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혁신체제

Search Result 483,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Post Catch-up Theory: Direction and Agenda (탈추격 연구의 이론적 지향성 및 과제)

  • Hwang, Hye-Ran;Choung, Jae-Yong;Song, Wi-Chin
    •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 /
    • v.20 no.1
    • /
    • pp.75-114
    • /
    • 2012
  • Transition from imitation based catch-up to new value creation based post catch-up innovation system is becoming the main issue for Korea. The notion of post catch-up research highlights the understanding of new patterns of innovation and the interrelationship among innovating agents within systems of innovation. More specifically, it is a context specific framework which accommodates discontinuum of technological innovation from the past and a creation of new organizational arrangement and institutions. Moreover, post catch-up approach follows the tradition of development, institutional and evolutionary theories context. This paper, therefore, explores whose focus is on the possibility of new theoretical development and new research agenda.

  • PDF

The Evolution of Innovation Theory: From Schumpeter to Transition Theory (기술혁신이론의 진화: 슘페터에서 전환이론까지)

  • Sunyang Chung;Jiyoon Chung
    •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 /
    • v.31 no.3
    • /
    • pp.75-110
    • /
    • 2023
  • This paper aims at discussing the evolution of innovation theory from the beginning of the last century to present. Innovation theory has begun by Joseph Schumpeter in the beginning of the last century and his theory had not attained much attention compared to the mainstream economic theory. In the 1960s, some neo-classical economists analyzed the effect of technological change on economic growth and emphasized the role of demand in innovation process. However, in the beginning of the 1970s, Schumpeter's innovation theory, which emphasized the role of innovation and entrepreneurship in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attained enormous attention by many liberal economists. They were called neo-Schumpeterians as they followed the theories and ideas of Schumpeter. In the middle of the 1980s, neo-Schumpeterians identified the concept of national innovation system(NIS), which is the total mobilization system of innovation resources for generating, appropriating and diffusing technological innovations. Soon this theory diffused very quickly at regional and sectoral level. As a result, there have been very active empirical studies on innovation systems in the world. Since the beginning of the 2000s the transition study have been actively carried out mainly in European countries. This study emphasizes the transition of existing innovation systems into more sustainable ones. In Korea we need to activate transition study, because there have been only few studies in this new theory.

Governance of Regional Innovation Policies of the Ruhr Area in Germany (독일 루르지역의 지역혁신정책 거버넌스 연구: 혁신주체간 협력관계를 중심으로)

  • Shin, Dong-Ho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9 no.2
    • /
    • pp.167-180
    • /
    • 2006
  • The Ruhr region used to be a large industrial area, working as an engine of economic growth of the Germany. However, the region has been suffering from economic and social problems originating from de-industrialization. Since the 1970s, various levels of governments have attempted to solve the problems with policies of regional innovation, e.g., establishing technology parks, competence centers, and business incubators to promote start-ups, technology transfers, and networks between governments, businesses, universities, public research institutes, and the public. In this context, this paper attempts to analyse governance of regional innovation policies of the Ruhr area, based on an analytical framework developed by a groups of researchers, i.e.. Bae et al (2006), The paper concludes that the roles of governments are important in creating and implementing regional innovation policies of the Ruhr area, the policies heavily rely on the R&D capacity of local universities and public research institutes; and various levels of governments have different roles to play.

  • PDF

특허 분석을 활용한 ICT 산업혁신체제(SIS)의 역동성에 관한 연구

  • 김진용;정재용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03.05a
    • /
    • pp.31-43
    • /
    • 2003
  • The transformation of sector system in ICT, a prominent character in sector systems, has been paid much attention in innovation theory since Information technologies and technological environment have rapidly changed. In this context, we employ US patent data and proxy variables, measuring the basic elements for analyzing SIS and its technological characteristics in order to explore how SIS is transformed. By utilizing patent analysis, it is demonstrated that technological regimes, key links and Schumpeterian patterns of innovation have transformed drastically over last 3 decades in overall ICT sector. Consequently, our research shows clear evidence that Schumpeterian patterns of innovation have shifted from Mark I to Mark II in ICT. Our study provides a glimpse picture of dynamics of SIS since 1970 in the technological level by utilizing patent analysis.

  • PDF

중소기업구조개선(中小企業構造改善)과 지역기술혁신체제(地域技術革新體制)

