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허리안정화근육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22초

정상 성인에서 앉은 자세에 적용한 복부 드로우인 기법이 파악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bdominal Drawing-in Maneuver Aapplied to Sitting Position in Healthy Adult on Grip Power)

  • 김창숙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475-482
    • /
    • 2020
  • 허리 안정화 근육들을 강화하기 위해 실시하는 복부 드로우인 기법(ADIM)은 복부내압을 상승시켜 배가로근(TrA)과 배속빗근(IO)을 선택적으로 수축시키는 운동법이다. 본 연구는 일상생활에서 많이 사용하는 자세인 앉은 자세에서 ADIM을 실시했을 때 파악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정상 성인 30명을 대상으로 앉은 자세에서 ADIM을 실시하도록 한 후 실시하지 않은 상태와 실시한 상태에서 각각 파악력을 측정하여 앉은 자세에서 실시한 ADIM이 파악력에 미친 영향과 가장 많은 영향을 발휘하는 근육이 있는지 알아보았다. 측정에 동원된 근육은 RA, EO, IO/TrA, 그리고 ES로 ADIM 적용 시 가장 활성화된다고 알려진 허리 안정화 근육들이다. 연구 결과 앉은 자세에서 실시한 ADIM이 실시하지 않은 자세 보다 모든 근육들의 활성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파악력 또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측정된 각 근육의 차이값을 비교해 어떤 근육이 파악력에 더 큰 영향을 알아보았으나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낸 근육은 보이지 않았다. 이는 특정 근육이 파악력에 영향을 미친 것이 아니라 복부내압의 증가가 파악력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앉아서 오랜 시간 생활하는 일반인들의 일상생활에 파악력 증가와 허리 안정성 향상을 위한 치료적 중재방법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제안할 수 있겠다.

불안정 지지면에서의 동적 안정화 운동이 허리근육의 두께 및 밀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dynamic stabilization exercise on unstable surface on thickness, density of back muscle)

  • 한종만;박재철;김금숙;김현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1957-1963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불안정 지지면에서의 동적 안정화 운동이 배가로근과 뭇갈래근의 두께와 밀도 및 백색영역지수(white area index, WAI)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연구대상은 20대 성인 27명이며 세 그룹으로 나누어 각기 다른 면에서 동적 안정화 운동을 6주 동안 실시하여 실험 전 후에 배가로근과 뭇갈래근의 두께와 근육 밀도, 백색영역지수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세 그룹 간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다(p<.05). 반복측정분산분석(repeated ANOVA) 결과, 배가로근과 뭇갈래근의 두께가 시기별 차이에서 그룹 간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으며(p<.05), 뭇갈래근의 근육 밀도와 백색영역지수의 그룹 간 비교결과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다(p<.05). 결론적으로 불안정 지지면에서 허리부 안정화 운동의 효과에 의미있는 차이가 있었고 이 같은 결과는 허리안정화 운동에 대한 추후 연구에 기초 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척추안정화 운동이 민간 경호.경비원들의 허리통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pinal stabilization training on Chronic Low Back Pain in Private Guard and Security)

  • 김성호;이완희
    • 시큐리티연구
    • /
    • 제20호
    • /
    • pp.71-93
    • /
    • 2009
  • 이 연구는 만성요통을 가진 민간 경호 경비원들을 대상으로 척추안정화 운동을 실시하여, 허리통증, 일상생활제한, 척추심부근육의 근단면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서울 경기 지역 경호 경비업체에 종사하는 직원 중 만성요통(3개월 이상)을 호소하는 42명을 대상으로 일반적인 척추강화운동그룹, 척추안정화 운동 그룹으로 21명씩 무선 할당하여, 주 3회, 10주간 운동을 실시하였다. 실험 전 후 설문지를 이용하여 허리통증과 요통장애지수를 조사하였으며, 컴퓨터 단층촬영(CT)을 실시하여 다열근과 대요근의 근단면적을 측정하였으며, 실험 전 후 변화된 값을 비교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통증강도와 요통장애지수는 두 그룹 모두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p<0.01). 그룹 간 비교에서는 척추안정화 운동그룹이 일반적인 척추강화 운동그룹에 비하여 통증 및 일상생활제한의 감소폭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p<0.05). 2. 두 그룹 간 다열근과 대요근의 근단면적 변화는 척추안정화 운동그룹이 일반적인 척추강화 운동그룹 보다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이 연구 결과를 볼 때, 만성요통을 호소하는 민간 경호 경비원들을 대상으로 다열근과 대요근과 같은 심부근육 강화에 초점을 둔 척추안정화 운동프로그램이 일반적인 척추강화 운동프로그램 보다 통증 및 요통장애지수 감소와 심부근육의 근력 증가(근단면적)에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척추안정화 운동이 만성요통 민간 경호 경비원들의 요통감소와 기능 회복에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겠다.

