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현성

검색결과 56건 처리시간 0.028초

역동적 유방 자기공명 영상 및 확산 강조영상을 이용한 관상피내암종 저평가 수술전 예측 (Preoperative Prediction of Ductal Carcinoma in situ Underestimation of the Breast using Dynamic Contrast Enhanced and Diffusion-weighted Imaging)

  • 박미나;김은경;김민정;문희정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17권2호
    • /
    • pp.101-109
    • /
    • 2013
  • 목적: 초음파 유도 하 중심부 침생검으로 진단된 2 cm 이상의 관상피내암종 저평가 수술 전 예측에 역동적 유방 자기공명 영상 및 확산강조영상의 역할을 규명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14 gauge침을 이용한 초음파 유도 하 중심부 침생검을 통해 관상피내암종으로 진단된 2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는 조직병리 결과에 의거하여 관상피내암종 저평가 유무에 따라 두 군으로 나뉘었다. 모든 환자에서 역동적 유방 자기공명 영상 및 확산강조영상을 포함한 3 테슬라 유방 자기공명 영상을 획득하였다. 생검으로 확인된 악성 종괴에 대해, 병변의 형태 (종괴 혹은 비종괴), 조영 증강 형태, 조영 증강 최고점, 및 현성 확산 계수를 CADstream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획득 하였으며, Fisher's exact test및 Mann Whitney test 이용하여 이 항목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총 22명의 환자 중 8명의 환자가 저평가 군으로 분류되었다. 병변의 형태 및 조영증강 형태는 두 군의 통계학적 차이가 없었다 (P values = 1.000 및 0.613). 조영 증강 최고점의 중앙값은 저평가 군에서 159.5% 로 저평가 되지 않은 군의 133.5% 보다 높았으나 통계학적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 value = 0.413). 저평가 군의 현성 확산 계수는 $1.26{\times}10^{-3}mm^2/sec$로 저평가 되지 않은 군의 $1.35{\times}10^{-3}mm^2/sec$ 보다 낮았다 (P value = 0.094). 결론: 현성 확산 계수는 초음파 유도한 중심부 침생검에 의한 관상피내암종 저평가 수술 전 예측에 도움이 될 가능성 있으며 추후 전향적 연구를 통해 이 연구 결과를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저산소성-허혈성 뇌증의 확산강조영상 소견 (Diffusion-weighted MR Imaging of Hypoxic-Ischemic Encephalopathy)

  • 최혜영;최대섭;유재욱;조재민;고은숙;신태범;나재범;최낙천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12권1호
    • /
    • pp.49-54
    • /
    • 2008
  • 목적 : 저산소성-허혈성 뇌증(HIE)의 확산강조영상(DWI) 소견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심폐기능 정지에 의한 뇌손상으로 심폐소생술을 통하여 소생된 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뇌손상 후 MR검사까지의 시간 간격은 4일에서부터 32일까지 평균 11.8일 이었다. 전 예에서 T1 및 T2강조영상, FLAIR, DWI 및 현성확산계수영상을 얻었다. 병변의 분포, 각 영상에서의 신호 강도를 분석하였으며, T2 및 FLAIR영상과 비교한 DWI에서의 병변의 명확도를 분석하였다. 결과 : 전 예에서 T2, FLAIR 및 DWI에서 기저핵에 양측으로 대칭적인 고신호 강도의 병변을 볼 수 있었다. 현성확산계수영상에서는 이중 4예가 저신호 강도를, 2예는 동등신호 강도를 보였다. 병변의 명확도는 6예 중 4예에서 T2 및 FLAIR영상과 비교하여 DWI에서 뚜렷한 고신호 강도를 보였고, 2예에서는 비슷하였다. 대뇌 피질과 피질하 백질의 경우 6예 중 5예에서 T2, FLAIR 및 DWI에서 양측으로 대칭적인 고신호 강도를 보였고, 그 중 3예에서는 T2 및 FLAIR 영상과 비교하여 DWI에서 명확하게 보였다. 현성확산계수영상에서는 3예가 저신호 강도를, 나머지는 동등신호 강도를 보였다. 대뇌 심부백질의 경우 6예 중 4예에서 T2, FLAIR 및 DWI에서 양측으로 대칭적인 고신호 강도를 보였고, 그 중 1예에서만 T2 및 FLAIR 영상과 비교하여 DWI에서 명확하게 보였다. 결론 : HIE의 DWI 소견은 기저핵 및 대뇌 피질과 백질의 대칭적인 고신호 강도가 특징이며, T2 및 FLAIR영상보다 명확하였다.