  • Park, Jun-Gyeong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v.18 no.2
    • /
    • pp.3-61
    • /
    • 1996
  • 80년대초 이후 기술혁신의 가속으로 중소기업에서도 기술변화에 대한 적응이 경쟁력의 유지를 위한 핵심과제가 되면서, OECD 국가는 중소기업에 대한 과학기술정보(科學技術情報)의 이전(移轉)을 촉진하는 정부지원을 확충하였다. 경제성과의 개선을 위해서는 기술혁신만이 아니라 기술혁신의 성과를 확산시키는 것도 중요하다는 인식으로 중소기업의 경쟁력향상에 기여하는 과학기술정보의 공급확대를 위하여 연구개발사업(硏究開發事業)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는 동시에 중소기업에 대한 과학기술정보의 이전을 촉진하기 위하여 과학기술정보의 공급원(供給源)(대학, 시험연구기관 등)과 중소기업을 연결하는 다양한 중개(仲介)(촉매(觸媒))기관(機關)의 설립 운영을 지원하고 있다. 연구개발과 과학기술정보이전에 관한 과학기술공급원과 중소기업간의 인식의 차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정보교환(情報交換)과 인적교류(人的交流)를 확대하고 과학기술공급원이 제공하는 지식을 중소기업이 이용하기 쉬운 기술로 변환하기도 한다. 이러한 기능을 중개기관이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중소기업 사업자와 신뢰관계(信賴關係)를 구축하는 것이 긴요하며, 기술변화를 인지 수용하도록 유도하는 초기단계에서는 중소기업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근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러한 기술확산과정(技術擴散過程)의 특성으로 인하여 지역혁신체제(地域革新體制)의 구축과 기술혁신정책(技術革新政策)의 지역화(地域化)가 강조되고 있다. 최근에 통상산업부와 과학기술처도 기술혁신정책의 지역화를 시도하고 있다. 연구기반과 산업기반을 고려하여 지역별로 다양한 유형의 산학연 공동연구기반이 구축될 계획이다. 기술혁신정책의 지역화는 시도단계에 불과하며 효율적인 지역혁신체제를 구축하기 위한 여건도 불리하다. 선진국에 비하여 대학과 연구기관의 연구자원(硏究資源)에서도 현격한 차이가 있으나, 네트워크의 혁신성을 좌우하는 지식집약형 중소기업의 비중과 중소기업기술개발의 혁신성에서도 선진국에 비하여 절대열위에 있다. 이러한 불리한 여건을 극복하기 위하여 중소기업의 혁신현장에 밀착된 지역의 전문가집단이 지역경제의 비전과 지역산업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지역연구개발사업(地域硏究開發事業)을 전략적으로 기획하고 효율적으로 추진하며, 기획 추진과정에 참여하는 지역대학 지역시험연구기관 지역산업단체 등이 구성하는 지역사회(地域社會)의 협의체(協議體)가 정보공유(情報共有)와 공동학습(共同學習)을 통하여 지역혁신체제의 형성을 주도하고 경쟁과 협력의 조화를 통하여 기술혁신을 가속시키는 지역사회(地域社會)의 규범(規範)과 문화(文化)가 정착되도록 노력하며 중앙정부는 지역연구개발사업에 대한 지원에서 투명하고 합리적인 평가기준을 제시하고 지역산업의 혁신성과에 의하여 지원을 차등화(差等化)하는 경쟁원리를 도입하여 지역사회의 합리적 의사결정을 유도해야 한다.

  • PDF

Analysis on ICT Industry and Innovation Value Chain of Daegu and Gyeongbuk Region (대구경북권 ICT산업 현황 및 지역 혁신가치사슬 분석)

  • Kim, J.S.;Min, S.J.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32 no.2
    • /
    • pp.71-79
    • /
    • 2017
  • 지역경제의 성장과 혁신은 국가경쟁력 강화를 위한 중추적인 요인이다. 본 연구는 ICT산업인프라가 집적된 대구 및 경북지역의 ICT산업의 현황을 살펴보고, 혁신가치사슬 개념을 적용하여 지역혁신역량을 평가하기 위한 분석도구를 제시하였다. 지역혁신가치사슬은 지역경제 활성화와 국가경쟁력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혁신역량을 평가하는 도구로, 지역혁신체제의 인적, 물적, 제도적 인프라와 자원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지역단위의 혁신역량 분석은 지역 내의 혁신자원의 수준을 파악하고 혁신프로세스를 평가하는 데 필요하다. 그러나 대부분의 지역혁신역량에 관한 연구들이 혁신의 투입과 산출단계에 중점을 두고 있어, 본고에서는 전환단계를 포함한 혁신프로세스에 대한 통합적인 분석을 하였다. 이러한 지역 혁신가치사슬은 다른 지역 및 국가 단위 혁신체제에도 일반화하여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항공산업 특성화를 통한 지역 경쟁력 제고 방안

  • Lee, Gang-Seok
    • The Journal of Aerospace Industry
    • /
    • s.69
    • /
    • pp.28-58
    • /
    • 2007
  • 최근 지역 경제주체들의 혁신역량을 극대화할 수 있는 지역혁신체제 구축을 통해 지역의 국제경쟁력 제고가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으며 이러한 지역혁신의 원동력은 지역에서 성장가능산업의 발굴 및 활성화를 통한 지속적인 성장동인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며 지역 전략산업 및 지연산업 중심의 산학연관의 지역혁신체제 구축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지역의 혁신역량 분석을 통한 산학연관의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지역산업 육성 및 활성화를 위해 우리나라의 성장동력인 항공산업의 특성화를 통해 지역에서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 PDF

A Study on the Readjustment of the Nigerian National Innovation System through Korean Case Analysis (한국 사례분석을 통한 나이지리아 국가 혁신 시스템 개선 방안 고찰)

  • Temitayo, Shenkoya;Kim, Euiseok
    •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 /
    • v.21 no.4
    • /
    • pp.1237-1267
    • /
    • 2018
  • After independence in 1945, the South Korean economy rose steadily from a developing country to a developed country while, after independence in 1960, Nigeria is still a developing country with poverty on the increase, despite its large amount of natural resources. This research seeks to find a viable solution to this issue while studying the relationship that exist amongst Economic Development Plans (EDPs), National Innovation System (NIS) and economic development in Korea. The methodology used herein is a mixture of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nd a semi-structured interview.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EDPs are essential to the enhancement of communication, and the flow of knowledge and innovation of the NIS. Furthermore, our result shows that the efficiency of the NIS is relevant to drive economic growth and development. Therefore, based on our analysis of the current situation in Nigeria and the development trajectory of Korea, we developed, introduced and recommended a theoretical framework called the "Multiple skipping" development trajectory as a model for development in Niger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