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현대 일본

검색결과 280건 처리시간 0.023초

마렉병 진단에 있어서의 형광항체법의 응용

  • 대한양계협회
    • 월간양계
    • /
    • 제5권8호통권46호
    • /
    • pp.100-101
    • /
    • 1973
  • 다음은 지난 6월 15일 대한 양계협회와 현대양계사가 공동주체한 일본 오사까(대판) 대학의 나이또 박사의 학술 강연회의 내용을 강원대학의 김우호 박사가 초역한 것이다.

  • PDF

윌리엄즈의 '감정구조' 개념과 계급에 대한 제(諸) 개념들의 검토: 현대 일본의 '계급지향적' 노동운동을 위한 이론적 틀 고찰 (Williams' "Structure of Feeling" and Theories on the Working Class: Examination of a Theoretical Framework for a "Class-Oriented" Labor Movement in Contemporary Japan)

  • 정유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8호
    • /
    • pp.130-143
    • /
    • 2017
  • 본 연구는 'B'지역노조라는 현대 일본의 '계급지향적' 노동운동을 검토하기 위해, 우선 그 이론적 틀을 모색하는 작업이다. 현재 일본에서 '계급지향적'인 노동운동은 주변에서 '잔여적인' 노동운동으로 설정되지만, 그럼에도 그 활동은 활발히 계속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 그 '계급지향적' 노동운동을 분석하기 위한 이론적 틀을 살펴보았다. 먼저 윌리엄즈에 의한 개념의 변화를 검토하고, 마르크스주의의 계급 계급의식 개념과 '언어적 전회'의 새로운 주체 개념 등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는 'B'지역노조의 사례에 맞게 '감정구조' 개념을 재해석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본 연구에서는 'B'지역노조의 '집단적 노동자'와 '개인화된 노동자', '노동자'와 '비노동자'가 물질적 공간 혹은 비물질적 공간에서 집단화를 이룬다고 보았고, 그 '감정구조'는 '''계급지향성''을 둘러싼 모순과 절충'이라고 정리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그에 대한 '감정구조'의 모형을 제시했다.

소비재 조형에 대한 한.일 이미지 비교-안경, 소형카메라, 전기면도기의 사례를 중심으로- (A Comparative of the Image on the Consumer Goods by Korean and Japanese-On the example of Glasses, Small Camera, Shaver-)

  • 윤형건
    • 디자인학연구
    • /
    • 제21권
    • /
    • pp.195-204
    • /
    • 1997
  • 현대 소비재의 조형 이미지를 한국과 일본의 양국 젊은 세대를 놓고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로 한국 젊은 남성과 여성들은 $\ulcorner$정치(精緻)-단순(單純)$\lrcorner$$\ulcorner$실질(實質)-비실질(非實質)$\lrcorner$$\ulcorner$경(輕)-중(重)$\lrcorner$$\ulcorner$화려-수수$\lrcorner$$\ulcorner$우미(優美)-투박$\lrcorner$의 3인자의 이미지로 설명할 수 있다. 현대 소비재에 대하여 한국의 남녀는 동일한 이미지 구조를 갖고 있으며 그에 반해 일본의 남.녀는 이미지 구조에 차이가 있다. 이것은 성별에 따라 중시하는 조형요소가 다르기 때문이라고 본다. 한국의 젊은 남녀는 현대 소비재에 있어 소비재 표면에 처리되어 있는 문양, 장식, 색상의 조형요소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일본의 젊은 여성들도 소비재의 조형의 이미지를 파악할 때 한국의 젊은 남녀와 동일하게 소비재 표면에 처리되어 있는 요소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한편 일본 젊은 남성들은 소비재 표면의 요소보다는 소비재의 가치에 의미를 두고 조형이미지를 파악하고 있다.

  • PDF

안전시공 사이클 운동

  • 박무일
    • 건설안전기술
    • /
    • 통권22호
    • /
    • pp.68-76
    • /
    • 1996
  • 대부분의 건설현장에서 채택하고 있는 안전시공 사이클(안전시공일과)활용에 대하여 보다 더 나은 효과를 얻기 위하여 그 정확한 내용을 소개하고자 한다. 이 기법은 일본에서 80년대부터 적용을 시작하여 지금 현재 일본의 전 현장에서 활용되고 있고 이로인한 재해예방 효과도 큰 기법이다. 현대 일본에서의 건설업재해예방을 위한 운동은 크게 3가지로 볼 수 있는데 첫째는 안전시공 사이클운동이고, 둘째는 3대재해(추락, 토사붕괴 및 건설기계 재해)감소운동, 셋째는 안전교육 추진운동이다. 안전시공 사이클 운동은 이 3기둥 중 하나인 것이다.

