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혁신지수

검색결과 186건 처리시간 0.027초

대전.충청지역 산업의 구조적 특성과 지역별 혁신역량 (The Structure of Regional Industries for Daejeon.Choongchung Area and the Measurement of Regional Innovation Ability)

  • 김선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12호
    • /
    • pp.279-290
    • /
    • 2009
  • 본 연구는 대전 충청지역의 산업구조와 특성을 분석한 후 지역경제의 혁신여건과 지역별(광역자치단체중심) 혁신역량지수의 측정을 통하여 지역경제가 보유하고 있는 혁신역량을 파악하고 하고자 하였다. 혁신역량지수는 유럽연합(EU)의 분류에 따라 인적자원부문, 지식창출부문, 지식의 전달 및 응용부문, 그리고 혁신지원 금융 산출 시장부문으로 구분하여 산출하였으며, 이를 9개 광역자치단체별로 측정 비교분석함으로써 정책적 시사점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지역별 총합혁신역량지수는 대전이 2.977로 가장 높고 다음이 서울로 2.650을 보임으로서 대전과 서울에 혁신활동이 집중되어 있음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충남과 충북의 혁신역량지수도 비교적 높은 서울의 76~78% 수준을 보였다. 그러나 여타 지역의 혁신역량지수는 서울이나 대전의 50~60%에 그치고 있어 지역 간 격차가 뚜렷이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지역 간 격차가 심한 영역은 지식창출부문으로서 대전은 0.866인데 비하여 부산은 0.085로 무려 10배나 차이가 나고 있으며, 다음은 지식의 전달 및 응용부문과 혁신지원 금융 산출 시장부문의 격차가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그러나 인적자원부문의 혁신지수는 지역 간 격차가 상대적으로 적게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국가별 창업생태계 비교분석 및 시사점 (Comparative Analysis of Entrepreneurial Ecosystems by Country and Implications)

  • 김진철;정상희;신동협;최환석;이승혜
    • 분석과 대안
    • /
    • 제8권2호
    • /
    • pp.117-140
    • /
    • 2024
  • 주요국들이 경제성장과 고용 촉진 등을 도모하기 위해 창업 활성화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한편, 대한민국의 창업생태계는 코로나 펜데믹 이후 건실한 양적성장을 보여주고 있으나, 전 세계 주요국들과 비교했을 때는 아직 미비한 점들이 지적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대한민국의 혁신적인 창업생태계 조성과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 국가별 혁신창업 종합지수를 도출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먼저 창업 관련 선행연구 분석 및 국가별 창업생태계를 분석한다. 이후, 글로벌기업가정신모니터, 글로벌기업가정신지수, 월드뱅크 등의 자료를 바탕으로 국가별 혁신창업 종합지수를 산출한다. 마지막으로, 산출된 국가별 혁신창업 종합지수를 군집분석을 통해 국가별 유형을 분석하여 한국의 혁신창업 종합지수 유형과 향후 발전 방향을 제시하였다.

기업의 혁신성과 개방도가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기업혁신지수를 이용한 분석 (Effects of Innovation and Openness on Firms Productivity : Using Company Innovation Index)

  • 장선미
    • 통상정보연구
    • /
    • 제15권3호
    • /
    • pp.225-243
    • /
    • 2013
  • 본 연구는 한국의 기업자료를 이용해 기업의 혁신성과 개방도가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회귀분석을 통해 살펴보고 있다. 분석대상은 국내 거래소와 코스닥에 상장된 기업중 296개 기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혁신성을 평가하기 위해 기업 재무제표 상 R&D투자와 과학기술정책연구원의 기업혁신지수, 그리고 특허정보원의 특허자료를 이용하였다. 기업의 연구개발투자가 혁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당기의 연구개발투자보다는 전기의 연구개발투자가 혁신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의 혁신성이 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노동생산성과 기업의 경상수익을 이용해 분석한 결과 기업혁신지수는 기업의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나 기업의 특허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기업의 규모와 개방도도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한국에서의 창조계급 적합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 (A Exploratory Study for the Suitability about the Creative Class in Korea)