  • PDF

유방 자기공명영상검사에서 감소된 영상영역의 에코평면영상기법과 사전포화기법 사용에 의한 인공물 개선 (Artifacts Improvement by using the Echo Planar Imaging and Pre-Saturation Pulse Band techniques of Reduced Field-Of-View in Breast Magnetic Resonance Imaging Examination)

  • 이재흔;김현진;임인철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9권5호
    • /
    • pp.307-314
    • /
    • 2015
  • 유방 자기공명영상검사 시 확산강조영상에서 발생하는 심장과 폐에 의한 불수의적 움직임 인공물과 감소된 영상영역 에코평면영상기법으로 발생하는 둘러겹침 인공물을 추가적인 사전포화기법을 사용하여 이를 저감화시키고자 하였다. 2014년 08월 1일부터 11월 30일까지 여성 환자 38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사용 장비로는 유방 검사에 최적화된 3.0T와 유방 전용 코일을 사용하였다. 영상의 평가와 분석은 정량적, 정성적 분석을 하였으며 통계적 유의성은 Paired T-test와 Wilcoxon rank test를 하였다. 결과적으로 추가적인 사전포화펄스의 사용으로 정량적인 평가에서는 병변에서 15.69%, 병변 근접 부위에서 13.72%, 지방에서 20.63%의 증가를 보였으며, 대조도 대 잡음비의 경우는 병변과 병변 근접 부위에서 10.58%, 병변과 지방 부위에서 12.03%의 증가로 나타났다. 정성적인 평가에서는 확산경사계수 0에서 22.05%, 1000에서 21.42%, 현성확산계수에서 16.10%의 증가로 나타났으며, 통계적 평가에서는 신호 대 잡음비와 대조도 잡음비, 확산경사계수와 현성확산계수에서 모두 유의한 결과로 나타났다(p<0.05). 따라서 사전포화펄스의 추가적인 사용으로 유방 자기공명영상 검사에서 확산강조영상 획득 시 위상 부호화 방향으로 발생하는 불수의적 움직임 인공물과 둘러겹침 인공물이 감소가 되어 최적의 영상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여성골반에 대한 최적의 b-value(s/mm2)를 이용한 확산강조 자기공명영상의 정량적, 성적 평가 (Quantitative, qualitative Evaluation of Diffusion-Weighted MRI using Optimal b-value(s/mm2) for Female Pelvis)

  • 구은회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호
    • /
    • pp.361-368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악성 및 양성 여성골반 병변에서 자기공명 확산강조영상의 정량적, 정성적평가을 통하여 최적의 확산경사계수(b-values) 값을 구하고, 임상적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확산강조영상의 b-value($s/mm^2$)값을 600, 800, 1000, 1200, 1400까지 변화시키면서 얻었다. 정량적 분석결과 b-values 값 중 800에서 자궁근종의 평균 신호대 잡음비 $84.6{\pm}4.57$(p=0.024) 와 대조도대 잡음비 $50.13{\pm}5.47$(p=0.028)로 가장 높았고, 자궁경부암의 평균 신호대 잡음비 $12.0{\pm}2.04$(p=0.047)와 대조도대 잡음비 $10.6{\pm}1.24$(p=0.001)로 가장 높았으며, 이때 현성확산계수는 자궁근종 $1.19{\times}10^{-3}$(p=0.008), 자궁경부암 $0.96{\times}10^{-3}$(p=0.027) 이었다. 정성적 분석결과로서 병변의 묘출도와 명확성은 $4.02{\pm}0.18$(p=0.028), $4.39{\pm}0.25$(p=0.015)로 800에서 가장 높았다. 결론적으로 확산강조 자기공명영상은 여성골반 병변 검출에 있어서 중요한 방법이고, 최적의 b-value($s/mm^2$)값은 $800s/mm^2$ 이었으며, 정량적, 정성적 평가는 여성골반의 악성 및 양성 감별진단에 도움을 주었다.

