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현열

검색결과 141건 처리시간 0.026초

황해 남동해역에서의 열수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Heat Budget in the South Eastern Area of the Yellow Sea)

  • 이현철;안희수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17-227
    • /
    • 1987
  • 황해동남해역 (33$^{\circ}$N-36$^{\circ}$N, 120$^{\circ}$E)의 해면 열수지를 기상자료와 해양자료 를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현열, 증발열, 장파복사열을 모두 년변화를 하고 겨울철에 는 제주해협을 따라 강한 온도 전선을 나타내지만 여름철에는 동쪽 연안해역을 향해 감소하는 경향을 가진다. 전해역은 교환열량의 년변화 및 분포의 특징에 따라 중앙해역, 연안해역, 남부해역으로 나뉘어진다. 남부해역의 총교환열량의 년변화 진 폭은 중앙해역, 연안해역에 비하여 매우 크다. 대체적으로 조사해역은 증발열과 현열에 의해 가열된다고 볼 수 있다.

  • PDF

고흥만 습지에서 증발산량의 산출 방법 (Estimation Method of Evapotranspiration over Goheung bay Wetland)

  • 권병혁;김동수;김근회;강동환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21-30
    • /
    • 2008
  • 증발산은 지표와 대기 사이에서 일어나는 에너지 상호작용에 기여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갈대로 덮인 고흥만 간척지에서 현열, 토양열 그리고 순복사를 측정하여 증발산량을 조사하였다. 자동기상관측 자료로부터 산출된 증발산량은 구름과 바람의 연직경도가 $1s^{-1}$보다 미약한 경우를 제외하고 열수지 방정식으로 추정한 값과 잘 일치하였다. 토양열은 순복사의 약 10%로 평가되었다. 갈대로 구성된 식생캐노피 내에서 온도에 따른 포화수증기압의 변화율($${\Delta}{\sim_=}de_s/dT$$)이 약 1.5로 근사되었고, 증발산량은 순복사 에너지의 함수로 설명될 수 있다.

  • PDF

Terra MODIS 위성영상과 METRIC 모형을 이용한 전국 증발산량 산정 (Estimation of evapotranspiration in South Korea using Terra MODIS images and METRIC model)

  • 김진욱;이용관;정지훈;김성준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9년도 학술발표회
    • /
    • pp.103-103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Terra MODIS 위성영상과 Mapping Evapotranspiration at high Resolution with Internalized Calibration (METRIC) 모형을 이용하여 2012년부터 2017년까지 한반도 전국의 증발산량을 산정하고 플럭스 타워 실측 증발산량과 비교하였다. METRIC은 전 세계에 널리 적용된 바 있는 에너지 수지 기반의 Surface Energy Balance Algorithm for Land (SEBAL) 모형의 개념과 기술을 기반으로 현열(Sensible Heat Flux) 추정 모듈을 개선한 모형이다. 본 연구에서 METRIC 모형은 기존 C#으로 개발되어 있던 SEBAL 코드에서 현열 추정 모듈을 수정하였고 연산 속도 개선을 위해 Python으로 재작성하였다. METRIC 모형의 위성 자료로 Terra MODIS 위성의 MOD13A2(16day, 1km) NDVI, MOD11A1(Daily, 1km) Land Surface Temperature (LST) 및 MCD43A3(Daily, 500m) Albedo를 구축하였으며 500m 공간해상도의 Albedo는 1000m 해상도로 resample하여 활용하였다. 기상자료는 기상청 기상관측소의 풍속, 풍속측정높이, 습도, 10분 간격 이슬점 온도, 일사량 자료를 위성 자료와 같은 공간해상도로 내삽(Interpolation)하여 구축하였다. 모형결과 검증을 위해 국내 플럭스 타워 (설마천, 청미천, 덕유산) 증발산량 관측 자료와의 결정계수(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2$), RMSE(Root mean square error) relative RMSE (RMSE%), Nash-Sutcliffe efficiency (NSE) 및 IOA(Index of Agreement)를 산정하고, 기존 SEBAL 모형 결과와의 비교를 통해 본 모형의 개선점을 보이고자 한다.

