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헬기운항안전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31초

헬기 운항안전 향상을 위한 북미지역의 개발 동향 (Development Trends of North America to Enhance the Flight Safety of Helicopter)

  • 오경륜;최석;박중용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798-803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헬기운항안전 향상을 위한 북미대륙의 활동들을 소개하였다. 북미지역에서는 2009년 기준으로 전세계 민간헬기의 49%가 운용되고 있어, 이 지역에서의 헬기 운항안전을 위한 개발동향은 여타 헬기 운용지역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대규모 헬기가 운용되는 멕시코만의 헬기 운항안전을 위한 개발 사례와 미국 연방항공청(FAA, Federal Aviation Administration)의 NextGen 프로그램 및 국제민간항공기구 (ICAO, International Civil Aviation Organization)의 항공시스템블록업그레이드(ASBU, Aviation System Block Upgrades) 계획 실행을 위한 캐나다 계획 분석을 통해 헬기 관련 인프라 구축 동향 및 향후 헬기 운항안전 증진을 위해 나아갈 바와 기대효과에 대해 정리하였다.

야간산불진화 헬기 운영과 항공안전 (Night fire fighting helicopters operations and Aviation Safety)

  • 최연철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45-151
    • /
    • 2014
  • Not only in Korea, but also in other countries, most helicopter accidents occur at low altitude. Analysis on accidents data collected both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has brought two conclusions. Firstly, helicopter operations during the night hours carries a high risk. Secondly, the most common cause of night hour operations is loss of control due to the flight illusion. As an operation relying on a night vision in particular has a very high accident hazard, accompanying instruments such as NVG are ought to be provided. Hence, a thorough preparation and inspection on missions for night forest fire extinguishing should be required and perfect guidelines/road maps and enough training programs for the operation should be provided before the engagement in missions.

헬기의 안전운항을 위한 운항정보 시스템 개발 (The Development of Helicopter Aviation Information System for Safe Flight)

  • 강태호;서성철;이종훈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31-136
    • /
    • 1995
  • 본 논문에서는 헬기의 3차원 위치와 미리 입력된 지형정보를 이용하여 헬기의 안전운항을 보조할 수 있는 헬기용 통합 항법 시스템 개발에 대하여 설명한다. 개발된 헬기용 통합 항법 시스템은 수치지도영상자료 및 현 위치 디스플레이, 항로설정, 설정된 항로로부터의 이격정도를 나타나는 이격거리 계산과 표시, 헬기의 안전고도 유지를 위한 지형자료의 단면도 추출 및 디스플레이, 그리고 헬기의 속도, 진행방향 등의 각종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한다. 이 시스템은 헬기의 현위치 결정을 위하여 GPS 시스템을 이용하며, 현위치 표시를 위하여 1:250,000 도엽을 스캐닝하여 수치지도자료를 작성하였고, DEM 자료부터 추출된 고도자료를 이용하여 헬기의 안전 단면도를 작성하였다. 또한 UTM좌표, 경위도좌표, 헬기장 위치 데이타베이스, 지도상에서 검색과 입력 등 다양한 방법에 의한 항로설정기능이 제공되고, 진행방향, 진행거리 등 각종 운항정보를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하며, 일관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 PDF

한국에서의 응급의료헬기 운영과 운항안전 (EMS Helicopter Operation and Flight Safety in Korea)

  • 최연철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117-122
    • /
    • 2011
  • EMSS is the organic system offering quick and efficient transfer and treatment for those who need an emergency service. For EMS aviation operation is the important transportation for the common benefits. There are several types of aviation operation. Among the different types of the operations, helicopter operation is very common because it is free from any locations. Notwithstanding the benefit, various types of EMS helicopter accidents and incidents are occurred because of its poor operation condition. In South Korea, even though so much effort was put to decrease the accidents rates, there are still many accidents happening by fire helicopters and the forest service helicopters. Therefore, in order to regularize the EMSH operation, measures for the aviation safety have to be prepared. This research is, related to the EMSH, focused on the suggestion of safety measure for the EMSH in Korea based on the accidents analysis in various countries.

저속 항공기를 위한 35GHz 다기능 항행 레이다 설계 (The Design of 35GHz Multi-Purpose Navigation Radar For Lower Speed Aircraft)

  • 문상만;김현경;이상종;김인규;김태식;이해창
    • 한국항공운항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공운항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247-252
    • /
    • 2004
  • 민항기나 군용항공기의 경우 대부분 항행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레이다가 부착되어 있으나, 소형항공기 및 저가의 헬기의 경우 무게, 비용 등의 제약으로 항행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레이다가 장착되어 있지 않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민항기 및 군용 항공기뿐만이 아니라 헬기 및 소형항공기에 장착하여 충돌감지, 이착륙보조, 기상관측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레이다로 35GHz 밀리미터 대역의 항공기 탑재형 레이다의 적용에 대한 제반 요건과 필요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리고 제안된 레이다를 이용하면, 저속 항공기 및 헬기에서는 치명적인 사고를 유발시킬 수 있는 전력선 탐지가 가능함을 확인함으로써, 제안된 레이다가 항행 안전성을 높일 수 있음을 보임으로써 밀리미터 대역 레이다의 적용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 PDF