현성 및 불현성 갑상선 기능 저하증에 관한 국내 한의학 임상 연구 고찰 (A Review of Domestic Clinical Studies about Clinical and Subclinical Hypothyroidism Treated with Korean Medical Interventions)

  • 임보라;김창규;박진서;전경륭;조준호;권도익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645-661
    • /
    • 2018
  • Objectives: The aim of this paper was to aid Korean clinical practices for determining clinical and subclinical hypothyroidism and to identify further relevant studies by summarizing the present domestic clinical studies. Methods: The research consisted of a review of articles up to July, 2018 found by searching 'Hypothyroidism' and 'Hashimoto's thyroiditis' as keywords in five domestic electronic databases. Results: Only nine studies satisfied the selection criteria and were analyzed. These included six case reports, two controlled clinical trials, and one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these, Anjeonleejoong-tang was the most frequent herbal medicine used to treat hypothyroidism. Conclusions: Systematic and large-scale research studies are needed to standardize the guidelines for traditional Korean treatment of hypothyroidism.

경련 중첩증 환자의 확산 강조 영상 소견: 2 증례 보고 (Diffusion-Weighted Imaging Findings in Patients with Status Epilepticus: Report of Two Cases)

  • Sung Il Jung;Bae Ju Kweon;Keon Ha Kim;Moon Hee Han;Kee-Hyun Chang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7권1호
    • /
    • pp.56-60
    • /
    • 2003
  • 저자들은 2명의 경련 중첩증 환자들의 확산강조 자기공명영상을 보고하고자 한다. 확산강조 영상은 대뇌 반구에서 세포독성 부종을 시사하는 현성확산계수의 감소가 동반된 국소적 또는 미만성 고신호강도를 보였다. 이러한 고신호강도는 한 환자에서는 양측 측두두정후두엽과 도피질, 다른환자에서는 편측성 측두엽에서 나타났다.

  • PDF

소아, 청소년의 나안시력과 굴절이상의 상관성 분석 (Relationship between Uncorrected Visual Acuity and Refraction of the Children and Teenagers)

  • 김상문;심현석;심준범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73-178
    • /
    • 2013
  • 목적: 본 연구에서는 최초 안경착용자의 나안시력을 이용하여 그에 따른 굴절이상량을 예측하고자 하였다. 방법: 안과병원을 내원한 886명을 대상으로 자각굴절검사는 현성굴절검사(M.R)와 조절마비굴절검사(C.R)를 같이 실시하였으며, 타각적굴절검사는 자동굴절계를 이용하였다. 나안시력 검사와 교정시력은 시험렌즈와 한천석시력표를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결과: 나안시력과 굴절이상의 상관성은 근시안이 r=0.77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원시안 r=0.670, 단성직난시 r=0.623, 단성난시 r=0.604, 단성도난시 r=0.508 순서로 나타났다. 결론: 굴절이상과 난시 종류에 따라 나안시력과 굴절이상의 예측에 차이가 있었다.

