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현장실무

검색결과 718건 처리시간 0.019초

ESCO 적격심사기준 개정으로 관공서 입찰경쟁 순항 기대

  • 에너지절약전문기업협회
    • ESCO지
    • /
    • 통권19호
    • /
    • pp.28-29
    • /
    • 2002
  • 공무원으로서 김종환 주무관이 가진 철칙은 맡은 분야의 전문가가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특히 ESCO관련업무는 현장경험이 중요한데 실제 사업이 추진되는 현장의 실무담당자들과의 만남을 통해 애로사항을 듣고 사업방향이나 각종 정보들을 공유한다면 보다 현장감있는 행정이 될 수 있다는 게 그의 생각이다.

  • PDF

NCS 학습모듈 만족도 분석을 통한 건설 교과 실무과목 수업 활성화 방안 (A Study on the Activation of Construction Practical Course through the Analysis of the Satisfaction Level in NCS Learning Module)

  • 이재훈;김선우;박완신;장영일;김태훈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63-83
    • /
    • 2020
  • 본 연구는 NCS 학습모듈을 효과적으로 실무과목 수업에 활용할 수 있도록 계획을 수립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며, 이를 위해 건설 교과 실무과목 수업에 활용되는 NCS(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학습모듈, 진로 및 현장실습, 실습환경 등에 대해 충청권(대전광역시 포함) 소재 공립 특성화고등학교 교사 및 학생의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문제로는 첫째, NCS 학습모듈을 활용한 실무과목 수업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만족도는 어떠한가, 둘째, NCS 학습모듈을 활용한 실무과목 수업 후 교사의 진로 및 현장실습 지도 측면, 학생의 진로결정 및 현장실습에 대한 만족도는 어느 정도인가, 셋째, 개발된 NCS 학습모듈 및 이를 활용한 실무과목 수업에 대한 만족도에 대해 NCS 관련 교사의 연수횟수(유무) 또는 학생의 현장실습 유무가 영향이 있는가로 설정하여 구명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사와 학생의 만족도를 비교한 결과, 학생은 전반적으로 모든 항목에서 만족하는 편을 보인 반면, 교사는 '내용수준', '흥미', '필요지식', '기술습득(기술수행수준)', '실무능력향상(기술수행수준)', '실험실습장규모', '실험실습장기자재' 항목 등에서 불만족하는 편을 보였다. 개발된 NCS 학습모듈 및 이를 활용한 실무과목 수업에 대한 만족도에 대해 NCS 관련 교사의 연수횟수(유무) 또는 학생의 현장실습 유무가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개발된 NCS 학습모듈이 실무과목 수업에 충분히 활용되기 위해서는 개념정리 및 직무기술 이해에 관한 중간 매개 역할을 해줄 수 있는 교사의 수업자료의 개발 및 구축이 요구되며, NCS 학습모듈의 개발인력 구성에서 교육훈련전문가의 수를 늘려 교육현장의 요구를 적극적으로 반영할 필요가 있다.

현장실습교육의 운영 (Student Field Study by University-Industry Partnership)

  • 허용정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01년도 추계산학기술 심포지엄 및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 /
    • pp.193-195
    • /
    • 2001
  • 첨단이론과 현장실무능력을 겸비한 새로운 실천적 공학기술교육의 중심대학으로 특성화된 한국기술교육대학교(이하 한기대)의 학생 현장실습교육에 관하여 기술하였다. 한기대 재학생이 재학기간 중에 일정기간 동안 산업체에서 현장 실습교육을 필수 교과목으로 이수하도록 하여 산업발전에 부응하는 실천 기술을 습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산업현장을 체험하게 함으로써 산업체가 요구하는 창조적 직무수행능력을 갖춘 우수한 실천 공학자를 양성하고자 한다. 이에 한기대에서 현재 실시하고 있는 학생 현장실습교육의 운영방안에 대하여 고찰하고 앞으로의 개선방안을 논의한다

해외건축동향: 미국 - 파라메트릭 디자인III (overseas - Parametric DesignIII)

  • 성우제
    • 건축사
    • /
    • 통권556호
    • /
    • pp.86-87
    • /
    • 2015
  • 지난 회에서는 parametric tool의 근간이 되는 기본 개념에 대해 간략하게 논의 하였고, 이를 통하여 삼차원 프로그램상의 형태 구현의 논리와 방법이 어떻게 발전해 왔는지에 대해 이야기 해 보았습니다. 전회에 말씀드렸듯이 이번회에서는 최근 실무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parametric tool에 대해 간략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이번 회를 마지막으로 parametric tool의 개략적인 소개는 마치도록 하고 현장감 있는 실무에서의 적용에 대해 이야기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 PDF

NCS기반 절삭가공 실무과목 수업에 대한 특성화고 기계계열 교사의 인식 (A Study on the Teacher's perception in Vocational High School for the Subject of NCS-based Metal Machining)

