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혁신기술 수용

검색결과 440건 처리시간 0.027초

글로벌 기업의 시장지향성과 기술지향성이 기술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의 실증연구 (An Empirical Study on the Effect of Market and Technology Orientation on the Innovation Performance of Global Firms)

  • 황상돈;이성환;이운식
    • 국제지역연구
    • /
    • 제22권4호
    • /
    • pp.145-166
    • /
    • 2018
  • 본 연구는 글로벌 경쟁으로 인해 지역 간의 벽은 사라지고, 고객의 욕구는 다양해지면서 시장과 기술의 급격한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이에 미래성장 동력의 창출과 산업 경쟁력 향상을 위한 융합역량의 중요성은 점점 강조되어지고 있다. 기업들은 산업 경쟁력의 제고를 통하여 최적화된 글로벌 경영의 환경을 조성하고, 융합기술 활용을 위한 방향성과 전략수립을 통하여 기업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혁신 수단들을 모색하여야 한다. 기업은 신제품 개발과 프로세스 혁신을 위한 내부적 자원기반인 동적역량들을 통하여 융합역량을 강화해 관련 신기술들을 최대한 수용하고 활용해야만 한다. 글로벌화된 시장과 기술에 대해서는 전략적 방향을 기업의 정형화된 기술역량에 맞추고, 프로세스에는 기술혁신에 필요한 융합역량을 반영할 때보다 높은 혁신성과를 기대할 수 있다. 시장과 기술지향성이 기술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동적역량과 융합역량이 기술혁신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와 동적역량과 융합역량이 시장과 기술지향성과 간의 매개역할을 복합 통합적으로 실증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를 위해 글로벌 및 다국적 기업으로 국제적 기업 활동 중 이거나 해외 지역에 본사를 두고 있는 기업들(51.4%)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가설을 수립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활용 경로분석과 소벨 테스트 등을 통해 실증 분석을 실시하였다.

콘텐츠 중심의 네트워크 기술 (Content Centric Networking Technology)

  • 김정임;정희영;박우구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25권6호
    • /
    • pp.136-143
    • /
    • 2010
  • 1990년 초 웹의 등장과 함께 인터넷의 전세계 확산으로 'Everything over Internet'은 시대적 요구가 되었다. 그러나 현재인터넷은 시대적 요구를 수용하기에는 인터넷 구조에 근본적인 문제가 제기되고 있어, 새로운 혁신적 접근(clean-slate approach) 방식의 미래인터넷에 대한 연구가 세계적으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고에서는 이러한 혁신적 미래인터넷 연구 기술의 하나인 콘텐츠 중심의 네트워킹 (content centric networking) 기술에 대해 분석한다. 콘텐츠 중심의 네트워크는 현재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데이터 서비스에 대해 보다 콘텐츠 중심의 전송 방식을 제공함으로써 더 빠르고 더 네트워크 공격에 강한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기술이다.

치안분야에서의 Big Data 활용 사례와 바람직한 공공 연구조직 설계

  • 권효진;이장재
    • 한국기술혁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기술혁신학회 2017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245-1262
    • /
    • 2017
  • 최근 범죄예측, 교통관리, 신원확인 등 다양한 목적으로 치안 분야에서 ICT 기술이 개발 이용되고 있다. 사물인터넷의 등장으로 인해 생성되는 데이터의 양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만들어진 빅데이터는 범죄분석 및 예방, 치안수요의 예측, 범죄 수사에 있어서 새로운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예고되고 있다. 새롭게 부각된 치안분야에서의 빅데이터 활용 서비스 사례로는 범죄 예측 서비스, 교통 관련 서비스, 영상 분석과 통합 관제 서비스, 웨어러블 폴리스캠 활용서비스, 신원 확인(바이오 인식 기술)서비스 등이 있다. 선진국에서는 이들 서비스를 개발하고 활용하기 위한 다양한 공공 연구조직이 설립되어 운영되고 있다. 본 고에서는 치안분야에서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국내외 서비스 사례와 함께 이를 수용하기 위한 바람직한 공공 연구조직에 대한 논의를 전개한다.