  • PDF

허리안정화운동이 뇌졸중환자의 호흡압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 on respiratory pressure in stroke patients)

  • 박신준;오대식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9호
    • /
    • pp.357-364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뇌졸중 환자의 허리안정화운동이 들숨 및 날숨 압력에 미치는 시기별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뇌졸중 환자 36명을 각각 허리안정화운동군 17명과 일반적 물리치료운동군 19명으로 나누어 중재를 실시하였다. 두 군 모두 호흡압력 측정기를 이용한 들숨 및 날숨 압력을 운동전, 4주와 8주에 걸쳐 측정하였다. 최대날숨압력에서 허리안정화운동군은 시기에 따라 운동전, 4주, 8주 모두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나 일반적 물리치료 운동군은 모든 시기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최대들숨압력에서 허리안정화운동군은 시기에 따라 운동전보다 4주, 4주보다 8주는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운동전보다 8주는 유의한 증가가 있었다. 일반적 물리치료운동군의 모든 시기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두 군간 변화량 차이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를 통해 허리안정화운동이 뇌졸중 환자에 날숨압력 개선에 효과적인 것을 알 수 있었고, 이 운동을 지속적으로 한다면 들숨압력에도 효과적인 방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연구에서 허리안정화운동 후 개별적 호흡근육 측정이 연구되기를 기대한다.

앉은자세에서 실시하는 복부드로우인기법의 효과 (Effect of Abdominal Draw In Maneuver in Sitting Position)

  • 김선칠;김신균;김창숙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207-214
    • /
    • 2017
  • 몸통안정성에 문제가 발생하면 허리에 통증이 발생된다. 허리 불안정성을 해소하기 위한 몸통안정화운동 방법 중 하나인 복부드로우인기법(ADIM)은 복부안정화근육 중 선행적자세조절과 관련된 배가로근에 대한 선택적인 수축을 유도하는 운동법이다. ADIM은 일반적으로 바로누운자세에서 허리 밑에 압력생체되먹임장치(PBU)을 적용하여 시각적되먹임을 한 상태에서 실시하는데 이러한 자세는 앉은자세에 비해 기능적이지 못하다. 본 연구에서는 바로누운자세와 앉은자세에서 실시하는 ADIM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31명의 건강한 남녀를 대상으로 무선 근전도를 이용해 배곧은근(RA), 배바깥빗근(EO), 배가로근/배속빗근(TrA/IO), 그리고 척추세움근(ES)에 대한 근활성도를 비교하였다. 본 연구 결과 RA와 EO에서는 두 자세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TrA/IO와 ES에서는 두 자세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 RA에 비해 TrA/IO의 활성도가 높게 나타나 ADIM로 인한 몸통안정화는 두 자세 모두에서 효과적으로 나타났으며 반면 TrA/IO와 ES는 앉은 자세에서 더 높은 활성도를 보여 자세 안정화 근육의 활성도가 앉은 자세에서 더 증가한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일상생활에서 보다 쉽게 적용할 수 있는 앉은 자세의 ADIM은 허리안정성 향상에 유용할 것이다.

승마 운동과 McKenzie 운동이 만성허리통증환자의 허리통증과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Horse riding exercise, McKenzie Exercise on back pain and muscle activity in patients with low back pain)

  • 정남진;김기현;김현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2호
    • /
    • pp.502-509
    • /
    • 2020
  • 본 연구는 승마운동, 멕켄지운동과 짐볼운동이 만성허리통증환자의 허리기능과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대상자는 한국판 허리기능장애지수 5점 이상이고 만성허리통증을 가지는 성인 3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본 실험은 2020년 5월부터 6월까지 진행되었다. 대상자는 무작위로 승마운동그룹 10명, 멕켄지운동그룹 10명, 짐볼운동그룹으로 분류되어 주 3회 6주간 운동을 실시하였다. 운동 전·후 통증을 평가하기 위하여 허리기능장애지수를 사용하였으며, 허리안정화근육의 활성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표면근전도 장비를 사용하였다. 또한 그룹 내 운동 전·후의 변화를 검증을 위하여 대응 t-검정을 실시하고, 세 그룹 간 운동 전·후 변화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허리기능장애지수와 근활성도 변화에서 그룹 내 운동 전·후의 변화와 그룹 간 유의한 변화를 나타내었다(p<.05). 승마운동과 멕켄지 운동이 모두 만성허리통증환자의 통증으로 인한 허리기능장애와 허리부의 안정화에 효과적인 운동방법으로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요통환자의 체간근 활성도 및 통증과 Bodyblade 훈련의 융합관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Bodyblade Training of Convergency Relation of Trunk Muscles Activity and Pain in Patients with Low Back Pain)

  • 박치복;정은호;이호식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11호
    • /
    • pp.123-131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만성 요통 환자의 근육 활성도 및 몸통 통증 에 대한 bodyblade 훈련의 영향을 알아보았다. 연구를 위해 30 명의 피험자 샘플을 모집하여 실시하였다. Bodyblade 훈련 그룹 (n = 10)은 6주 동안 주 3 회 bodyblade 훈련을 실시하였고, 요추 안정화 훈련 그룹 (n = 10)은 6 주 동안 주 3 회 요추 안정화 훈련을 실시하였다. 대조군 그룹 (n = 10)은 다른 어떤 훈련도 실시하지 않았다. 몸통 근육 활성도의 평가를 위해 표면 근전도를 사용하였고 통증 평가를 위해 VAS를 측정 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 몸통 근육의 활성도와 통증변화에 있어 측정 시점과 상호작용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그 결과, bodyblade 훈련은 만성요통환자의 효과적인 중재 방법이 될 수 있을 거라 기대된다.

