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혁신 지원정책

Search Result 666,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Analysis of the Causal Structure Among Innovation Support Policy, Innovation and Performance: Focusing on Knowledge Service Firms (혁신 지원정책과 혁신 그리고 성과의 인과구조 분석: 지식서비스기업을 중심으로)

  • Baek, Sung-hyun
    •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 /
    • v.19 no.2
    • /
    • pp.324-357
    • /
    • 2016
  • As the transition to the knowledge-based economy has been accelerated in the 21st century, the importance of the service industry has been highlighted. As the proportion of knowledge service industry in the economy and the related employment rate are continuously growing, it is necessary to bring innovation to the industry in order to increase competitiveness. In this study, the innovation types are diversified into product, process, organization, and marketing and the influencing factors have been analyzed with knowledge service firms. The complex causal relationship that is linked to the innovation performance has been analyzed by the structural equation with each innovation types as the intervening variab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innovation capacity of firms in knowledge service industry has very strong positive effects either directly or indirectly on product innovation, process innovation, organizational innovation, marketing innovation, and the revenue and employment of the firm. On the other hand, innovation support policy through government intervention produce negative impact on product innovation and they do not create meaningful impact on the total effect on the revenue nor the employment growth. The innovation should ultimately create effects on the revenue and the employment of the firm. And the government support policies should be carefully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the final destination point of this complex causal structure.

An Empirical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arriers and Policy Measures in Technological Innovation (기술혁신 장애요인이 지원제도 활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 Shin, Hyun-Woo
    •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 /
    • v.17 no.2
    • /
    • pp.81-107
    • /
    • 2009
  • The Korean government provides a variety of supporting programs with firms to promote technological innovation which is a main driver of economic growth. The existing literature on technological innovation has mainly focused on analysis about determinants of successful innovation and effectiveness of a specific policy measure. However, there is no study deals with characteristics of policy demanders. For thi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barriers and policy measures in technological innovation using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method with raw data of Korean Innovation Survey (KIS). The findings from this analysis show that barriers of technological innovation are meaningful variables to determining whether firms adopt a policy measure, although there are some differences according to policy types. Cost barriers increased the probability that firms adopt support programs regardless of policy types. Also, the more firms encounter cooperation barriers, the more likely firms utilize supporting programs in regard to technological advice and information.

  • PDF

The Effect of Local Industry Policy on the Corporate Innovation Capabilities - Focusing on the Daejeon Techno Park - (지역산업정책이 기업의 기술혁신역량에 미치는 효과 - 대전테크노파크를 중심으로)

  • Kim, Min-Seok;An, Gi-Don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17.05a
    • /
    • pp.573-603
    • /
    • 2017
  • 한국정부는 지역산업정책의 추진이 시작되는 1999년부터 연평균 약4,970억원을 지역산업육성을 위해 지속적으로 투자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지속적인 지역산업 육성정책이 실질적으로 기업의 기술혁신역량강화에 기여했는지 알아보기 보기 위하여, 대전테크노파크에서 2016년 조사한 '대전지역 혁신자원 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대전테크노파크가 기업의 기술혁신역량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우선 테크노파크와 기술혁신에 대한 선행연구를 통해 기업의 혁신역량 측정 및 이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분석하였다. 기업의 기술혁신정량지표인 특허의 결정요인과 슘페터가설 모형에 기초하여 기업의 기술혁신을 측정하는 종속변수로 특허수를 선택하여 이에 영향을 미치는 기업변수(매출액, 매출액제곱, 수출액, 영업이익)와 R&D변수(R&D인력, R&D자금), 그리고 대전테크노파크의 지원여부와 벤처기업지정여부를 설명변수로 선정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는 대전테크노파크 지원이 기업의 특허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지역산업육성정책이 지역 기업의 기술혁신을 촉진시키고 있기 때문에 지역산업육성정책을 더 적극적으로 추진할 필요성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 PDF

Diffusion Policy for the Gendered Innovations in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 (과학기술 연구개발에서의 젠더혁신 확산방안 - 성별특성분석 토대의 젠더혁신 지원정책을 중심으로 -)

  • Paik, Hee Young;Woo, Soo-jung;Lee, Heisook
    •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 /
    • v.20 no.4
    • /
    • pp.989-1014
    • /
    • 2017
  • Major advanced countries pursuing accountability for research and development are carrying out gendered innovations by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sex and gender analysis in science research and technology development. Korea needs to actively promote gendered innovations as a strategy moving from Fast Follower to First Mover. In order to promote gendered innovations in the science, technology and ICT fields, policies of integrating the gender dimension in the process of research from research design to the analysis of research outcomes should be declared and research support measures should be introduced from the proposal evaluation for the gendered innovations. In particular, in order to support the new gendered innovations research systematically in Korea's R & D system, a legal basis must precede. In this study, we propose an amendment to the law related to gender innovation by analyzing the cases in foreign countries.

