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혀 운동

검색결과 45건 처리시간 0.025초

혀 운동(tongue exercise)이 연하장애를 가진 뇌졸중 환자에게 미치는 효과 : 체계적 고찰 (Effect of Tongue Exercise on Stroke Patients With Dysphagia : A Systematic Review)

  • 손영수;최유임
    • 재활치료과학
    • /
    • 제11권3호
    • /
    • pp.7-22
    • /
    • 2022
  • 목적 : 본 연구는 연하장애를 가진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혀 운동을 체계적으로 분석한 논문이다. 혀 운동에 대한 전반적인 효과를 검증하고,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혀 운동에 대한 경향을 파악하는데 그 목적을 가지고 근거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PRISMA(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is) 체크리스트 및 흐름도를 이용하여 체계적 고찰을 시행하였다. 데이터베이스는 PubMed, MEDLINE, CINAHL, RISS, e-article 을 통해 문헌 검색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문헌의 수는 총 6편이었고, 문헌의 질을 평가하기 위하여 PEDro scale(Physiotherapy Evidence Database scale)을 사용하였다. 결과 : 분석된 논문 6편에서 3가지의 중재 방법이 포함되었다. 혀 운동의 종류로는 혀 근력훈련 3편, 혀 근력 및 정확도 훈련 2편으로 모두 아이오와 구강 수행 도구를 통한 중재를 시행하였고, 혀 신장훈련을 적용한 논문이 1편이었다. 조사된 문헌에서 시행한 중재 별 치료 효과는 모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하지만 대부분 표본수가 적어 일반화 시키기는 어려울 것으로 생각되며, 실험군과 대조군 비교 시 몇몇 그룹 간에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은 결과들이 있는 만큼 전통적 연하재활치료도 구강기 연하장애를 가지고 있는 환자들에게 적절한 치료 방법으로 판단된다. 결론 : 본 연구는 작업치료사들이 연하장애를 가진 뇌졸중 환자들에게 혀 운동을 적용함에 있어 효율적인 연하재활치료를 제공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며, 혀 운동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더 많은 연구축적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자발적 혀 저항 운동이 뇌졸중 환자의 삼킴기능에 미치는 효과: 사례연구 (Effects of a Tongue Self-Resistance Exercise on the Swallowing Function of Patients With Stroke: Case Report)

  • 남경완
    • 재활치료과학
    • /
    • 제7권4호
    • /
    • pp.43-55
    • /
    • 2018
  • 목적: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자발적 혀 저항 운동을 적용하여 삼킴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2012년 9월 3주간, 2014년 2월 3주간 각각 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사례연구였다. VFSS검사 이후 환자의 동의를 받고 매일 1회기씩 주 5회로, 3주 동안 진행하였다. 자발적 혀 저항운동은 혀 내밀기, 혀 옆으로 밀기, 혀로 입천장 밀기로 구성하였다. 중재는 한 회기 당 각각 운동별로 10회를 1세트로 총 3세트를 진행하였다. 결과: 자발적 혀 저항 운동 프로그램은 삼킴 장애 정도에서 VFS점수가 하강한 것으로 보아 삼킴 기능이 향상되었다. 둘째 자발적 혀 저항 운동 프로그램은 FOIS점수가 향상된 것을 바탕으로 구강섭취능력이 향상되었다. 결론: 삼킴 장애가 있는 뇌졸중 환자에게 환자 스스로 저항을 적용하는 자발적 혀 저항운동을 제공하였을 때 이들의 삼킴 기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혀 저항정확도훈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혀 근력과 구어기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ongue Pressure Strength and Accuracy Training on Tongue Strength and Speech Function of Chronic Stroke Patients)

  • 김보중;마성룡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1호
    • /
    • pp.156-166
    • /
    • 2017
  • 본 연구는 만성 뇌졸중 환자들을 대상으로, 혀의 객관적인 수치로 측정할 수 있는 기계(Iowa Oral Performance Instrument, IOPI)를 사용하여 혀의 최대 저항 훈련프로그램을 수정하고, 혀 정확도 훈련을 추가한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혀 근력과 구어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하고자 실시하였다. 뇌졸중으로 진단받은 입원 및 외래환자를 각각 20명씩 실험군인 혀 저항정확도훈련 치료군과 대조군인 구강안면운동 치료군으로 나누어 각 치료를 대상자들에게 총 4주간 30분씩, 주 5회 실시하였고, 혀 근력과 구어기능 능력을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중재 전, 후에 혀 전방거상 압력(Anterior Tongue Pressure; ATP), 혀 후방거상 압력(Posterior Tongue Pressure; PTP), 최대발성시간(Maximum Phonation Time; MPT)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중재 전 후 혀 저항정확도훈련 치료군과 구강안면운동 치료군의 혀 근력과 구어기능은 유의하게 향상하였으나, 두 군 사이의 비교에서 혀 저항정확도훈련 치료군과 구강안면운동 치료군 간의 혀 근력과 구어기능의 변화량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혀 저항정확도훈련이 기존 구강안면운동 치료보다 혀 근력 및 구어기능 향상에 효과적이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하장애 환자의 혀 운동 및 측정 도구에 대한 고찰 (A Literature Review of Tongue Movement and Measurement Tools for Dysphagia)