  • PDF

시대적 압박에 따른 응용기술 수용 정도의 조절 효과에 대한 실증 연구 : 대화형 인공지능 스피커의 확산 방안을 중심으로

  • 이지희;전소원;이종태
    • 한국기술혁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기술혁신학회 2017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297-1297
    • /
    • 2017
  • 본 연구는 대화형 인공지능 스피커의 수요 증진을 위한 새로운 비즈니스 전략 제시를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해당 IoT기기 소비자의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선정하여 집중적으로 고찰하고 각 요인 사이에 어떤 상관관계가 존재하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사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기기 사용에 대한 안전성이 확보 되었음을 의미하는 안전에 대한 신뢰도와 기술적 흐름에 따른 시대적 압박, 기기 사용으로부터 발생하는 쾌락적 동기와 실용적 동기, 기기의 혁신성으로부터 오는 차별적 동기를 고려하였다. 본 연구의 수행을 통해 모든 요인은 각각 소비자의 사용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특히 차별화 욕구와 쾌락적 동기, 실용적 동기 간에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을 것으로 나타낼 것으로 기대된다. 더불어, 본 연구의 핵심 연구 요인인 시대적 압박 요인의 경우 안전에 대한 신뢰도와 사용 의도에 있어 정의 영향을 주지만 차별화 욕구와 실용적 동기와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는 일반적인 연구 모델에서 취급되는 주요 요인들과 더불어 시대적 압박이라는 새로운 요인을 제시하고 그 영향력을 논증하여 융합형 기술에 기반한 새로운 비즈니스 전략을 제시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가치를 갖는다

  • PDF

스마트 의류에 대한 혁신기술수용모델(TAM)의 확장 (Extending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for Smart Clothing)

  • 채진미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99-110
    • /
    • 2009
  •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TAM) proposed by Davis(1989) has been applied as a reliable and robust model in the study of user’s adoption of different technologies. However it is necessary to incorporate additional constructs to the original model in the quest for increased predictive power. This study investigate consumer’s acceptance of smart clothing applied by the extended TAM. Besides perceived ease of use and perceived usefulness, clothing involvement is included in the extended TAM.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adults over 20 years old living in Seoul and other metropolitan areas from March 2 to March 12, 2009. 815 copies of data were analyzed to examine a structural model and test research hypotheses using AMOS package. The study showed the extended TAM for smart clothing was validated empirically in predicting the individual’s acceptance of smart clothing and 5 hypotheses among 7 hypotheses were supported. Specifically, perceived ease of use, perceived usefulness, and clothing involvement were the factors affecting attitude toward smart clothing. Attitude toward smart clothing was influenced directly by perceived usefulness and clothing involvement but influenced indirectly by perceived ease of use. Acceptance intention toward smart clothing was influenced strongly by attitude. From a theoretical point of view, the study extended the TAM for smart clothing. Moreover, this study would be beneficial for those who would develop smart clothing by providing information about attitude and acceptance intention of smart clothing consumers.

디지털 홈 거주자의 기술혁신성에 따른 특성 분석 (Analyses of Digital Home Residents' Characteristics by their Trait of Innovativeness toward Technology)

  • 권오정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08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332-337
    • /
    • 2008
  • The supply of digital homes has been increasing but digital home services which meet consumer needs under the various conditions have not identified.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sidents' characteristics living in digital apartments with comparison of their innovativeness toward technology. Residents who lived in two apartment complexes equipped with fundamental digital home services(Level 1 service) were selected to conduct the survey. A total of 500 responses were used for data analyses. Response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based on their innovativeness toward technology for data analyse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residents' socio-demographic and housing related characteristics differed according to their acceptance trait of new technology. Early adopters and early majority were younger, higher income, and more educated than late adopters. Also, they were more likely to be renters and consider installation of digital home services before they moved in. Respondents who had higher innovativeness tended to experience more positive life changes after using digital home services and possessed more and many digital appliances. Remote control and remote meter reading service were the most preferable features among digital home services without no differences in three groups.

