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현장보존

Search Result 308,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Study on the Wetland Ecological Information System Using GIS (GIS를 이용한 습지생태정보관리시스템에 관한 연구)

  • Choi, Byoung-Gil;Lee, Cheol-Joon;Lee, Hyeong-Soo;Choi, Jae-Hoon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5a
    • /
    • pp.333-338
    • /
    • 2005
  • 본 연구의 목적은 GIS를 이용하여 습지생태정보관리시스템을 구축하는데 있다. 습지생태 관련정보에 대한 수정, 갱신, 분석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습지생태에 대한 보존관리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습지생태에 대한 GIS DB에는 각종주제도 및 현장조사 사진 등의 도면자료 및 영상자료에 대한 도형자료와 조사지, 조사자, 조사일 시 등의 각종 현장조사결과, 동식물의 한국명, 학명, 종코드 등이 포함한 속성자료가 있다. 습지생태정보관시스템은 갯벌, 습지 지역의 자연환경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보존하는 업무에 활용 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A Study on the Operation of a Collaborative Repository of the Regional Central Library: Focused on the Busan Metropolitan Library (지역대표도서관 공동보존서고 운영에 관한 연구 - 부산도서관을 중심으로 -)

  • Kang, Eun-Yeong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33 no.3
    • /
    • pp.55-76
    • /
    • 2022
  • The 3rd Library Development Plan raises the need to secure space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a regional repository library as the issue of holding books is highlighted as a common problem in public libraries. The Korean Library Law Act also impose the responsibility of integrated management of local library materials on the regional representative library. Accordingly, this study aimed at Busan Metropolitan Library, which is operating a collaborative repository in earnest among regional representative libraries, and investigated the operation status of the collaborative repository and the perception of public librarians about the collaborative repository. The data necessary for the study were obtained through surveys, interviews, field surveys, and internal data analysis. Through thi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that will help the Busan Metropolitan Library to operate the collaborative repository efficiently in the future, and at the same time, to present basic data that can be used as a reference for the operation of the collaborative repository of the representative libraries of other regions.

Ecological Assessment Technique of Connectivity to Disconnected Floodplains by Levee (격리차단된 제내지 하천환경의 생태적 연계성 평가 기술)

