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현대주택

검색결과 151건 처리시간 0.028초

수도권 지하철 네트워크 확장이 아파트 월세 가격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수정반복매매모형을 중심으로 - (The Dynamic Effects of Subway Network Expansion on Housing Rental Prices Using a Modified Repeat Sales Model)

  • 김효정;이창무;이지수;김민영;류태현;신혜영;김지연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51권2호
    • /
    • pp.125-139
    • /
    • 2021
  • 수도권 지하철 노선확장 사업을 통해 수도권 거주민의 대중교퉁 접근성은 지속적으로 향상되고 있다. 이러한 대중교통 접근성은 주거지 선택 시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로 지하철 노선확장에 따른 접근성 향상이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추정하는 것은 주택정책에 있어 중요하다. 이 연구는 노선신설에 따라 최근접 지하철역의 변화없이 발생하는 다른 지하철역까지의 통행시간 단축을 네트워크 확장효과로 정의하고, 이것이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12년부터 2018년까지 서울시 아파트 전월세확정신고자료를 이용하여 월세로 전환 후, 수정반복매매모형을 통해 시계열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기준이 되는 기간(2012~2014년)에 비해 비교기간 (2017~2018년)에 네트워크 확장효과가 서울시 아파트 월세가격에 미치는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더 증가했으며, 이는 지하철 네트워크 확장효과가 주택의 임대료 형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시사한다. 또한, 분석과정에서 네트워크 확장효과의 상하위 아파트 그룹을 비교한 결과, 네트워크 확장 효과 하위그룹보다 상위그룹에서 영향력의 상승폭이 상대적으로 컸으며, 이를통해 네트워크 확장 효과의 정도에 따라 주택의 가치에 자본화되는 수준도 다르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현대 혼례가구 디자인의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Wedding furniture design in modern period)

  • 김정근
    • 디자인학연구
    • /
    • 제13권1호
    • /
    • pp.149-156
    • /
    • 2000
  • 본 연구의 목적은 혼례가구 디자인에 영향을 미친 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현대 혼례가구 디자인의 특징을 고찰한 결과 혼례가구는 여성을 위한 안방가구이며 세트로 된 장롱과 화장대로 이루어졌고 점차 주거용 가구 전반으로 그 종류가 확대되었음을 알 수 있다. 혼례가구 디자인은 현대 전반기 핵가족으로의 변화와 혼례 및 혼수 규범이 디자인에 미치는 영향이 컸으나 후반기에는 산업화에 의한 경제발전과 상업주의에 의해 양식이 정립되었다. 특히 주택과 생활양식의 변화는 혼례가구 디자인의 기능성 향상을 기하고 유행을 이끌게 됨으로써 미래의 혼례가구 디자인의 변화를 예측할 수 있는 중요한 요인이라고 하겠다. 그러므로 혼례가구 디자인의 기준은 기능성, 경제성, 장식성, 개성 뿐 아니라 상징성과 유행성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며 제시된 혼례가구 디자인의 모형은 다차원적인 디자인 문제 해결을 위해 적절히 활용될 수 있음을 제시해 주고 있다.

  • PDF

서울 송현동 일대의 문화 헤게모니와 장소성 변화 분석 (An Analysis of Cultural Hegemony and Placeness Changes in the Area of Songhyeon-dong, Seoul)

  • 최지영;조경진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33-52
    • /
    • 2022
  • 서울 송현동에 역사문화공원과 이건희 기증관이 조성될 예정이다. 송현동의 역사성은 조선 시대부터 현대까지 정치적 판도에 영향을 받은 시련의 땅으로 인식되었다. 하지만 장소성 분석은 역사적 맥락보다는 토지소유자와 용도 변화에 국한해서 다루어졌다. 그래서 본 연구는 현대문화지리학과 비교역사학 관점을 활용하여 송현동의 장소성이 문화 헤게모니에 따라 변화한 맥락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역사적 이행과정에서 나타나는 중화주의, 대항해, 시민혁명, 제국주의, 민족자결주의, 민족주의, 대중예술, 신자유주의 같은 범세계 차원의 문화 헤게모니는 송현동을 비롯한 북촌 일대에 새로운 지식인층을 만들어냈고, 사회제도와 공간정책에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사회적 관계 속에서 송현동의 장소성은 다음과 같이 변화했다. 첫째, 송현의 소나무숲은 이상적인 유교 국가를 목표로 했던 조선 건국세력이 왕조의 영속을 기원하며 만든 비보숲이었고, 내사산의 지맥을 보호하는 사산금표제로 관리되었다. 세계적으로 대항해시대를 맞이한 조선 후기에는 연행이 늘며 청나라 문화를 향유하는 경화세족의 정원이 들어섰다. 일제 강점기에 인구가 급증하면서 주택단지개발로 소나무 숲과 정원은 사라졌지만, 인공적인 정원과 외부의 자연을 조화롭게 연결했던 차경의 경관적 미학은 현대적으로 재해석할 가치가 있다. 둘째, 세계의 근대화 물결은 북촌 일대에 신식학교를, 친일파 소유의 송현동에는 하숙집을 만들었다. 송현동 옆의 안국동천길은 시민혁명과 민족자결주의를 접한 사상가들이 교류했던 장소였고, 최대규모의 하숙집이었던 송현동은 학생들이 3.1운동에 참여하며 학생운동문화가 발아한 계기가 되었다. 안국동천길은 옛길의 모습이 보존되어 있어 광화문-북촌-인사동-돈화문로를 연결하는 역사 도심 보행 재생의 한 부분으로 의의를 지닌다. 셋째, 조선총독부의 문화 통치기부터 군사 정권기까지 송현동은 조선식산은행의 서구식 문화주택과 미국대사관 직원 숙소가 들어서며 서구문화의 통로였다. 주변 지역은 고미술과 현대미술이 공존하며 근현대 미술시장이 형성되었다. 이건희 기증관은 북촌한옥마을, 공예박물관, 현대미술관, 갤러리와 문화벨트를 이루며 시민의 공간으로 변모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같이 장소를 이루었던 숲과 정원, 시민탄생의 거리, 근·현대 미술의 진원지로서 의미가 새롭게 조성될 역사문화공원과 미술관 그리고 주변 보행 네트워크와 조화롭게 재창조될 수 있도록 담론과 도전이 필요하다.

