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현상학적

Search Result 3,593, Processing Time 0.03 seconds

Investigation on the Photooxidation of Pigment in Leaf-Burning Disease of Panax ginseng 1. Phenomenological observation and analysis on the chlorophyll bleaching phenomenon (인삼 엽소병에서 색소의 광산화작용에 관한 연구 1. Chlorophyll bleaching의 현상학적 연구)

  • Yang, Deok-Jo;Yu, Hui-Su;Yun, Jae-Jun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v.11 no.2
    • /
    • pp.91-100
    • /
    • 1987
  • This study was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side of phenomenological of the chlorophyll bleaching phenomenon on the leaf burning-disease of the Ginseng (Panax ginseng C.A. Meyer) leaf. Red light (660-700 nm) was confirmed as one which induced the bleaching phenomenon and blue light (400-500 nm) did not at all. Temperature as 1 environmental factor had not any influence on chlorophyll bleaching phenomenon at all. Therefore, simple burning (thermal damage) hypothesis was perfectly ruled out by the result of this study. And, low pH accelerated chlorophyll bleaching velocity. A primary factor of chlorophyll bleaching phenomenon may be peculiar structural difference of the Ginseng leaf compared with other plant.

  • PDF

연삭가공에 있어서 과도적 절삭현상

  • Song, Ji-Bo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 /
    • v.1 no.2
    • /
    • pp.10-14
    • /
    • 1984
  • 연삭가공은 숫돌을 구성하는 하나 하나의 입자가 공작물을 절삭하는 과정이므로 연삭현상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개개 절돈의 절삭현상을 알지 않으면 안된다. 연삭입자의 절삭현상을 해명함에 있어서 기초가 되는 것은 입자와 공작물과의 간섭형상이다. 종래의 연삭 이론은 이와같은 기하학적 간섭형상이 모두 chip이 되어 제거된다(연소입자와 공작물과의 간섭 과정에서는 절삭현상만이 존재한다.)는 가정하에 연삭기구를 해석하려 하였으나 최근에 이르러 상호간섭 조건을 경계조건으로 하여 많은 사람들에 의해 연소입자의 절삭현상을 연구한 결과 연삭입자의 절삭과정은 과도적 절삭임이 밝혀졌다. 이와같은 연삭현상은 새로운 연삭이론에 기초가 될 뿐만아니라 Chip 과 표면생성기구의 관점에서도 극히 중요한 것이 된다.

  • PDF

A Study of the Hemodynamic Hypotheses for the Progression of Atherosclerosis

  • Lee, Byeong-Gwon;No, Hyeong-Un;Seo, Sang-Ho;Gwon, Hyeok-Mun
    • 순환기질환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4.11a
    • /
    • pp.11-12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동맥경화증의 발생에 관한 가설들을 혈류역학적 관점에서 비교/검토하였다. 혈류의 와류 현상, 분리현상 등도 역시 저전단응력 위치에서 발생하게 되며 동맥경화의 발생이 되기 시작하며 동맥내 형태학적 변화로 인해 이러한 현상이 좀더 복잡한 유동을 거치게 된다. 이로 인해 동맥내의 형태적 재형성이 일어나게 되는데 유동의 변화가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생물학적으로 동맥경화는 질병의 성격이 만성 염증성 질환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러한 생물학적 변성이 발생하는데 형태적 특성에 따른 혈류역학적 변화가 그 기전에 중요한 것임을 확인되었다. 본 연구자 등은 동맥경화가 발생하기 시작하는 곳은 혈관의 만곡부, 분지부 등에서 발생하는 것을 임상적 database를 통해 확인하였고 이 위치에서 영상을 simulation model을 동생 분석하여 전단응력의 영향과 시간에 따른 역동적 변화가 큰 것을 확인하였다.

  • PDF

A Study of The Rheological Characteristics of PIM Feedstocks at Low Shear Rate (낮은 전단율에서 분말사출재의 유변학적 특성에 관한연구)

  • 이병옥
    • The Korean Journal of Rheology
    • /
    • v.9 no.3
    • /
    • pp.124-131
    • /
    • 1997
  • 스테인레스 강(SUS 316L) 분말과 왁스계 결합제를 혼합하여 제조한 분말사출재의 유변학적 특성을 낮은 전단율에서 측정하기 위해 동심원반식 점성측정기를 이용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측정기 벽면에서 발생하는 벽면 슬립(Slip)을 확인하고 벽면 슬립을 보정하기 위하여 두가지의 원반 간격에서 측정된 실험 자료를 이용하여 벽면 슬립을 보정하는 방법을 채택하였다. 실험 중, 측정 전단율범위를 제한하는 Thixotropy 현상을 발견학고 이에대한 원인분석을 위한 실험을 진행한 결과 과도한 전단응력에 의해서 분말사출재로부터 분리되어 나온 슬립층이 내부로 빠르게 흡수되어 들어가지 못하고 잔류하면서 Thixotropy 현상을 발 생시키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Thixotropy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범위를 조사한후, 제한된 범위내에서 분말사출재의 유변학적 특성을 측정하였다. 측정된 자료는 항복응력을 지니는 유체의 특성을 표현하는 Bingham 식의 변형식에 잘 근사 되었으며, 슬립속도를 실험결과로 부터 계산한 결과 전단응력에 따라 선형적인 관계를 가지고 있는 점과 항복응력의 존재를 정성적으로 보여주는 결과를 얻었다.

  • PDF

소성가공에 관한 몇 가지 현상 해설

  • Choe, Jae-Cha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 /
    • v.2 no.3
    • /
    • pp.5-12
    • /
    • 1985
  • 압력유도연성(Pressure-lnduced Ductility) : 금속성형공정에서의 가장 중요한 인자는 가공물의 연성이다. 금속학적인 측면에서의 연성이란 실온에서 측정되는 것이며 가장 일반적인 연성연성측정방법은 인장시험이다. 금속재료의 연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보통의 방법은 가열이며 대부분의 경우 가열된 재료는 보다 연하게 되므로, 보통가열은 변형한도를 증가시키고 성형력을 줄이기 위해 사용되어 왔다. 그 런데 Bridgman은 금속의 연성이란 금속학적 성질 뿐 아니라 주변압력이라는 기계적 방법에 의해서도 조정될 수 있다는 것을 지적하였다. 그는 응력-연신률 선도에서 얻어진 금속의 연성은 정수압을 가함으로써 증가될 수 있다는 것을 보였다. 중간응력, 평균응력, 정수압 응력, 정수압 압력, 주변압력 등의 용어가 같은 의미로 사용되어진다. 재료의 금속학적성질 뿐 아니라 공정의 압력도 변수로 작용하여 성형성을 개선시키게 되는데 이런 현상을 압력유도연성(PID)은 주변압력이 재료내부에서의 공동발생 및 그 성장을 억제하기 때문에 얻어진다. 공동 의 합체 및 성장은 연성파괴의 전제조건이 되므로 이러한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면 성형성 및 연성이 증가된다. 공동의 형성 및 예방 과 인장봉의 강도와 변형에 미치는 압력효과의 수학적 해석은 참고문헌 2에 나타나 있다. 이 압력유도연성은 Bobrowsky, Pugh와 Green, Alexander등에 의해 확인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