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허들모형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21초

영과잉 경시적 가산자료 분석을 위한 허들모형 (Hurdle Model for Longitudinal Zero-Inflated Count Data Analysis)

  • 진익태;이근백
    • 응용통계연구
    • /
    • 제27권6호
    • /
    • pp.923-932
    • /
    • 2014
  • 허들모형은 영이 과잉 가산자료를 분석하기 위해서 사용되어 왔다. 이 모형은 이산부분을 위한 로짓모형과 절삭된 가산부분을 위한 절삭된 포아송모형의 혼합모형이다. 이 논문에서 우리는 경시적 영과잉 가산자료를 분석하기 위해서 수정된 콜레스키 분해을 이용하여 일반적인 이분산성을 가지는 변량효과 공분산행렬을 제안한다. 수정된 콜레스키 분해는 변량효과 공분산행렬을 일반화자기상관 모수와 혁신분산모수로 분리되면, 이러한 모수들은 베이지안 일반화 선형모형을 통해 추정된다. 그리고 실제 자료분석을 통하여 설명한다.

허들음이항모형을 이용한 기업의 혁신선택과 특허성과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The Selection and Decision in R&D and Patents: A Hurdle Negative Binomial Approach)

  • 박재민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449-466
    • /
    • 2014
  • 그동안 기업의 R&D 투자와 기술혁신 성과의 관계에 관해 여러 연구가 있었다. 하지만 지식생산과정에 수반되는 기업의 의사결정 과정은 효과적으로 분석에 반영되지 못하였다. 특히 기업의 특허성과를 분석함에 있어 포와송모형의 한계에 대응해 최근 연구는 음이항모형을 적용해 극복하고자 했지만 기업의 선택과정을 분석하는데는 한계가 있다. 본 논문은 특허권 정보에 내재된 기업체의 의사결정 과정을 보다 효과적으로 반영하는 실증모형을 제시하고, 사업체조사 결과를 적용해 분석하였다. 특히 기업의 대표적 R&D 성과인 특허에 주목하여 특허 출원건수의 결정과정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과산포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었고, 허들모형과 일반적인 음이항모형의 결과에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더불어 Wald-검정을 통해 허들의 설정이 타당하였고, 기업의 특허성과 분석에 있어서 기업의 선택과정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보였다.

우리나라 가구의 자녀수 결정요인에 관한 Count 모형 분석 및 경제적 함의 (The Economic and Social Implication of Count Regression Models for Married Women's Completed Fertility in Korea)

  • 김현숙
    • 한국인구학
    • /
    • 제30권3호
    • /
    • pp.107-135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가구의 자녀수 결정요인을 Count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기법으로는 자녀수가 감마(Gamma) count 분포를 따른다는 가정 하에 기본적인 회귀분석과 40세 이하 기혼여성의 완결출산에 대한 대리변수로 예상출산자녀수에 대한 회귀분석, 허들모형 그리고 기혼여성의 노동시장 참여와 자녀출산간의 내생성을 고려한 모형을 각각 이용하여 다각적인 방법론으로 출산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가구의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40세 이상 기혼여성의 자녀수는 많은 것으로 나타나는 반면, $18{\sim}39$세 기혼여성의 경우에는 소득이 자녀수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보인다. 기혼여성의 경제활동참여는 39세 이하의 비교적 젊은 여성들에게서 출산 예상자녀수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을 뚜렷이 확인할 수 있고, 출산과 경제활동참여 간에는 내생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허들모형을 이용한 결과, 기혼여성의 학력은 자녀출산 여부에는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으나 자녀수 결정에는 부정적으로 작용하여 기혼여성 학력이 높을수록 출산율은 감소하게 된다. 다양한 회귀분석 결과에 근거할 때 Becker의 Quantity-Quality 모형의 핵심내용은 우리나라의 자녀수 결정에 있어서도 대체적으로 적용됨을 확인할 수 있다.

경시적 영과잉 가산자료와 생존자료의 결합모형 (A joint modeling of longitudinal zero-inflated count data and time to event data)