한.중 공동주택의 생활환경요인을 통한 단위평면 비교 연구 - 서울과 상하이 전통, 근대, 현대 공동주택 사례를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n the Apartment Unit Plans According to the Living Environment Elements of Housing in Korea and China - Focused on Apartment cases in Seoul and Shanghai -)

  • 양비;윤혜경;박현수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9권2호
    • /
    • pp.136-143
    • /
    • 2010
  • This study aims to seek a direction of development in apartment interior planning method, considering residential condition and historical planning schemes in South Korea and China. In this study, South Korea and China's traditional housing and modern apartment unit was studied to identify environmental attributes of residence. For Korea, Banga, where upper class residents lived, and modern urban Hanok were chosen to be analyzed. For China, two types of housing wear studied: Sahapwon, original form of China housing, and Yinong house which is a typical Sanghai house. First, the elements of living environment in two major cities; Seoul and Sanghai was defined to analyze factors of traditional houses in both cities. Depending on those factors, relationship among traditional and modern housing types were compared and analyzed, focusing on unit plan case studies for a better understanding of living environment in South Korea and China. From this study,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apartment plans in Seoul and Shanghai was examined according to their residential style, surrounding natural environment and lifestyle factors. In Seoul's apartment, spacial composition and movement lines were mainly formed around the public space in Seoul, while public space of living and dining room was located at housing entrance area in the Shanghai's residential system, configuring narrow form of housing unit. In respect of the natural environment, the unit plan of rectangular form in Seoul was more efficient in day lighting and wind circulation than the unit plan of narrow form in Shanghai. It was also found that cultural differences of stand-up and seat life style influenced on the composition of unit plans in Seoul and Shanghai.n Apartment cases in Seoul and Shanghai.

현대주거의 기하조작에 의한 보이드 공간의 생성과 친환경적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ormation of Void Space by Geometric Method and Environment-friendly Characteristics in Contemporary Housing)

  • 이동기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1권6호
    • /
    • pp.131-141
    • /
    • 2010
  • This study is aimed to grasp the spatial characteristics exhibited in the modern housing architecture from the aspect of a geometrical manipulation, which transforms basic geometrical shapes and persue the formative diversity, to identify and verify the various characteristics of spatial structure in modern housing architecture. In this regard, this paper analyze and identify the influences of the void spaces that are created by geometrical manipulations on housing architecture, in terms of morphological and environmental aspects. Theoretical approaches define the concept of geometrical manipula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residence and examine the spatial features of void spaces. Additionally, case studies result in the classification of void spaces that are created by geometrical manipulation. Furthermore, to understand environment-friendly characteristics of the void space, the researcher elicited the factors that can affect environment friendly housing from previous studies, and analyzed their correlation between those factors and the void spaces that are classified.

현대 도시 단독주택의 중정식 평면구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lans of Court type in Modern Urban Detached Houses)

  • 이선옥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1권3호
    • /
    • pp.1-14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court type in Urban Detached Houses. This study deals with single-unit Korean houses designed by architects, which are included in architectural periodicals and books published since 1980.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types of houses court plan are obtained from the mass of site and plans shape. There are five types which are Backyard type, Corridor type, Atrium type, Inner garden type, and Dae-chyung-ma-roo type. And 9 plans of Dae-chyung-ma-roo type house are shown in this paper. Especially, Dae-chyung-ma-roo type is outdoor space with over 2 door of the room and that is extended indoor space.

