no.173
    • /
    • pp.24-25
    • /
    • 2012
  • 우리나라 재해 중 사망사고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업종은 단연 건설업이다. 지난해에도 총 2,114명의 산업재해 사망자 중 621명(29.4%)이 건설업에서 발생했다. 이렇듯 건설업에서 사망재해가 많이 발생하는 것에는 여러 이유가 있겠지만, 그 중에서도 현장에서 체계적이고 시스템적인 관리 및 업무처리가 잘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것이 주 요인으로 꼽힌다. 이는 현장의 이동이 빈번하고, 일용근로자가 많다는 건설현장특성상 어쩔 수 없는 부분으로 여겨져 왔다. 이러한 상황 속에 최근 설계 도면부터 각종 안전장치까지, 수동적인 시스템을 탈피해 자동적인 시스템을 구축 확산하려 노력하고 있는 기업이 있어 주목을 끈다. 바로 자동화시스템 전문업체인 (주)제이엠디(이하 JMD)다. 이곳의 대표적인 제품으로는 철골 자동화 설계 프로그램인 'Marvel Shop'과 자동안전샤클 제품인 'MASS2 ss11'이 있다. 건설현장의 자동화를 지향하는 이들 제품을 한번 살펴봤다.

  • PDF

A Study on Productivity Analysis of Quality Management System in Construction Site (건설현장 품질관리 자동화 시스템의 생산성 분석에 관한 연구)

  • Choi, Yeongjun;Oh, Hyunchul;Baek, Kihyun;Kim, Seok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25 no.3
    • /
    • pp.17-26
    • /
    • 2024
  • Quality management work at construction sites demands substantial time and effort, involving the preparation of documents in Excel, approval processes, and the execution of quality tests. These Excel-based tasks include printing quality test reports, performing quality tests, generating and approving test reports, and preparing management ledgers. This division of processes extends the duration of work and diminishes efficiency. Accordingly, a cloud-based construction site quality management system was developed to enhance the productivity of quality management work.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oductivity of the construction site quality management system, which is in the early stages of implementation at construction sites. This study implemented the construction site quality management system at a road construction site and scrutinized subsequent alterations in the quality management workflow before and after the implementation. Additionally,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quality control engineers to collect data on work time both before and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construction site quality management system. Based on the collected data, the Monte-Carlo simulation method was applied to analyze the productivity improvement effect of the construction site quality management system, and the results were presen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serve as foundational data for future research endeavors focused on the automation of quality management works.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Real-time Traffic Accident Notification Application (실시간 교통사고 알림 애플리케이션 설계 및 구현)

  • Won Joo Lee;Yu Zin J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07a
    • /
    • pp.281-282
    • /
    • 2023
  • 본 논문에서는 안드로이드 앱 기반의 스마트폰에 내장된 GPS센서와 IoT 기반의 사고 감지 시스템을 융합하여 실시간 교통사고를 알려주는 자동화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GPS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하고 사고 현장의 GPS와 정보를 무선 네트워크와 MQTT기반의 프로토콜로 전달받아 실시간으로 사고 현장을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소방관이나 경찰관같은 업무 처리자의 경우 직접적인 신고가 아닌 자동화로 업무의 환경을 개선해 골든 타임을 확보를 용이하게 한다.

  • PDF

The Design of Master Station for Distribution Automation based on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기반의 배전자동화 중앙제어장치 설계)

  • Park, Shin-Yeol;Ha, Bok-Nam;Shin, Chang-Hoon;Kwon, Seong-Chul;Park, So-Young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6.07a
    • /
    • pp.327-328
    • /
    • 2006
  • 배전자동화 시스템은 컴퓨터와 통신기술을 활용하여 원거리에 산재되어 있는 배전선로용 개폐장치를 현장에 가지 않고 제어실에서 원격 명령으로 운전상태를 감시하고 제어하며, 고장정보를 수집하여 고장구간을 판단하여 처리하고, 전압과 전류 등 선로운전 정보를 자동으로 수집하여 배전계통을 최적 상태로 운전하도록 하는 시스템이다. 국내에서는 변전소 원격감시제어 시스템인 SCADA와 배전선로의 개폐장치를 원격감시 제어하는 배전자동화 시스템인 DAS가 별도로 운영되지만, 외국의 경우에는 대부분 SCADA와 DAS가 통합되어 운영되고 있다. 또한 배전자동화에 대한 개념, 시스템의 기능, 배전자동화에서 처리하는 업무영역 등이 우리나라의 배전자동화 시스템과 다르다. 특히 소규모 변전소 원격감시제어 시스템인 SCADA와 배전선로의 개폐장치를 원격감시 제어하는 배전자동화 시스템을 통합한 시스템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외국의 배전자동화 기술동향을 분석하고, 우리나라의 배전자동화 기술과 비교하여, 국외 수출이 가능한 배전자동화 중앙제어장치가 가져야 하는 주요핵심 기능인 배전관리시스템(DMS), 지리정보시스템(GIS), 정전관리시스템(OMS) 등의 개발 방향에 대해 기술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Product Move Operation Optimal Path Based on Business Supporting System & Spatial Information (업무지원 시스템 및 공간정보 기반의 제품 이동 작업 경로 최적화 기법 연구)