  • 김동욱;천지훈
    • 응용통계연구
    • /
    • 제29권7호
    • /
    • pp.1459-1473
    • /
    • 2016
  • 시간의 흐름에 따라 관측되는 경시적(longitudinal) 자료의 경우, 경시적 자료와 생존(survival) 자료가 종종 동시에 수집된다. 이 때 경시적 자료에서 발생하는 결측이 생존자료와의 연관성으로 인해 발생한 무시할 수 없는 결측(non-ignorable missing)이라면, 경시적 자료분석 방법만으로는 두 자료 간의 연관성을 고려하지 않아 독립변수에 대한 효과는 편향된 결과를 얻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결측의 원인이 생존시간과 연관되어 있으므로 생존모형을 고려하여 불편추정량을 얻기 위해 경시적 자료와 생존자료의 결합모형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본 논문은 경시적 자료의 형태가 영이 많이 존재하는 영과잉 가산자료(zero-inflated count data)와 생존자료의 결합모형을 연구하였다. 경시적 영과잉 가산자료와 생존자료는 각각 허들모형(hurdle model)과 비례위험모형(proportional hazards model)의 부 모형을 적용하였고, 두 부 모형들의 변량효과가 다변량 정규분포를 따른다는 가정을 통하여 결합하였다. 모수의 최우추정법으로 EM 알고리즘을 활용하였고, 추정된 표준오차를 계산하기 위해 프로파일 우도(profile likelihood)를 이용하였다. 최종적으로 모의실험을 통해 두 부 모형의 변량효과 간 상관관계가 존재하는 경우 결합모형이 개별적 모형보다 편의와 포함확률(coverage probability)의 측면에서 더 우수함을 보였다.

기술창업기업의 투자유치에 대한 정부지원의 신호효과: 허들모형을 이용한 실증연구 (Signaling Effects of Government Support on Investment Attraction of Technology-based Start-ups: An Empirical Study of a Hurdle Model)

  • 봉강호;권지훈;김규태
    • 중소기업연구
    • /
    • 제42권4호
    • /
    • pp.309-326
    • /
    • 2020
  • 초기 단계의 창업기업들의 경우 축적된 실적이 없는 관계로, 기업과 투자자 간에는 항상 정보의 비대칭 문제가 존재한다. 이에 자원 확보의 가능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략으로서 자신들의 기술 및 시장 잠재력을 알릴 수 있는 '신호'를 활용하는 전략이 강조되어 왔다. 정부지원은 공정하고 치열한 경쟁과정을 거친다는 점에서 초기 창업기업에 대해 보다 객관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기업의 역량 및 잠재력을 보증하는 신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허들 모형을 활용하여 정부지원 및 투자유치 간 양적 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정부지원규모와 투자유치규모 간 비례적 관계를 가지지만, 기술창업기업이 첫 투자를 유치하는 단계를 넘어서는 데는 일정 규모 이상의 정부지원이 요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투자유치여부와 투자유치규모가 결정되는 메커니즘이 상이한 만큼, 신호이론 관점의 연구들이 투자유치과정의 허들 구조를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초기 단계의 기술창업기업이 첫 투자를 유치하는 단계를 넘어서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즉 '문지방 효과' 창출에 특화된 지원방법이 모색될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영과잉 및 허들 회귀모형을 이용한 과학화 전투훈련 자료 분석 (Analysis of scientific military training data using zero-inflated and Hurdle regression)

  • 김재오;방성완;권오정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8권6호
    • /
    • pp.1511-1520
    • /
    • 2017
  • 본 연구는 과학과 전투훈련 자료를 분석하여 작전 및 군사훈련 방법을 향상하고 필요한 군사교리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우리는 과학화 전투훈련 중 대대급 공격작전에 대해 개별 전투원이 공격작전간 개인 화기를 이용하여 적을 중상 이상의 전투불능 상태로 만든 인원수를 반응변수로 둔다. 본 연구의 반응변수는 영이 지나치게 많이 관측되어 전통적인 일반화 선형모형에서 분석이 제한된다. 우리는 과대산포 및 영이 과도하게 관측된 점을 고려하여 영과잉 회귀모형과 허들 회귀모형을 자료에 적합하여 분석한다. 우리의 분석 결과는 대한민국 육군의 보병대대와 같은 소부대의 다양한 작전 및 전술적 요인에 대한 분석과 전술제대의 군사교리 검증함에 있어 적절한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지방부 국도의 사고예측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the Expected Safety Performance Models for Rural Highway Segments)

  • 오주택;김도훈;이동민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4권2호
    • /
    • pp.131-143
    • /
    • 2012
  • 그동안 다양한 도로설계 안전성 평가 연구는 교통사고다발지역인 교차로에 집중되어 왔다. 또한 도로구간에서는 특정한 기하구조 요인이 교통사고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는 일부 수행되었으나, 도로구간에서의 안전성 평가를 위한 다양한 원인분석을 위한 연구는 여전히 미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방부 도로구간에서의 안전성 평가를 위해 도로구간을 지방부 2차로 도로와 다차로 도로구간으로 구분하여 통계적 기법을 적용하였다. 일반적으로 도로구간에서의 교통사고는 "0"의 빈도가 높게 나타나므로 통계적 분석 시에 이를 고려해야만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고의 비선형적 요소를 설명하는 허들모형이 전통적인 포아송 및 음이항모형보다 도로구간에서의 발생하는 교통사고의 성격을 설명하는데 더욱 적절한 것으로 판단하여 분석을 시작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지방부 도로구간에서의 사고빈도 예측모형 개발 및 도로구간 안전성 평가를 위해서 지방부 2차로 도로구간과 다차로 도로구간으로 구분하였으며, 모델분석결과 교통사고를 유발시키는 변수가 각각의 유형에 따라 서로 다른 것으로 분석되었다.