  • PDF

미국 건축 및 조경디자인에 나타난 일본양식에 관한 고찰 (An Examination of Japanese Modes Expressed in American Spatial Design)

  • 김신원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89-214
    • /
    • 1995
  • 본 연구는 미국의 건축 및 조경공간 형성에 미친 일본문화를 파악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일본문화 및 공간디자인의 특성과 미국건축 및 조경에 나타난 그 면모에 관한 것이다. 1853년 미국과 일본의 문화교류를 시작으로 일본의 예술과 건축이 미국에 소개되었고, 특히 1893년 Chicago에서 열렸던 Wor1ds Columbian Exposition에서 선보인 일본의 건축물은 당시 미국의 건축가들에게 영향을 주었다. 그후 일본의 공간디인은 건축뿐만 아니라 조경분야에도 영향을 미쳐 현재 미국의 공간디자인을 구성하고 있는 특성 가운데 하나로 자리잡고 있다. 필자는 미국의 공간디자인에 영향을 준 일본문화의 실재를 파악하기 위하여 한국과 중국의 문화와 구별되는 일본만의 독특한 문화적 특성을 고찰해보고, 미국 현대건축의 선구자인 Frank Lloyd Wright, Greece and Greene, Philip Johnson, Richard J. Neutra의 작품 및 조경디자이너인 Ethelbert E. Furlong, James C. Rose의 작품속에 나타난 일본식 공간디자인의 면모를 살펴보았다. 장래 이 분야의 연구에서는 미국문화의 특성이 고찰되어 미국과 일본의 두 문화가 비교 파악되기 위한 개념적 근거가 마련되고, 일본식 공간디자인이 미국에서 어떻게 이해되고 해석되어졌으며 미국식 공간 디자인으로 전환되었는지 살펴보며, 어떤 이유에서 일본의 공간디자인 양식이 미국의 건축 및 조경분야에서 문화적으로 일본보다 오랜 역사를 지닌 한국과 중국의 공간디자인 양식보다 커다란 영향을 주고 있는지에 관해 이해를 구하는 방향으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함을 제안한다.

  • PDF

현대건축에 나타난 일상성의 특징에 관한 연구 - 일본 현대건축의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Everydayness in Contemporary Architecture - Focused on the Contemporary Japanese Architectural Works -)

  • 김정숙;최왕돈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2권2호
    • /
    • pp.39-47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for values and meanings of everydayness as a design concept by organizing concepts of 'everydayness' shown in contemporary architecture and systematically describing its characteristics through various analysis methods. 'Eerydayness' shown in contemporary architecture is defined and the criteria of case study are suggested, so that characteristics of everyday can be identified by systematically classifying and analyzing the Japanese cases in order to find the values and meanings of everydaynes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aterials that show users' everydayness has indefinite potential as an element of architecture concept, and they play the role of communication and sympathy between architecture and users; second, implementation of everydayness leads to design emergence; third, everydayness can be widely applied to architecture; fourth, everydayness can be implemented regardless of architecture uses. In conclusion, the value of everydayness in contemporary architecture is that it draws user-based diverse and fresh architectural expressions that lead to opulent designs. To users, everydayness improves satisfaction of life gained from architecture and provides rich life environment because it changed common human life to a form of art.

TV드라마 현대물에서 무협 원형(原型)의 적용: 일본 TV드라마 <홀리랜드>의 사례를 중심으로 (The Application of the Moo-hyup Prototype to TV Drama in Modern Form: The Case of Japanese TV Drama 'Holyland')

  • 임정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1호
    • /
    • pp.574-583
    • /
    • 2016
  • 이 글은 소설과 만화에서 형성된 무협 원형이 무협장르 영화, TV사극 시리즈, 게임 등을 넘어 TV드라마 현대물에 적용된 방식을 일본 TV드라마 <홀리랜드>를 통해서 논하였다. 이 연구는 <홀리랜드>를 단순히 학원 드라마, 청소년 성장 드라마 등으로만 보지 않고, 스토리의 기본구성이 공간과 폭력의 판타지성, 무협의 정신을 가진 등장인물의 관계, 무협의 서사구조 등 무협 원형을 따르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 글은 궁극적으로 무협 원형이 시대물뿐만이 아니라, TV드라마 현대물의 스토리에서도 생명력을 얻을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목조혼합구조 건축의 공간분석에 관한연구 -일본의 현대목조건축을 중심으로- (Study on Spacial Analysis of Mixed Wooden Construction -In Reference to Contemporary Architecture in Japan-)

  • 이승훈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7호
    • /
    • pp.223-233
    • /
    • 1998
  • We intend to illustrate how contemporary architects have conceptualized spaces with words. Language practice is so much important work for the contemporary architects as designing realistic building (material practice) As this point of view we need to interest in theses of architects which contains their unique ideas an charact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or understanding how contemporary japanese architects embody through special conception when day design the mixed wooden construction and for looking for the possibility of the development of it. As a result the mixed wooden construction candy understood as an expression form how an architects things about relationship between parts and parts, parts and the whole and the character of materials that consist it and such relationship is determined by the requirement of spac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