  • 최일용;황성원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467-489
    • /
    • 2014
  • 본 연구는 창조경제시대에서 창조도시와 도시 성장의 핵심 자본인 창조계급에 대해 우리나라에 적합한 창조계급을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Florida(2002)의 창조계급과 Mcgranahan & Wojan(2007)이 재구성한 창조계급을 국내 통계청의 2010년 자료를 활용하여 한국직업분류기준표를 기준으로 분류하고 각각의 창조계급과 혁신지수, 하이테크지수, 경제적 성과(임금)의 지역적 차이를 분석하였다. 또한, 각각의 창조계급과 국내 혁신지수, 하이테크지수의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 Mcgranahan & Wojan(2007)의 창조계급이 더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조사되어, Flordia 보다 Mcgranahan & Wojan 창조계급이 적절하다고 판단하였다. 따라서 Mcgranahan & Wojan(2007)의 창조계급에 대해 혁신 및 하이테크지수, 경제성장과의 경로분석을 실시하여 창조계급이 혁신, 하이테크,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현재 국내의 다양한 창조계급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였으며, 경제적 성장과의 분석을 통해 중앙 및 지방정부의 정책입안자에게 창조계급 유입을 위한 근거를 마련하였다. 또한 창조계급 유입을 위한 도시환경과 지역경제성장과의 관계 및 한국의 창조계급 지표 수립에 관한 다양한 후속연구를 촉진할 것으로 기대된다.

작업장혁신의 고용효과 (Employment Effects of Workplace Innovation)

  • 노용진
    • 산업노동연구
    • /
    • 제23권2호
    • /
    • pp.141-167
    • /
    • 2017
  • 본 연구는 작업장혁신 프로그램들의 고용효과에 관한 실증분석이다. 본 연구의 이론 모형과 가설은 혁신 일반의 고용효과에 관한 기존의 연구결과들을 발전시켜서 개발하였다. 사용 자료는 노사발전재단의 "일터혁신지수" 2013-14년 자료이다. 사용 자료는 횡단면 자료이고 통계모형은 OLS 모형이다. 본 회귀모형의 종속변수는 고용증가율이고 주된 독립변수는 작업장혁신 지수이다. 작업장혁신 지수는 TQM/6시그마, 제안제도, 다기능훈련 등을 합성하여 작성하였는데, 그 관행들의 도입 여부와 활용 정도(표준화값) 등 2 가지로 된 측정치들로 구성하였다. 분석 결과 작업장혁신 프로그램들의 도입 여부는 고용증가율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작업장혁신 프로그램들의 활용 정도는 고용증가율에 약하게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상의 분석 결과들은 작업장혁신의 도입이 고용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음을 말해주고 있는데, 그것의 활용도를 높일 경우에는 약한 수준에서나 고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그 밖에 정부 지원의 조직혁신 컨설팅을 받은 사업체(+), 임금수준(-), 1인당 훈련시간(+), 전년도 근로자수(-) 등이 고용증가율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실증결과들을 요약하고, 연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의 방향을 논의하였다.