  • Cho, Kang-Hyun;Jin, Seung-Nam;Cho, Hyunsu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7-7
    • /
    • 2017
  • 범람파동 개념에 따르면 하도와 홍수터의 횡적 연결성은 하천 생태계의 생물다양성과 생산성 증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제방에 의하여 제내지 홍수터가 하도와 차단된 우리나라 하천에서 생태적 서비스를 증대하기 위해서 횡적 연결성을 복원하는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횡적 연결성의 복원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우선 하도와 홍수터 사이에 생태적 연결성의 현황을 파악하고 연결성을 저해하는 요인을 진단하는 평가 기술 개발이 시급히 요청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제방에 의하여 차단된 제내지 하천환경에서 수리적, 생태적 횡적 연결성을 평가하고 진단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연결성 회복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차단된 제내지 하천환경 평가는 1)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하여 차단된 하천공간을 탐색하고, 2) 탐색된 전체 재내지에서 원격평가에 의하여 간편하게 횡적 연결성 평가를 실시하고, 3) 선정된 특정 제내지 대상지에서 현장평가에 의하여 상세하게 연결성을 평가하는 순서로 수행된다. 차단된 하천공간의 획정은 홍수가 범람할 수 있는 제내지 공간을 잠재적 하천공간으로 정의하고 수치표고모델 (DEM)과 하천기본계획의 30년 빈도 홍수위 자료를 이용하여 제내지 홍수터를 탐색하였다. 제내지 홍수터의 원격 연결성평가는 지리정보시스템에서 수치지도와 토지피복도 등 공간자료를 이용하여 수리 및 서식처 환경성, 제방 차단성과 하도 및 육상 연결성을 평가하고 원격평가 결과를 토대로 현장평가 대상지를 선정하였다. 횡적 연결성의 현장평가를 위하여 크게 하도-홍수터 연결성과 제내지 서식처 보존성으로 평가 항목을 선정하였다. 또한 연결성 평가는 수리연결성과 생물연결성으로, 서식처 보존성 평가는 습지유지율, 습지보존성, 육역지보존성을 세부항목으로 구성하였다. 평가 항목별로 5 등급의 평가 기준에 따라서 평가 점수를 부여하고 평가 총점을 산출하여 최종 연결성 평가 등급을 5 단계로 구분하였다. 현장평가를 위한 MS Access 기반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여, 데이터 입력과 관리 및 평가 결과 산출과 비교를 편리하게 하였다. 개발된 제내지 하천환경 평가법을 청미천과 만경강에 적용하여 검증하였다. 개발된 평가법을 바탕으로 차단된 제내지 하천환경에서 연결성 회복에 따른 어류와 식생의 분포를 예측하는 수리생태 결합모델을 개발하였다. 먼저 차단된 제내지에서 연결 수로를 복원하여 유속, 수심 분포를 준이차 수리수문 모델로 예측하였다. 예측된 수리 환경에 따라서 지표어종의 서식처 적합도 지수 (HSI)를 이용하여 서식 분포 확률을 모의하였다. 또한 일반화가법모델 (GAM)을 이용하여 환경구배에 의한 우점식생의 분포를 예측하였다. 차단된 제내지 하천환경의 생태적 연계성 평가 기술을 기반으로 제방제거, 제방후퇴, 제방고 하강, 수문 및 연결수로 개선, 생물이동 저해 장벽 제거 등의 다양한 복원기술이 개발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Monitoring Technology on the Surface Condition after Conservation Treatment of Stone Cultural Heritage (석조문화재의 보존처리 후 표면상태 모니터링 기술 연구)

  • Park, Sung Mi;Chun, Yu Gun;Lee, Myeong Seong
    • 보존과학연구
    • /
    • s.34
    • /
    • pp.32-48
    • /
    • 2013
  • This study examined the applicability of deterioration monitoring techniques to establish efficient conservation and management system for stone cultural heritage which conservation treatment has been done. It was confirmed that deterioration mapping combined with photography and grid work, and adhesive tape test for the surface were very applicable to investigate the surface change due to deterioration, and assess the degree of granular disintegration quantitatively. The portable microscopic survey and ultrasonic measurement were efficient techniques to observe mineral looseness and microcrack, and to track the strength change of the stone before-and-after the conservation treatment. These techniques can be easily used by manage practitioners in the field through simple guidance and technical education. Also, it can contribute to build a long-term and methodical conservation and management system of the stone cultural heritage.

  • PDF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 닭 기르기 100문 100답

  • 한국계육협회
    • Monthly Korean Chicken
    • /
    • v.20 no.9
    • /
    • pp.92-93
    • /
    • 2014
  •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에서는 지난해 앙계현장에서 농가가 필요로 하는 기술 분야의 질의사항에 대한 분야별 전문가가 답변한 '축산현장 애로기술 해결을 위한 닭 기르기 100문 100답집'을 발간했다. 이 책자에는 육종 번식, 종자보존과 관리, 사양관리, 항생제 대체제 이용, 계사시설과 환경관리, 특수관리, 생산물의 품질관리, 위생과 질병, 경영관리 등 양계의 다양한 분야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이 담겨져 있다. 지난해에는 육계관련 육종 번식, 사양관리에 대해 알아보았고, 올해는 항생제 대체제 이용, 계사시설과 환경관리 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 PDF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 닭 기르기 100문 100답