응급의료 전용헬기의 운용 안전성 확보 방안에 대한 연구 (A Study on Improve Operational Safety of HEMS)

  • 최연철;김영록;최성호;배택훈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22-129
    • /
    • 2020
  • Korea's HEMS are mainly operated during the week, but they are pushing for 24-hour operations. This study has made an overall comparison and review of helicopter safety management that should be accompanied to this end. For research purposes, helicopter regulations and helicopter accident statistics were analyzed, with a high accident rate associated with pilot error and night flight. It was proposed that future preparations would require reinforcement of laws and regulations, reinforcement of pilots' night training, and introduction of training and preflight risk assessments. This study will provide a direction for future helicopter safety. This study will provide for future direction of helicopter safety research.

미국의 민수용 단발-쌍발 터빈엔진 헬기 사고 경향분석

  • 이정훈;김영일
    • 항공우주산업기술동향
    • /
    • 제5권1호
    • /
    • pp.25-31
    • /
    • 2007
  • 헬리콥터와 같이 비행 중 고장 또는 작동 불능 시 대처가 용이하지 않고 대형의 참사로 이어지는 비행체에 대해서는 안전이 최우선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미국의 국가교통안전위원회에서는 1963년부터 1997년까지 34년간 민간부문의 회전익기의 사고를 조사하여 분석한 바 있다. 본 논문은 터빈엔진 헬리콥터의 사고 동향을 파악하여 헬리콥터 안전 운항에 기여하고, 또한 한국형 중형 민수헬기를 개발하기에 앞서 주요 설계요소를 고려하기 위하여 NTSB에서 미국의 민수용 단발 및 쌍발 터빈 엔진 헬리콥터 사고에 대하여 유형별로 집계, 조사한 결과를 인용하여 전반적인 사고 경향, 사고 유형 또는 원인, 활동별, 운용 단계 별에 사고에 대하여 심층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 PDF

산불진화 헬기의 물 살포유형 분석에 관한 연구 (Analysis of the Helicopter Fire Attack Pattern on Forest Fire Behavior)

  • 이시영;배택훈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3권2호
    • /
    • pp.96-100
    • /
    • 2009
  • 우리나라는 최근 숲이 우거져 있어 산불이 발생하면 대형화 위험성이 증대하고, 인력접근이 제한되어 항공기에 의한 진화율이 90% 이상이 된다. 그러므로 항공기 특히 헬기의 산불진화 활용성은 점차 증대 될 전망이다. 아울러 산불진화의 전 과정에 있어서 헬기 물 살포 기술은 안전한 헬기운항과 효율적인 산불진화의 성공요인으로서 특히, 표준화된 물 살포 기술은 매우 필요하다. 그러나 아직 헬기 물 살포 기술이 표준화 되지 않으므로 인하여 산불진화의 효율성과 안전성이 떨어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산불 현장 공중진화 경험을 바탕으로 11개의 헬기 물 살포 유형을 제안하였다.

밀리미터파 레이다 시스템을 이용한 전력선 검출

  • 강금실;용상순;강성덕;김정아;장영준
    • 항공우주기술
    • /
    • 제3권1호
    • /
    • pp.242-250
    • /
    • 2004
  • 군용뿐만 아니라 상업용으로 헬리콥터의 사용 빈도가 높아지면서, 무엇보다 헬기의 안정성이 가장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 단순히 조종사에 의한 시계 비행을 할 경우 야간 운항이 불가능하며 안개, 눈, 비 등의 기후 조건에서는 매우 불안전하다. 그리고 주간 비행 중에도 전선과 같은 장애물로 인한 사고가 발생하고 있다. 그러므로 헬기의 안전운항을 위해서는 단순한 시계 비행에서 벗어나 장애물 탐지 시스템을 이용한 자동항법 개념을 도입해야 한다. 자동항법을 위한 장애물 탐지 시스템은 안개, 눈, 비 등의 기후 조건하에서 주간 및 야간에도 정상적으로 동작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밀리미터파 레이다 시스템을 이용하여 전선 장애물의 탐지 기술 획득을 위한 기초 연구를 수행하였다. 서론에서는 헬기 운항에 장애가 되는 요소들을 탐지하기 위한 여러 방법들에 대해서 살펴봤다. 본론에서는 밀리미터파를 이용한 장애물 탐지 시스템과 실험 장치에 대해서 다루고 결론에서는 실험 결과 및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해서 다루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