Comparison of Innovation Capabilities - The Case of Chinese Regions -

  • Li, Hang;Kim, Sang-Wook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9호
    • /
    • pp.225-234
    • /
    • 2022
  • 혁신은 지역의 경쟁력을 높이는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할뿐만 아니라 중진국의 함정에서도 빠져 나올 수 있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중국의 지역별 혁신역량을 비교하기 위해 혁신 투입, 혁신 산출, 혁신 환경의 관점에서 지역혁신지수를 구성하고, 주성분 분석과 클러스터 분석을 이용하여 2006년부터 2019년까지 중국 31개 성, 직할시, 자치구의 지역혁신지수를 추정하였다. 추정결과에 따르면 중국의 지역혁신역량은 지역별 차이가 크며 혁신역량이 높은 지역은 주로 지역경제발전 수준이 상대적으로 높은 동남 연해안 지역에 집중되어 있다. 이는 혁신역량과 지역경제발전 수준과 관계가 있음을 나타낸다. 군집분석은 31개의 지역을 5개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분류결과에 의하면 지역경제발전 수준이 상대적으로 높은 연해안 지역의 혁신역량이 높고 이는 이들 지역이 입지적인 우위와 국가정책에서의 우위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스마트공장 도입이 일터혁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Smart Factory Introduction on Workplace Innovation)

  • 이우영;김국원;이문수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195-203
    • /
    • 2022
  • 최근 스마트공장 도입이 확산됨에 따라 스마트공장 도입에 대한 긍정적, 부정적 영향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750개 기업을 대상으로 일터혁신지수 하위 4개 부문(노사관계, 인적자원관리, 인적자원개발, 작업조직)별로 스마트공장 도입에 따른 일터혁신지수의 변화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전반적으로 스마트공장을 도입한 기업의 일터혁신지수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높게(0.5~9.4점) 나타났으며 특히 작업조직부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스마트공장 도입과 일터혁신 컨설팅의 영향을 함께 분석한 결과, 노사관계부문과 작업조직부문의 경우 스마트공장을 도입하고 컨설팅을 받은 것이 일터혁신지수 향상에 부합하는 결과를 보였다.

Innovation Capability Index of Korea's Manufacturing Firms: An Empirical Study Using the Community Innovation Survey (CIS) Dataset

  • 신태영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2권3호
    • /
    • pp.48-60
    • /
    • 1999
  • 과학기술지표는 전통적으로 R&D 투입 데이터와 특허자료가 사용되었지만 본 연구에서는 이들의 단점을 극복할 대안으로 기업의 혁신활동 지표를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한국의 CIS 데이터가 소개되고 계량분석을 이용한 방법론이 소개된다. 한편 이를 이용하여 산업별 혁신 능력지수를 제시한다

  • PDF

한국기술혁신연구의 인용문헌 법칙과 의사 영향력지수 (Citation Laws and Quasi-Impact Factor on Innovation Studies in Korea)

  • 박정민;설성수;남수현
    • 정보관리연구
    • /
    • 제40권4호
    • /
    • pp.135-150
    • /
    • 2009
  • 계량서지학은 오랫동안 잘 정의된 과학저널의 기초 위에서 구축되었다. 그러나 한국의 기술혁신연구의 역사는 짧고 다른 분야에 비해 연구범위도 다양하다. 따라서 우리는 한국의 기술혁신연구에서도 전통적인 계량서지학의 법칙들이 적용되는지를 고찰하고자 한다. 한편 전통적인 법칙과 함께 멱함수 법칙의 설명력을 비교한다. 영향력지수와 관련하여, 한국의 기술혁신연구에 기여 정도를 측정하는 의사 영향력지수를 제안한다. 연구자의 생산성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는Lotka's law와 Bradford's law가 적용됨을 확인했으나, Nicholls(1998)와 마찬가지로 Price's Square Root law가 유효하지 않았다. 저널에 대한 인용의 측면에서는Garfield의 법칙 역시 적절하지 않았다. 다만 멱함수 법칙은 저자, 저널, 논문 및 단행본 모두에서 잘 적용됨을 확인하였다. 이전 연구에서 추정된1.5에서3사이의 범주와 유사하게 한국의 기술혁신연구에서도 1.6에서 3.5사이의 수치가 추정된 것이다. 의사 영향력지수(quasi-impact factor)를 본 연구에 적용한 결과, 피인용도가 높은 저널 집단의 한국기술혁신연구에 대한 영향력은 국제적 기술혁신연구에 비하여 그 정도가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