The Study on the Cluster Analysis for the Activation of the Innovation Cluster - Focused on the case of the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of the Gwanggyo Technovalley - (혁신클러스터 활성화를 위한 클러스터분석(Cluster Analysis) 연구 - 광교테크노밸리 산학협력 분석사례를 중심으로 -)

  • Lee, Won-Il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2.05a
    • /
    • pp.254-257
    • /
    • 2012
  • 본 논문은 혁신클러스터 추진의 전략방향 설정을 위해서 클러스터 현황을 클러스터 분석을 통하여 살펴보았다. 본 논문에서는 광교테크노밸리의 발전단계에 따른 협력현황 파악을 위하여 산학연 협력체계 분석과 진단을 위한 클러스터분석(Cluster Analysis)을 실시하였다. 클러스터 분석결과 광교테크노밸리내 입주기업의 산학연 협력경험은 67.3%로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과, 기업과는 연구개발, 연구기관과는 장비활용 중심으로 협력하고 있었다. 또한, 산학연 협력의 지원정책수요는 협력기관 현황제공, 기술별 정보취득지원 등 다양한 부문에서 협력의 수요가 존재하고 있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다음의 전략이 도출되었다. 첫째, 혁신클러스터 발전을 위한 새로운 비전을 조속히 제시하고 단지인근에서 입주기업의 산학연 협력의 활성화를 위한 지원을 추진해야 한다. 둘째, 혁신클러스터 단계별 발전을 위한 통합적인 지원역량 강화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인근의 타 혁신거점과 정책적 네트워크 구축을 통해서 타 혁신클러스터의 자원과 역량을 활용할 수 있는 지원망 구축이 필요하다.

  • PDF

중소기업구조개선(中小企業構造改善)과 지역기술혁신체제(地域技術革新體制)

  • Park, Jun-Gyeong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v.18 no.2
    • /
    • pp.3-61
    • /
    • 1996
  • 80년대초 이후 기술혁신의 가속으로 중소기업에서도 기술변화에 대한 적응이 경쟁력의 유지를 위한 핵심과제가 되면서, OECD 국가는 중소기업에 대한 과학기술정보(科學技術情報)의 이전(移轉)을 촉진하는 정부지원을 확충하였다. 경제성과의 개선을 위해서는 기술혁신만이 아니라 기술혁신의 성과를 확산시키는 것도 중요하다는 인식으로 중소기업의 경쟁력향상에 기여하는 과학기술정보의 공급확대를 위하여 연구개발사업(硏究開發事業)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는 동시에 중소기업에 대한 과학기술정보의 이전을 촉진하기 위하여 과학기술정보의 공급원(供給源)(대학, 시험연구기관 등)과 중소기업을 연결하는 다양한 중개(仲介)(촉매(觸媒))기관(機關)의 설립 운영을 지원하고 있다. 연구개발과 과학기술정보이전에 관한 과학기술공급원과 중소기업간의 인식의 차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정보교환(情報交換)과 인적교류(人的交流)를 확대하고 과학기술공급원이 제공하는 지식을 중소기업이 이용하기 쉬운 기술로 변환하기도 한다. 이러한 기능을 중개기관이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중소기업 사업자와 신뢰관계(信賴關係)를 구축하는 것이 긴요하며, 기술변화를 인지 수용하도록 유도하는 초기단계에서는 중소기업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근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러한 기술확산과정(技術擴散過程)의 특성으로 인하여 지역혁신체제(地域革新體制)의 구축과 기술혁신정책(技術革新政策)의 지역화(地域化)가 강조되고 있다. 최근에 통상산업부와 과학기술처도 기술혁신정책의 지역화를 시도하고 있다. 연구기반과 산업기반을 고려하여 지역별로 다양한 유형의 산학연 공동연구기반이 구축될 계획이다. 기술혁신정책의 지역화는 시도단계에 불과하며 효율적인 지역혁신체제를 구축하기 위한 여건도 불리하다. 선진국에 비하여 대학과 연구기관의 연구자원(硏究資源)에서도 현격한 차이가 있으나, 네트워크의 혁신성을 좌우하는 지식집약형 중소기업의 비중과 중소기업기술개발의 혁신성에서도 선진국에 비하여 절대열위에 있다. 이러한 불리한 여건을 극복하기 위하여 중소기업의 혁신현장에 밀착된 지역의 전문가집단이 지역경제의 비전과 지역산업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지역연구개발사업(地域硏究開發事業)을 전략적으로 기획하고 효율적으로 추진하며, 기획 추진과정에 참여하는 지역대학 지역시험연구기관 지역산업단체 등이 구성하는 지역사회(地域社會)의 협의체(協議體)가 정보공유(情報共有)와 공동학습(共同學習)을 통하여 지역혁신체제의 형성을 주도하고 경쟁과 협력의 조화를 통하여 기술혁신을 가속시키는 지역사회(地域社會)의 규범(規範)과 문화(文化)가 정착되도록 노력하며 중앙정부는 지역연구개발사업에 대한 지원에서 투명하고 합리적인 평가기준을 제시하고 지역산업의 혁신성과에 의하여 지원을 차등화(差等化)하는 경쟁원리를 도입하여 지역사회의 합리적 의사결정을 유도해야 한다.