  • Na, Jae-Cheon
    • Monthly Korean Chicken
    • /
    • v.20 no.5
    • /
    • pp.50-52
    • /
    • 2014
  •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에서는 지난해 양계현장에서 농가가 필요로 하는 기술 분야의 질의사항에 대한 분야별 전문가가 답변한 '축산현장 애로기술 해결을 위한 닭 기르기 100문 100답집'을 발간했다. 이 책자에는 육종 번식, 종자보존과 관리, 사양관리, 항생제 대체제 이용, 계사시설과 환경관리, 특수관리, 생산물의 품질관리, 위생과 질병, 경영관리 등 양계의 다양한 분야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이 담겨져 있다. 지난해에는 육계관련 육종 번식, 사양관리에 대해 알아보았고, 올해는 항생제 대체제 이용, 계사시설과 환경관리 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 PDF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 닭 기르기 100문 100답

  • 한국계육협회
    • Monthly Korean Chicken
    • /
    • v.20 no.10
    • /
    • pp.70-71
    • /
    • 2014
  •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에서는 지난해 양계현장에서 농가가 필요로 하는 기술 분야의 질의사항에 대한 분야별 전문가가 답변한 '축산현장 애로기술 해결을 위한 닭 기르기 100문 100답집'을 발간했다. 이 책자에는 육종 번식, 종자보존과 관리, 사양관리, 항생제 대체제 이용, 계사시설과 환경관리, 특수관리, 생산물의 품질관리, 위생과 질병, 경영관리 등 양계의 다양한 분야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이 담겨져 있다. 지난해에는 육계관련 육종 번식, 사양관리에 대해 알아보았고, 올해는 항생제 대체제 이용, 계사시설과 환경관리 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 PDF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 닭기르기 100문 100답

  • Gang, Hwan-Gu
    • Monthly Korean Chicken
    • /
    • v.20 no.3
    • /
    • pp.130-131
    • /
    • 2014
  •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에서는 지난해 양계현장에서 농가가 필요로 하는 기술 분야의 질의사항에 대한 분야별 전문가가 답변한 '축산현장 애로기술 해결을 위한 닭 기르기 100문 100답집'을 발간했다. 이 책자에는 육종 번식, 종자보존과 관리, 사양관리, 항생제 대체제 이용, 계사시설과 환경관리, 특수관리, 생산물의 품질관리, 위생과 질병, 경영관리 등 양계의 다양한 분야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이 담겨져 있다. 지난해에는 육계관련 육종 번식, 사양관리에 대해 알아보았고, 올해는 항생제 대체제 이용, 계사시설과 환경관리 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 PDF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 닭 기르기 100문 100답

  • 한국계육협회
    • Monthly Korean Chicken
    • /
    • v.20 no.4
    • /
    • pp.88-89
    • /
    • 2014
  •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에서는 지난해 양계현장에서 농가가 필요로 하는 기술 분야의 질의사항에 대한 분야별 전문가가 답변한 '축산현장 애로기술 해결을 위한 닭 기르기 100문 100답집'을 발간했다. 이 책자에는 육종 번식, 종자보존과 관리, 사양관리, 항생제 대체제 이용, 계사시설과 환경관리, 특수관리, 생산물의 품질관리, 위생과 질병, 경영관리 등 양계의 다양한 분야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이 담겨져 있다. 지난해에는 육계관련 육종 번식, 사양관리에 대해 알아보았고, 올해는 항생제 대체제 이용, 계사시설과 환경관리 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 PDF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 닭 기르기 100문 100답

  • Na, Jae-Cheon
    • Monthly Korean Chicken
    • /
    • v.20 no.6
    • /
    • pp.94-95
    • /
    • 2014
  •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에서는 지난해 양계현장에서 농가가 필요로 하는 기술 분야의 질의사항에 대한 분야별 전문가가 답변한 '축산현장 애로기술 해결을 위한 닭 기르기 100문 100답집'을 발간했다. 이 책자에는 육종 번식, 종자보존과 관리, 사양관리, 항생제 대체제 이용, 계사시설과 환경관리, 특수관리, 생산물의 품질관리, 위생과 질병, 경영관리 등 양계의 다양한 분야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이 담겨져 있다. 지난해에는 육계관련 육종 번식, 사양관리에 대해 알아보았고, 올해는 항생제 대체제 이용, 계사시설과 환경관리 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