인적자본과 기술진보불균등성에 관한 실증분석 (The Empirical Study on the Human Capital and Technology Progress Inequality)

  • 조상섭;양영석;조병선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457-470
    • /
    • 2009
  • 본 연구는 세계 84개 국가를 대상으로 인적자본형성수준과 기술진보에 대한 인과관계를 추적였다. 실증분석결과는 크게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1980에 비하여 2000년도에 소득분배불균등성은 상대적으로 증가되었다. 둘째, 역시 84개 국가를 대상으로 한 기술진보수준에 대한 불평등성도 증가하였으나, 인적자본형성수준에 대한 불평등도는 감소하였다. 마지막으로 인적자본현성수준에 따른 세계국가의 기술진보불균등도에 대한 이동성측면을 보면, 1980년도에서 1990년도에는 인적자본형성이 높은 집단일수록 기술진보수준불균등정도는 개선되고 있었으며, 1990년에서 2000년도까지의 실증분석결과는 동일한 결과를 나타냈다. 그러나 전 동기(1980-1990)보다는 후반기(1990-2000)에 개선정도는 낮았다. 이러한 실증분석결과로 볼 때, 인적자본형성을 통하여 기술진보를 이룩한다는 기존 연구결과는 전반적으로 뒷받침되고 있으나, 그 개선정도가 낮아지고 있기 때문에, 지속적 경제발전 및 기술진보를 위하여 인적자본이 기술진보에 미치는 전달메커니즘의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는 정책방향전환이 요구된다.

  • PDF

금속광체상에 나타나는 식물에 관한 생리생태학적 연구 -2. 석회암지대의 백화현상- (Physiological and Ecological Studies of the Vegetation on Ore Deposits -2. Incidence of Lime-chlorosis in the Vegetation of Korea-)

  • Chang, Nam Kee;Chang Soo Mok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4권1_2호
    • /
    • pp.25-32
    • /
    • 1981
  • 본 연구는 1975~77년에 이르기까지 한국의 석회암지대의 식피에서 나타나는 식물의 백화현성을 조사하였으며 석회질토양과 식물과의 관계를 연구하였다. 원주 I, II지역, 영월 I, II지역, 제천, 단양 및 삼척의 석회질 토양에서 발하고 있는 식피에서 60종의 식물이 백화현상을 나타내었으나 가지나 잎에서 부분적으로 일어나는것이 보통이였다. 농작물인 고추도 백화현상이 심하게 일어나고 있었다. 그러나 김의털을 비롯한 수종의 식물은 전조사지역에 걸쳐 전혀 백화현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석회질토양, 백화엽 및 정상엽에 함유되어 있는 중요무기양분의 분석결과를 비교연구한 결과, 석회질토양액의 알카리성 때문에 P와 Fe의 부용으로 야기되는 염석회식물들의 결핍증상으로 이들 석회암지대에서 나타나는 식물의 백화현상을 생각할 수 있다.

  • PDF

다양한 환경 하에서 신장 질환 진단을 위한 색차 기반 찰색 방법의 제안 (Ocular Inspection Using Color Analysis in CIE Lab for Kidney Disease in Various Situations)

  • 이세환;조동욱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5권4B호
    • /
    • pp.630-636
    • /
    • 2010
  • 얼굴에서 병색을 찾는 한의학의 망진 분야는 아직도 임상의의 주관적인 판단에 의해 진단이 행해지고 있다. 이 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찰색 분야에 대한 정량화, 객관화 작업을 행하고자 한다. 특히 그 간 찰색에 대한 연구 중 가장 큰 문제로 지적 되어온 다양한 환경에서의 색채현성 확보의 어려움 그리고 질환과 찰색간의 유의성 입증을 위한 질환자와 정상인간의 색 분석의 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즉, 객관성 있는 색 재현 및 색 분석 결과를 얻기 위해 기존의 색 분석 방식이 아닌 새로운 색 분석 방식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CIE Lab색 체계를 적용하여 색 분석을 행하고 안면의 각 부위와의 색차를 구하여 이를 정상인과 질환자군의 비교 분석을 실시하여 기존 방법들의 단점을 극복하고자 한다. 연구는 실험 대상자를 정상인과 신장 질환자로 구분하여 자료를 수집하여 분류 하였으며 특히 신장질환을 중심으로 실험을 수행하였다. 끝으로 실험 결과의 분석 및 비교를 통하여 자료 수집 환경에 관계없이 얼굴 각 부위에 대해 색차를 통한 질환 진단의 유효성을 입증 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