  • 김진영;손영수;홍덕기
    • 재활치료과학
    • /
    • 제11권4호
    • /
    • pp.55-68
    • /
    • 2022
  • 서론 : 본 연구는 연하장애 환자의 혀 운동 및 측정 도구들에 대한 고찰을 통해 도구의 원리와 특징을 확인하여 임상 적용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론 : 연하재활 분야에서 혀 운동 및 측정 도구로 활용되고 있는 15개의 도구를 확인하였고, 원리에 따라 벌브 센서 원리, 저항 센서 시트 원리, 마우스피스형 센서, 기타 기술의 도구로 분류하였다. 벌브 센서는 IOPI, KSA, TPM-01이 있었으며, 사용방법이 다소 간편하지만 혀의 압력 측정 시 위치 고정에 대한 제한점이 있었다. 저항 센서 시트는 I-SCAN, KEI, IPMD, PRESLA가 있었고, 모두 입천장에 고정이 가능하여 벌브 센서 원리에 비해 안정적인 위치에서 혀 압력 측정이 가능하다. 하지만 제작과정이 복잡하고, 많은 비용이 소모된다는 단점이 있었다. 마우스피스형 원리는 MOST, T-Station, SwallowSTRONG, LFDS가 있었으며, 도구의 특성상 개인의 구강에 맞게 제작되어 혀 압력 측정 시 고정이 가능하고, 안정적인 측정이 가능하다. 하지만 제작 과정에서 많은 비용이 발생하며, 세밀한 움직임의 측정과 내구성에 제한점이 있었다. 기타 도구로는 OPG, TTS, OroPress, TPWA가 있으며, 빛 감지의 원리와 무선 측정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신뢰도와 타당도가 입증되지 않아 추후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결론 : 본 연구는 1990년대부터 현재까지 개발된 혀 운동 및 측정 도구들의 분석을 통해 연하재활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는 정보를 제시하였다. 이에 임상에서 도구의 선택 과정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에는 기존 도구들의 장단점들을 고려하여 임상뿐만 아니라 가정에서도 활용 가능한 혀 운동 및 측정 도구 개발이 필요하다.

스마트폰을 사용한 구강안면 운동 프로그램이 삼킴장애가 있는 급성 뇌졸중 환자의 삼킴기능과 혀 근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Orofacial Exercises Program using Smart Phone on Swallowing Function and Tongue Strength in Acute Stroke Patients with Dysphagia)

  • 문종훈;원영식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10호
    • /
    • pp.995-1002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폰을 사용한 구강안면 운동 프로그램이 삼킴장애가 있는 급성 뇌졸중 환자의 삼킴기능과 혀 근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삼킴장애가 있는 급성 뇌졸중 환자 1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에 참가한 모든 대상자들은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8명씩 무작위 배정되었다. 두 그룹의 대상자들은 4주간 주 5회, 하루 30분의 보편적인 삼킴장애 치료를 받았다. 실험군은 스마트폰을 사용한 구강안면 운동 프로그램을 보호자의 감독 하에 추가적으로 30분씩 더 수행하였다. 결과측정은 흡인-침습 척도, 후두계곡 잔여물, 조롱박오목 잔여물, 혀의 최대 등척성 압력을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두 그룹은 중재 전과 후에 모든 평가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p<.05). 두 그룹 간 변화량 비교에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후두계곡 잔여물과 혀의 최대 등척성 압력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p<.05). 스마트폰을 사용한 구강안면 운동 프로그램은 삼킴장애가 있는 급성 뇌졸중 환자의 인두 내 잔여물 감소와 혀 근력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중재방법으로 사료된다.