  • PDF

창업지원 정책 개선 방안 연구

  • Gil, Un-Gyu;Sim, Yong-Ho;Bae, Hong-Beom;Kim, Seo-G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17.11a
    • /
    • pp.457-457
    • /
    • 2017
  • 창업활성화와 중소기업의 안정적인 성장을 유도하기 위해 다양한 지원 정책이 추진되고 있다. 정부에서는 조세 금융의 직접적인 방법과 지원 사업을 통한 간접적인 방법으로 효과적인 지원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정부의 창업정책에 대한 견해는 여전히 팽팽하다. 지원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공감하고 있으나. 지원 방식과 지원사업의 실효성에 대해 논의가 이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정부 창업지원 사업에 대한 중요도와 만족도를 평가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정부 창업지원 사업을 경험한 ICT 창업 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을 수행하였으며, 이 중 128개를 대상으로 GAP 분석 및 ISA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실제 지원 사업을 체감한 기업의 의견을 반영하여 현실성 있는 보완책을 제언하고자 한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정부 창업지원 사업에 대한 개선 방안을 제언하여, 정부 창업지원사업의 질적 수준을 개선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 PDF

The study on the policy for the formation of the innovation cluster : Focus on Pangyo Technovalley in Gyeonggi-Province (혁신 클러스터 구축을 위한 정책방향 설정에 관한 연구 : 판교테크노밸리를 중심으로)

  • Im, Jongbin;Cho, Hyeongrye;Chung, Sunyang
    •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 /
    • v.15 no.3
    • /
    • pp.675-699
    • /
    • 2012
  • Recently innovation cluster has been emphasized as a valid policy measure for innovation. For suggesting a new model of innovation cluster, we conducted literature review for the theories of regional innovation system(RIS) and innovation clusters. As a result, the success factors of innovation cluster were classified into system measures, physical measures, and social(human resources) measures from the perspective of RIS. The case of Gyeonggi province's innovation cluster policy was examined for an empirical analysis. For an in-depth analysis, a survey for the tenant companies in Pangyo technovalley(PTV) was conducte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Gyeonggi province's innovation cluster policy is evolving from 'a government-initiated system' to 'the 3rd-generation convergence RIS' and that PTV is closely related to the system measures of 'support for up-to-date management and technology information' and 'support for academic-research-industry cooperative research and technological cooperation,' physical measures of 'strengthening the function of PTV support division' and 'shared research equipment and other infrastructures,' and social measures of 'legal, financial, and administrative support system' and 'public childcare facilities'. Also, technology sector was divided into IT and non-IT for a validity check to find out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factors, except for the public relations factors.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resources for other related researches.

  • PDF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ormance and Gender in ICT SMEs : Focusing on R&D support policy (ICT 중소기업에서 성과와 젠더의 관계에 대한 고찰 : R&D 지원 정책을 중심으로)

  • Choi, San;Lee, Jae-Seong;Jun, Seung-Pyo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17.11a
    • /
    • pp.697-714
    • /
    • 2017
  • 국내 ICT 산업은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고 경제발전에 크게 이바지 해왔으며, 현재는 4차산업과 다양한 산업들의 융합의 구심점으로 인식되며 앞으로의 경제 성장 동력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ICT 산업을 국내외에서 다양한 모습으로 인식하고 있다. 그 중, 국내외를 막론하고 ICT 산업에 대해 존재하는 강한 스테레오타입은 ICT는 남성중심(masculine)적인 산업이라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런 ICT산업의 남성 중심성이 서과에 이떠한 여햐을 주는지 고찰하기 위해서 2015년 중소기업 기술통계조사 결과를 활용하여 ICT 중소기업에서 젠더와 기술적 및 경제적 성과 간 관계를 살펴보았다. 공동연구선호여부나 R&D 지원을 받은 경험이 중소기업의 기술적 및 경제적 성과와 어떤 관계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ICT산업여부와 여성연구원 보유여부가 정책지원과 성과의 관계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인으로 보고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ICT기업 중 여성연구원을 고용하고 있는 기업은 그렇지 않은 ICT기업에 비해 높은 기술적 성과를 보이고 있었다. 경제적 성과의 측면에서는 여성연구원을 고용하고 있으며 단독연구를 선호하는 ICT기업이 다른 ICT기업에 비해 높은 신기술개발 매출액을 보였다. 연구의 결과는 ICT 중소기업의 지원정책을 구상하는 정책입안자들과 여성의 ICT산업 고용 및 경제 활동 진흥 정책을 구상하는 정책입안자들에게 다양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