  • PDF

CLM과 VIC 모형을 활용한 지표 에너지 플럭스 산정 (Estimation of Land Surface Energy Fluxes using CLM and VIC model)

  • 김다은;;강석구;최민하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66-172
    • /
    • 2016
  • 전 지구 지표 순환 분석을 위하여 지표와 대기 사이의 에너지 교환에 대한 분석이 필수적이다. 이러한 에너지 교환의 정량화를 위하여 다양한 지면 모형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다양한 모형들 중 Common Land Model(CLM)과 Variable Infiltration Capacity(VIC) 모형을 활용한 연구가 활발히 수행되고 있다. CLM은 발전된 지면 모형의 형태로 적은 사용자 변수로 현실적인 결과를 산출한다는 장점이 있다. VIC 모형 또한 대표적인 지면 모형 중 하나로 에너지 인자 및 유출량 모의를 위하여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미국 캘리포니아 주 SS-CZO 사이트를 대상으로 CLM과 VIC 모형을 활용하여 주요 에너지 인자 인 순복사량, 현열, 잠열을 모의하였다. 순복사량과 현열 모두 두 모형에서 양호한 결과를 보이나, 강우 발생 시 CLM은 잠열과 현열을 과소모의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잠열은 CLM의 모의 결과가 잠열을 과소모의 한 VIC 모형에 비하여 관측된 잠열의 경향을 더 잘 모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에너지 인자 모의 및 모형의 장단점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CLM과 VIC 모형의 활용가능성 및 다양한 모형 활용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실리카겔 함침 세라믹 종이의 습기 흡.탈착 거동 (Adsorption and Desorption Characteristics of Humidity on Silica Gel Impregnated Ceramic Paper)

  • 김홍수;유윤종;안영수;한문희;주국택;이창모;박민규
    • 한국에너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에너지공학회 2002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55-160
    • /
    • 2002
  • 최근 들어서 오존층을 파괴하는 것으로 알려진 CFC와 같은 냉매를 사용하지 않고 허니컴식 제습rotor와 rotor식 현열교환기로 구성된 '흡착식제습냉난방시스템'이 개발되어 실용화 단계에 있다. 제습제를 이용한 냉방시스템은 에너지측면에서 효율적이고, 비용 면에서 경제적이며, 환경친화적이다.(중략)

  • PDF

석탄가스 정제온도가 IGCC 효율에 미치는 영향(I) (Effects of Gas Cleanup Temperature on the IGCC Efficiencies(I))

  • 이윤경;조상기;김종진
    • 한국에너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에너지공학회 1998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79-84
    • /
    • 1998
  • 고압 분류층 가스화기는 탄소전환율을 높이기 위해 고온, 즉 Ash Slagging 조건보다 높은 온도에서 운전된다. 따라서 분류층 가스화기에서 생산되어 배출되는 Raw Syngas는 고온의 현열을 보유하고 있다. 고온의 반응과정으로 인하여 타르나 기타 중탄화수소가 생성되지 않으므로 발생열을 회수하기가 용이하며 가스정제 및 불순물 제거과정도 단순해진다. (중략)

  • PDF

콘덴싱보일러의 개발현황 및 효과

  • 조흥원;박인석;양광열
    • 한국연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연소학회 2004년도 제28회 KOSCO SYMPOSIUM 논문집
    • /
    • pp.269-275
    • /
    • 2004
  • 콘덴싱보일러는 배기가스중의 수증기를 콘덴싱방식이라는 열교환 기술을 통해 2개의 열교환기에서 응축시키면서 생기는 응축잠열을 보일러에 더하여 줌으로써 기존보일러 대비 15 $^{\sim}$ 20% 이상 열효율이 높이는 첨단기술이 사용된 보일러로 콘덴싱보일러의 개발현황, 에너지 절감 효과 그리고 환경친화적 효과를 소개하고자 합니다.

  • PDF

도시화에 의한 지표면 상태 변화와 인공열이 바람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수치 시뮬레이션 (Numerical Simulation of Effect of Urban Land-use and Anthropogenic Heat on Wind Field)

  • 김유근;이화운;홍정혜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73-175
    • /
    • 2000
  • 도시기상의 원인으로는 지표면 상태의 변화, 인공구조물과 인공열 방출을 들 수 있으며 그 외 오염물질 또한 하나의 원인이다. 도시의 낮은 함수률의 지표면 증가는 증발산 영역을 감소시켜 결과적으로 잠열방출을 감소시키고 현열을 증가시킨다(Tapper, et. al., 1981). 또한 도시의 배수시설은 유입된 강수의 흐름을 시골보다 짧은 기간 머무르게 하여 도시에서 낮은 절대 습도를 가지게 한다. (중략)

  • PDF

복잡한 지형에서 대기 난류의 특성 (Turbulent Characteristics over the Complex Terrain)

  • 박문수;박순웅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94-196
    • /
    • 2000
  • 지표면과 대기 사이의 운동량, 현열 그리고 수증기의 교환은 기상학의 영역에서 뿐만아니라 수문학이나 농업의 영역에서도 매우 중요하다. 그리고 이러한 교환 과정을 보다 잘 이해하기 위해서는 대기 난류의 특성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대기 난류의 특성들에 대한지금까지의 많은 연구들은 주로 지표면이 평평하고 균질한 지형에서의 관측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이 결과들을 토대로 다양한 플럭스들이 매개변수화되어졌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