개의 혀 뿌리에서 발생한 편평세포암종 (Squamous Cell Carcinoma in the Base of the Tongue in a Dog)

  • 김세은;김승현;심경미;배춘식;강성수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30-33
    • /
    • 2016
  • 혀 뿌리 부위의 종양, 특히 종양이 정상으로 보이는 점막 아래에 위치해 있는 경우 발견하고 진단하기가 어렵다. 전산화단층촬영법, 특히 조영후 영상은 혀의 종양을 평가하고 경부 림프절을 포함한 인근 조직을 평가하기에 유용하다. 그러나 종양을 확진하기 위해서는 조직병리검사가 필요하다. 본 증례는 개에서 혀의 뿌리부터 몸통에 걸쳐 종양이 발생하였으며 환자는 유연과다 및 섭식장애 증상으로 전원되었다. 구강검사 결과 혀의 운동성 장애가 관찰되었으며 전산화단층촬영으로 혀 종양이 확인되었다. 2달 뒤 사후에 개의 혀에서 조직을 채취하여 조직병리검사를 실시한 결과 혀의 종양은 편평세포암종으로 진단되었다.

부분 혀 절제술로 인해 연하 장애가 있는 환자에서 상악 구개 증대 총의치 제작 증례 (Case of making maxillary palatal augmentation complete denture for patient with dysphagia after partial glossectomy)

  • 김형석;박지영;임선영;허유리;손미경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4권3호
    • /
    • pp.239-245
    • /
    • 2018
  • 만약 혀 절제술로 인해 식괴의 형성 및 이동에 장애가 생기는 경우, 식괴가 기도를 막거나 기도로 흡인되는 연하장애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런 경우에 구개 증대 보철물은 도움이 될 수 있다. 구강암으로 인해 부분 혀 절제술을 받은 후 음식물을 삼키기 어렵다는 주소로 내원한 환자에게 혀의 기능 운동을 인기한 상악의 연마면 인상채득을 통해 구개 증대 보철개념을 활용한 상악 총의치를 제작하여, 구개-혀 접촉 압력을 증가시켜서 연하 및 발음에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말더듬(Stuttering) 환자에 대한 보툴리눔독소의 주입 효과

  • 최홍식;김영호;표화영;홍원표
    • 대한음성언어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음성언어의학회 1997년도 제8회 학술대회 심포지움
    • /
    • pp.262-262
    • /
    • 1997
  • 말더듬(stuttering)이란 언어-운동조절의 장애를 일으키는 운동장애(movement disorder)의 일종으로 혀, 입술, 후두를 이루는 근육과 호흡근육 등의 시간적인 부조화(inappropriate timing)로 특징지어지는 유창성장애(fluency disorder)의 하나로 인식되어 왔다. 여태까지 행동치료(behavioral treatment), 정신과적인 치료(psychiatric modalities)등이 치료의 방법으로 이용되어왔으며, 초기에는 비교적 좋은 반응을 보이나 지속적인 효과에 대해서는 회의적인 경우가 많았다. (중략)

  • PDF

Trill 발성시 전기성문파 측정법상에서 나타난 성대점막운동의 변화

  • 진성민;반재호;이경철;권기환;이용배
    • 대한음성언어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음성언어의학회 1999년도 제12회 학술대회
    • /
    • pp.176-176
    • /
    • 1999
  • 배경 : trill은 혀의 첨부가 호기에 따라 진동하면서 경구개 전방에 부딪혀 나는 소리로 주로 "르" 발음으로 들린다. trill은 성악가들에게는 발성전에 후두의 준비운동으로 사용되고, 성대수술 반흔에 의한 애성환자나 노인성 음성장애환자의 음성치료에도 이용되고 있다. 목적 : trill을 실시할 때 전기성문파 측정법상에서 나타난 성대점막의 움직임을 조사하고 효과적인 trill 기법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중략)

  • PDF

후두와 성도의 해부, 생리 및 병리

  • 정광윤
    • 대한음성언어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음성언어의학회 1995년도 제4회 학술대회 심포지움 및 워크샵
    • /
    • pp.63-78
    • /
    • 1995
  • 음성의 생성기전은 폐의 호기에 의하여 성대가 진동하여 원음이 발생하고, 원음이 하인두, 구인두, 비인두, 구강 등의 성도를 통과하면서 공명이 일어나며, 혀와 입술의 운동에 의하여 조음이 일어나서 결국은 음성이 생성되게 된다. 저자는 음성을 생성하는 후두 및 성도의 음성외과학적 구조 및 생리에 대하여 주로 언급하고, 성도에 발생하는 다양한 질환중 음성에 영향을 주는 질환만을 선택하여 간략히 설명하고자 한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