  • PDF

전통주택 실내구성요소의 현대적 계승사례에 관한연구 -월간잡지에 나타난 주거공간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daptation of Traditional Interior Elements in Modern House)

  • 오혜경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16권4호
    • /
    • pp.167-182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ctual condition of the modern adaptation of interior elements (wall floor ceiling door & window) in traditional house. The examined objects were 316 pictures of residential interior spaces from the 5 different monthly magazines between Jan. 1993 to Dec. 1997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Mostly they were either parital adaptation from the original or partially transformed adaptation rather than entire adaptation of the original 2. Of the traditional interior elements adapted in residential space only specific elements were being adapted. For example. partial adaptation from the original were oiled paper flooring(Jangpan) rice papered wall (Hanji) a ceiling finish that left the rafters and beams exposed (Yondunt-chonjang) and window or door frame which is vertical lattices accented with horizontal lattices grouped into three sections(Ttisal-mun)And partially transformed adaptation were wood flooring(Chang-maru) rice apered wall(Hanji) Yondung-chonjang wind or door frame of Wan character(Wanja-mum) 3. In regard to space the mostly adapted spaces were bedrooms rather than living or dining rooms.

  • PDF

다회선철탑의 활용과 기설철탑의 탑고인상공법

  • 이재숙;신상문
    • 전기의세계
    • /
    • 제28권12호
    • /
    • pp.3-11
    • /
    • 1979
  • 본문에서는 우리나라와 같이 국토가 협소한 외국에 있어 경제성의 앙양과 용지문제를 해소키 위하여 탐택하고 있는 다회선철탑의 건설실태를 소개하고저 한다. 그리고 도로망의 확장 또는 공장, 주택등의 족출은 개설송전소의 지토고의 부족, 시설물과의 안정거리부족 또는 교통방해등의 문제를 가져온다. 이러한 경우 종전에는 철탑을 올려서 문제점을 해소키 위하여 기존철탑을 완전히 해체하여 시공하는 방법을 택하여 왔으나 근래의 외국서적을 참조하면 기존탑을 완전히 해체하지 않고 기존탑에다 소요높이의 결구를 삽입함으로써 그 목적을 달성하고 있으며 어떤경우는 송전을 지속하는 상태에서 탑고을 올리고 있다. 본문에서는 이 공법도 겸하여 소개하고져 한다. 그리고 초고압철탑은 탑고가 높고 그 중량도 무거워져 종능전과 같은 본주의 gin pole을 이용한 철탑조립방식은 율이 올라가지 않고 또 위험성이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본문은 또 현대적인 초고압철탑의 조립공법도 겸하여 언급하고져한다.

  • PDF

현대주거공간에 표현된 전통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 색채와 마감재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xpression of Korean Traditional Characteristics in Modern Residences - Focus on Colors and Finishing material -)

  • 이용범;오인욱
    • 한국실내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56-60
    • /
    • 2005
  • Finishing materials and colors which were expressed in the space is an important factor to decide the imagination of the space. Therefore if we analyze and spotlight the space with that factors again, we will readily know the characteristics that are expressed in our living space. A purpose of this study is how the traditionality like national thoughts, customs and behavior patterns is changed, arranged and expressed in the korean housing space in the 21c on the finishing materials and colors. Though this study we can know that the traditionality which are expressed in modern housing spaces shows with accommodating to characteristic that is expressed in traditional housing spaces.

  • PDF

와일드 가든(Wild Garden)의 개념적 모형 유추 - 윌리암 로빈슨(William Robinson)과 거투르드 제킬(Gertrude Jekyll)의 비교 연구 - (Inference of the Conceptual Model of Wild Gardens - A Comparative Study of William Robinson and Gertrude Jekyll -)

  • 박은영;윤상준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62-69
    • /
    • 2013
  • 자연적, 환경적 문제를 가진 현대에서 빛을 발하고 있는 자연식재는 와일드 가든(wild garden)에서 그 원류를 찾을 수 있다. 윌리암 로빈슨(William Robinson)이 시초가 되고, 거투르드 제킬(Gerturde Jekyll)이 구체적으로 형상화하였다. 특히, 와일드 가든은 현대정원의 가장 중요한 화두가 될 수 있는 생태적 설계의 예고와 내츄럴리즘의 분화과정에 중요한 초석이 되었다는 점에서 재조명해 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로빈슨의 주택 그래비티 매너(Gravety Manor)와 제킬의 주택 먼스태드우드(Munstead Wood)를 통해 와일드 가든의 개념적인 모형을 정확히 유추해 보고, 역사적인 의의를 찾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공간 구성 면에서는 기본적인 코타지 가든의 영감을 이어받아 비정형의 형식을 도입하였다. 둘째, 소재의 사용 면에서는 여행을 통해 다양한 기후를 접하면서 식물의 내한성과 외래종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자생식물과 귀화식물을 같이 사용하였다. 또한 숲 하부 식재와 산림지역에 관심을 가졌다. 셋째, 디자인 기법 면에서는 색감과 질감에 대해 각 개별 식물 및 상호간의 관계에 관해 연구하여 자연의 축소판과 같은 다양한 경관을 연출하였다. 넷째, 유지관리 면에서는 식물이 가진 본래의 성질대로 살 수 있는 최소한의 유지관리를 위한 방식을 기본으로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