  • 박수한;김진수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42-62
    • /
    • 2020
  • 교육부에서는 산업현장의 실무와 직업교육 및 훈련, 자격 내용의 불일치 해소를 위해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을 활용하여 산업현장과 교육·훈련기관 등으로 빠르게 적용해 나가고 있으며, 2018년도부터 특성화고등학교의 직업교육에 NCS기반 교육과정을 전면 도입하도록 의무화하고 있다. 이 연구는 특성과고의 기계계열인 '기계' 및 '기계·금속'전공 교사를 대상으로 350명을 지역별로 유층 표집하여 절삭가공 실무과목 적용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계관련 학과에서 선반가공, 밀링가공, 컴퓨터활용생산, 측정과목의 적용률은 전체 응답자 중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둘째, 실무과목 및 능력단위 선정 시 고려사항에 대한 교사 인식은 산업체 요구능력이 가장 높다. 셋째, 실무과목 도입으로 인한 학교 교육에서의 긍정적인 변화에 대한 교사 인식은 학생의 실무 능력 향상과 산업체 요구 충족이 가장 높으며 넷째, 실무과목 도입으로 인한 학교 교육에서의 부정적인 변화에 대한 교사 인식은 실무과목 수업에 활용되는 학습모듈의 수준이 학생의 수준에 비해 너무 어렵다는 것과 학습모듈에 집필되어 있는 산업체 장비와 학교 장비가 차이가 있어 수업에 대한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 다섯째, 실무과목 수업 및 제반 여건에 대한 교사 만족도는 보통 이상이며 실무과목의 수준, 재구성된 실무과목 교재를 제본 또는 구매하는 것에 대한 만족도는 보통 이하이다. 따라서 기계관련 학과의 NCS기반 교육과정의 안정적인 정착을 위해서는 가장 대표성을 띠는 위 4개 실무과목의 활용 실태를 점검하고 지속적으로 개선하는 데 노력해야 한다.

대학 조경교육에 대한 현장 실무자 인식 조사 (Practitioners' Perception of Landscape Education in Universities)

  • 주신하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13-24
    • /
    • 2014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조경도입 40년을 즈음하여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사회의 요구에 조경교육이 적절히 대응할 수 있도록 대학 조경교육에 대한 현장 실무자의 인식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모두 257명의 실무자를 대상으로 조경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 교과목 유형별 중요도와 실무활용도, 조경업무 단계별 중요도와 실무활용도 등에 대한 설문조사가 진행되었다. 조사결과, 전반적인 대학 조경교육에 대한 실무자의 인식은 다소 부정적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대학 졸업 직후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현장중심의 교육을 보강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대학 교육에 대한 요구로도 현실적인 전문지식, 인접분야에 대한 이해 등의 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내용이 주를 이루고 있었으며, 신입사원 교육을 통해서 실무스킬이나 컴퓨터, 법제도 관련 사항을 보완하고 있었다. 대학 교육 개선을 위해서는 전임교수는 물론이고, 학생과 실무자들의 공동의 노력이 중요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과목별로는 식재설계, 조경설계, 조경재료, 조경계획, 조경시공 및 관리 등의 과목이 중요한 과목으로 조사되었으나 부분적으로는 분야별 특성이 나타났다. 업무단계별로는 중요도 측면에서는 계획, 설계, 시공관련 과목이 고르게 중요한 단계로 인식되었으나, 실무활용도 측면에서는 계획과 설계과목으로 한정되어 현대학 교육이 계획과 설계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학문연구를 기본으로 하는 대학입장에서 실무자 의견을 그대로 교육과정에 반영할 될 수는 없겠으나, 현실을 반영한 교육에 대한 요구와 계획, 설계 중심의 교육에서 탈피하여 균형감 있는 교육이 될 수 있도록 하는 노력은 필요하리라 생각한다. 본 연구에서는 설문응답자가 수도권에 집중되었으며 실무자 의견 조사에 한정되어, 대학 조경교육에 대한 종합적인 개선방안 제시를 위해서는 교육자나 피교육자의 의견이 포함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Curriculum for Strengthening SWP for Adult Learners

  • Cho, Woo-Ho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6권2호
    • /
    • pp.193-199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SWP강화를 위한 교과목 개선 및 적용을 통해 학습자 특성에 맞는 수업방법을 적용하고 현장실무 강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학습자 동기유발 적용 방안으로 현장의 실무자 초청 토론 진행, 사회복지현장의 유형별 사업 진행 모습 시청 등이 필요하다. 둘째, 학습자 참여 방안으로 우수 프로포절 분석, 복지현장에서 진행하는 행사 참여, 현장의 다양한 딜레마 사례들을 제시, 딜레마 극복 사례 공유를 통해 윤리적 딜레마 극복 노력, 사회복지 현장실습에서 요구되는 실천기술 목록화 노력이 필요하다. 셋째, 상호작용 적용 방안으로 전화, e-campus, 카카오톡, 줌(Zoom), 사례관리 과정에서 진행되는 상담기법들을 적용, 복지현장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이슈에 대한 토론 등 적용 방안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