  • PDF

디지털 홈 거주자의 기술혁신성 정도에 따른 개인적 특성 (Digital Home Residents' Personal Characteristics by their Trait of Innovativeness toward Technology)

  • 권오정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0권2호
    • /
    • pp.1-10
    • /
    • 2009
  • The supply of digital homes has been increasing but digital home services which meet consumer needs under the various conditions have not identified.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sidents' personal characteristics living in digital apartments with comparison of their trait of innovativeness toward technology. Residents who lived in two apartment complexes equipped with fundamental digital home services (Level 1 service) were selected to conduct the survey. A total of 500 responses were used for data analyses. Response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based on their innovativeness toward technology for data analyse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residents' sociodemographic and housing related characteristics differed according to their acceptance trait of new technology. Early adopters and early majority were younger, higher income, and more educated than late adopters. Also, they were more likely to be renters and consider installation of digital home services before they moved in. Respondents who had higher innovativeness tended to experience more positive life changes after using digital home services and possessed more and many digital appliances. Remote control and remote meter reading service were the most preferable features among digital home services without no differences in three groups.

스마트 헬스케어 의류 구매의도에 대한 성별과 연령대별 영향 요인 - 기술수용모델(TAM), 의복속성, 건강라이프스타일, 패션혁신성을 중심으로 - (Influencing factors on purchase intention for smart healthcare clothing by gender and age - Focused on TAM, clothing attributes, health-lifestyle, and fashion innovativeness -)

  • 한희정
    • 복식문화연구
    • /
    • 제27권6호
    • /
    • pp.615-631
    • /
    • 2019
  • Smart healthcare clothing combines IoT, new technology, and clothing construction to perform specific care functions, and its utility has been expanding rapidly within aging and diversified societies. However, the related market remains at an early stage of development due to limited regulation, lack of consumer awareness, and the need for not only technical development but promotion plans for potential users. This paper aims to analyze factors influencing purchase intention for smart healthcare clothing with biosignal monitoring, including variables in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 clothing attributes, health-related lifestyle factors, and fashion innovativeness. A survey was conducted on a sample of 300 males and 300 females ranging in age from 20 to 50 years, an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1.0. The results show that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aesthetic attributes, health responsibility, and fashion innovativeness were overall significant predictors of using smart healthcare clothing. Additionally, perceived ease of use and physical activity in the male subsample, and perceived compatibility within the female group, also had significant effects. Furthermore, age was a determining factor; for subjects in the 30s age group, perceived usefulness, compatibility, and health responsibility had significant positive associ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provide basic guidelines for designing merchandising plans to expand user acceptance of smart healthcare clothing.

인공지능(AI)스피커 사용의도에 관한 연구: 확장된 기술수용모델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ntention to Use AI Speakers: focusing on extend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 김배성;우형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9호
    • /
    • pp.1-10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AI 스피커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외생변인들의 영향력을 살펴보는 것이다. 개인적 특성(자기효능감, 혁신성, 적합성, 즐거움)과 사회적 영향(사회적 동조, 사회적 이미지)이 인지된 유용성과 인지된 용이성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인지된 유용성과 용이성이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305명에 대한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첫째,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동조가 인지된 용이성에 대해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혁신성은 인지된 유용성에 대해 부적 영향을 나타냈고, 적합성과 사회적 이미지는 정적 영향력을 나타냈다. 셋째, 인지된 유용성과 인지된 용이성은 사용의도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COVID-19 이후 체크인카운터 기술기반셀프서비스에 대한 항공여객의 인식과 수용성 연구 - 혁신성 매개효과를 포함하여 - (Passengers' Perception and Their Acceptance of Technology-Based Self Service at Check-In Counter in Airport after COVID-19 Pandemic - Including Mediating Effect of Innovation -)

  • 서옥명;김기웅;전종덕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5-35
    • /
    • 2021
  • Before COVID-19 outbreak in 2019, it is the core value of airline's service to provide check-in service to passengers face to face. However, due to the global pandemic of COVID-19 outbreak, it is expected the airline service in the future would be dramatically changed from being contacted to being untacted with technology-based self service(TBSS). This paper analyzed the perception of passengers using self service technology and their acceptance. According to empirical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change of passengers' perception after COVID-19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innovation of TBSS. The innovation of TBSS(Effectiveness and certainty) had both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passengers' acceptance on TBSS at airport. Among variables of TBSS, convenience rather than usefulness of TBS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intention to use TBSS of passengers. It was proposed that airlines not only contribute to increase acceptance of TBSS but also inform and promote the prevention effect of TBSS and the importance of untact service to minimize congestion at check-in counter in airpo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