  • Sung-il Park;Ik-Soo choi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07a
    • /
    • pp.555-556
    • /
    • 2023
  • 본 논문에서는 제조/물류 기업 등 제품(물품) 이동 작업 시 효율적인 경로 제공을 위한 경로 최적화 기법을 제안한다. 이 기법은 업무지원 시스템(MES, ERP, WMS 등)이 구축되어있는 기업을 대상으로 공간정보와 업무지원 시스템에 저장되는 제품 데이터를 기준 정보로 하며, 다익스트라(Dijkstra), 개미 집단 알고리즘(Ant Colony Algorithm, ACO)등 경로 탐색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공간정보는 공장(현장)의 레이아웃(Layout)과 제품이 적재/출하되는 렉(Rack) 등의 위치 정보가 포함되고, 업무지원 시스템에서 제품의 현재 위치, 공정 상태, 등록 시간, 제품 크기 등을 사용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상기 기준 정보를 경로 탐색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적재/출하, 공정 이동, 보관 장소 변경 등 제품의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에 경로를 최적화할 수 있는 기법을 제안한다. 제품 이동 작업은 대부분 노동력에 의존하는 작업으로 경로 최적화 기법을 제안함으로써, 인력 비용 감소와 향후 로봇 기반의 제품 이동 작업에도 적용하여 자동화된 작업효과를 가져다 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정통부, 정부부처 최초 통합사무자동화 시스템 개통 사무능력 개선

  • Korean Associaton of Information & Telecommunication
    • 정보화사회
    • /
    • s.93
    • /
    • pp.31-33
    • /
    • 1995
  • 정보통신부는 새 청사 이전을 계기로 추진해 온 통합사무자동화 시스템구축을 완료해 7월 12일 오전 10시 21층 대회의실에서 경상현장관을 비롯한 관계자 1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시연회를 갖고 본격 가동에 들어갔다. 이날 시연회에서는 $\blacktriangle$전자게시판을 이용한 "월간업무 실적 및 계획"과 "7월 당직명령"처리과정 $\blacktriangle$전자우편을 이용한 업무보고 $\blacktriangle$사무관이 기안한 문서를 과장.실장.차관을 걸쳐 장관이 전자결재로 결재하는 과정 $\blacktriangle$장관이 전자결재한 문서를 자동저장하고 검색하는 과정 등을 보여주었다. 한편 경장관은 본부직원 전원이 참석한 7월 월례조회 석상에서 "앞으로 이 시스템을 통하지 않으면 절대 결재받을 생각을 하지 말라"고 말해 행정정보화 정착에 강한 의지를 나타낸 바 있다.

  • PDF

The Development of An Improved Distribution Automation System Including Low Voltage Monitoring Function (저압 배전망 감시기능을 포함하는 개선된 배전자동화시스템 개발)

  • Shin, Chang-Hoo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8 no.5
    • /
    • pp.1034-1041
    • /
    • 2007
  • This paper presents the developing results of improved distribution automation system including system configuration and subsystem design, prototype hardware and software implementation, and pilot tests on the real distribution networks of Korea Electric Power Corporation (KEPCO). An integrated system is designed to combine independent system for the distribution field works with DAS; transformer monitoring, power quality monitoring, voltage monitoring, outage monitoring, etc. The communication network is hierarchically configured as main network and branch network and well-defined integrated terminal units were developed. In addition, useful host configuration and applications were developed to integrate the services with DAS or interfacing other systems. Pilot tests were performed to verify that the system enables to properly integrate the DAS and other services of the distribution network.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