고기술산업과 저기술산업의 제품혁신패턴 및 연구개발 결정요인 분석: Hurdle 모형과 Heckman 표본선택모형을 중심으로 (The Determinants of R&D and Product Innovation Pattern in High-Technology Industry and Low-Technology Industry: A Hurdle Model and Heckman Sample Selection Model Approach)

  • 이윤하;강승규;박재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10호
    • /
    • pp.76-91
    • /
    • 2019
  • 그간 진화경제학적 관점에서 산업 고유의 특성에 따라 발생하는 기술혁신 패턴을 고찰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어왔다. 본 연구는 국내 제조업을 기술집약도에 따라 고기술산업과 저기술산업으로 구분하고 제품혁신 패턴 및 혁신 성과 결정요인의 산업별 차이를 확인하였다. 기존 연구들은 연구개발 수행에 대한 기업의 의사결정 과정에서 연구개발을 수행하도록 만드는 결정요인을 분석에 반영하지 못했다는 지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 Heckman 표본선택모형과 허들모형을 대안으로 제시하고, "2014년 중소기업기술통계조사" 자료의 1,637개 기업에 대해 분석을 실시했다. 분석 결과 제조업의 중소기업이 수행하는 제품혁신 패턴과 제품혁신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들에 있어 고기술산업과 저기술산업 간 뚜렷한 차이가 있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기존 연구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채택한 연구모형의 확장을 통해서 중소기업 연구개발 수행에 대한 의사결정 과정에서 표본선택편의 문제와 허들로 표현되는 문지방이 있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산업별 제품혁신 패턴의 특징과 제품혁신 성과 결정요인을 다각적으로 살펴보았고, 중소기업의 연구개발 수행에 대한 의사결정 과정을 더 깊이 이해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학술적 의의가 있다.

더블허들 모형을 이용한 전통시장 재방문객의 농산물 구입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urchasing Agricultural Products of Re-visitors In Traditional Market Using Double Hurdle Model)

  • 이향미
    • 농촌계획
    • /
    • 제21권2호
    • /
    • pp.137-147
    • /
    • 2015
  • In this study, consumers who have experience of visiting Jeongsun Arirang Market has been selected as sample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agricultural products purchase. For this, double hurdle model was used in order to resolve sample selection problem and obtain consistent estimator. The key points are the following. First, as the age increases(up to 59.8 years), chances of purchasing the products at traditional market increase as income increases. Second, when the residence area is outside of Gangwon-province, the purchase amount of the products increased compared to those from visitors within the Gangwon province. Also, visitors who use public transportations purchase less products compared to those who use their own car. Third, probability of agricultural products increase as the visitors consider positive effect the product purchase leads to the local farmers. Fourth, if the visitors consider the quality of the agricultural products, probability of purchasing agricultural product at the site increases. However, if the visitors consider the freshness of the agricultural products, the purchase amount rather drops. Fifth, the probability of purchase increases as visitors consider the brand of traditional market.

기계산업의 제품혁신 성과 및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Performance and Determinants of Product Innovation in Machinery Industry)

  • 봉강호;박준영;박재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9호
    • /
    • pp.427-434
    • /
    • 2018
  • Pavitt(1984)과 Malerbar(2002)의 지적과 같이 혁신은 산업의 특성에 따라 다른 면모를 갖는다. 이 같은 관점에서 기계산업의 혁신을 다룬 기존 연구들은 주로 전체 제조업과 비교한 산업간 차이를 규명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기계산업과 같은 기술 숙련집약적 산업에서의 혁신은 특히 다른 산업의 혁신과 상이한 특성과 메커니즘을 가질 것으로 예상되는 반면, 논의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계산업의 제품혁신이 어떠한 요인들에 의해 결정되는 지를 다룸에 있어 제품혁신의 성과를 양적 측면과 질적 측면으로 구분해 접근하였고, 특히 Heckman 2단계 모형과 허들음이항 모형을 적용해 기업의 혁신활동에 수반되는 단계적 선택과정을 명시적으로 분석에 반영하였다. 분석 결과, 기계산업의 제품혁신에 있어 제품의 품질 및 성능향상 및 특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서로 상이하였으며, 문지방효과와 혁신의 강도 역시 구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결과적으로 기계산업은 연구개발 역량을 일정 수준 이상 축적하고 외부의 혁신을 효과적으로 조직 내 체화하고, 조직 구성원들에 대한 동기부여가 성과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고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