진동자극 저항운동이 허리통증 경험자의 균형과 보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Resistance Exercise with Vibration Stimulation on Balance and Gait of Experienced Back Pain Adults)

  • 고민균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221-230
    • /
    • 2020
  • 본 연구는 진동자극 저항운동이 허리통증 경험자의 균형 및 보행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30명의 히리통증 경험이 있는 성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8 Hz 진동자극 저항운동(n=10), 30 Hz 진동자극 저항운동(n=10), 허리 안정화운동(n=10)으로 무작위로 나누었다. 각 그룹의 중재는 6주동안 주 3회, 1회에 30분을 적용하였다. 실험 전에 정적균형과 보행패턴을 측정하였고, 6주 후에 실험전과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세 그룹 모두에서 운동전과 후의 시간에 따른 정적균형, 디딤기율, 흔듦기율, 한걸음 길이, 한발짝률의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허리 안정화운동이 정적균형과 디딤기율에서는 그룹 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5), 흔듦기율 및 한걸음 길이와 한발짝률은 그룹 간의 차이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진동자극 저항운동이 근수축 유발 기전에 의해 다리근육의 근력을 강화하였고, 강화된 다리 근력은 균형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향상된 균형능력은 신체가 움직이는 동안 안정적으로 자세를 조절할 수 있게 하여 보행능력의 긍정적 측면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30Hz 전신 진동운동이 척추세움근의 두께와 기계적 속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30Hz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on the Thickness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Erector Spinae)

  • 박재철;김용남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45-51
    • /
    • 2021
  • 본 연구는 30Hz 전신 진동운동 적용이 척추세움근의 형태인 두께 변화와 근육의 특성 변화인 기계적 속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N 지역에 거주하는 성인 남성 11명, 여성 13명 총 24명으로 모집단을 구성하였고 30Hz 전신 진동 운동군 12명, 허리 안정화 운동군 12명으로 나누어 시기별, 군간 상호작용, 군간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운동 전, 4주 후, 8주 후로 시기를 나누어 척추세움근의 두께와 근육 기계적 속성의 변화를 2요인 반복측정 분산분석(two-way repeated ANOVA)을 이용하였고 유의수준 α=0.05로 하였다. 시기와 군간 상호작용이 있는 경우에는 사후분석을 하였으며 유의수준 α=0.01로 하였다. 척추세움근의 두께, 주파수, 강성, 변형률은 시기별, 시기와 군간 상호작용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05), 원형회복속도는 시기별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본 연구 결과를 보면 30Hz 전신 진동운동은 척추세움근의 두께와 기계적 속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가 있어 향후 전신 진동운동 기초자료와 임상에서 허리 안정화 운동으로 활용 가능성을 제시한다.

복부 동시수축 형태에 따른 하지 근활성도 비교 (Comparison of Lower-Limbs Muscle Activity according to the Abdominal Co-contractive Activation)

  • 이현주;이남기;태기식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81-86
    • /
    • 2016
  • 본 연구는 복부 동시수축 형태에 따라 하지의 근활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허리와 하지에 통증이 없고, 근골격계에 이상이 없는 건강한 20대 여성 30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복부 이완(Rest), 복부 당기기 기법(ADIM), 복부 브레이싱 기법(ABM)을 유지하는 각 자세에서 무릎의 굽힘없이 발을 능동적으로 바닥으로부터 20cm 올린 상태(ASLR)로 약 10초간 유지하도록 하여 하지의 5개 근육(중간볼기근, 엉덩긴모음근, 넙다리곧은근, 넙다리두갈래근, 앞정강근)의 근활성도를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Rest에서 ASLR을 유지하였을 때보다 ADIM 수축형태로 ASLR 유지할 때 하지의 모든 근육에서 근활성도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Rest에서 ASLR을 유지하였을 때보다 ABM 수축형태로 ASLR을 유지하였을 때 중간볼기근을 제외한 나머지 근육에서 모두 근활성도가 높게 나타났다. ADIM과 ABM을 비교한 결과 중간볼기근과 앞정강근은 ADIM 수축형태에서, 엉덩긴모음근, 넙다리곧은근, 넙다리두갈래근은 ABM 수축형태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근활성도가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로 체간중심 안정화 운동이 필요한 요통 환자의 선제적 복부 수축형태로서 뿐만 아니라 하지의 선택적 근력강화가 필요한 환자들에게 개별화된 방법으로써 근거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