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허가량

Search Result 138,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Aggregate of Korea in 2020 (2020년도 국내 골재 수급 분석)

  • Hong, Sei Sun;Lee, Jin Young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54 no.5
    • /
    • pp.581-594
    • /
    • 2021
  • In 2020, about 132 million m3 of aggregate was produced in Korea. Of the total domestic aggregates produced in 2020, about 33.3 % was sand and about 66.7% was gravel. It estimated that of the 132 million m3 of aggregates in Korea in 2020, about 52% was produced by screening crushed aggregate, by 36% by forest aggregate, 3% by land aggregate, 5.6% by sea aggregate and 2.5% by washing each other, and 0.4% by river aggregate. This indicates that screening crushed aggregate and forest aggregate are the main producers of domestic aggregates. Leading producing metropolitan cities were Gyeonggi-do, Gyeongsangnam-do, Chungcheongbuk-do, Gangwon-do, Chungcheongnam-do, Incheon in order decreasing volume, which together accounted for about 72.4% of total product. In 2020, aggregates were produced in 153 cities, about 67% of the 231 cities of Korea, 38 local governments have developed aggregates of more than 1 million m3, and the combined production of the 38 cities accounted for about 65% of national total. This means that the aggregate extraction trend of local governments is becoming larger and more concentrated. In 2020, at 153 local governments, a total of 889 operations produced aggregates with 420 operations by permission, 469 operations by declaration. A review of production by size of operation indicated that about 17 million m3 (12.8% of the total aggregate) was produced by 14 operations reporting production of more than 1 million m3. In about 420 operations, the maximum period of permit is 32 years to at least 2 months. When the remaining period of permit is taken into account, only about 55% of active operations can be developed the aggregate after 2021. In order to maintain the permitted aggregate volume by 2020 level, it will be necessary to obtain an extension permit or find new operation sites for at least 200 or more operations.

암석재료

  • 정교철;오대여;김주용
    • Proceedings of the KSEG Conference
    • /
    • 2004.03a
    • /
    • pp.25001-25035
    • /
    • 2004
  • 석재의 무분별한 개발로 인한 산림훼손을 최소화하고 상품성 있는 석재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채석허가 이전에 지질조사 및 시추탐사를 통한 매장량과 경제성 등 채석타당성을 평가하는 것이 필요하다. 골재가 부존하는 충적층은 다양한 입도와 지층 단면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를 대상으로 골재를 채취하려면 골재의 품질과 매장량을 확인해야 한다. 또한 무분별한 골재 채취는 홍수시 유량과 유속을 변경시키므로 합리적인 채취량을 추산할 필요가 있다. (중략)

  • PDF

Present Status and Future Improvements in Groundwater Use Near Streams in the Anseongcheon watershed, Korea (하천 인근 지하수 이용 현황 및 관리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 Chung, Il-Moon;Hong, Sung Hun;Lee, Jeongwoo;Kim, Min Gyu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27 no.4
    • /
    • pp.383-392
    • /
    • 2017
  • Excessive abstraction of groundwater near streams for agricultural, domestic, or industrial use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streamflow. Therefore, proper management of water resources must involve careful monitoring of groundwater use near stream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urrent status of groundwater intake plans in the Anseongcheon watershed, Korea, in order to understand the portion of groundwater wells according to distance from the stream and the distribution of wells near the stream. Among all the wells in the watershed, 20.5% were permitted and 31.3% were declared within 300m from the stream. In particular, among the wells located near streams, 11.4% were permitted and 88.6% were declared among the wells near streams. Therefore, the total amount of groundwater pumping rates from the declared wells is much higher than that from the permitted wells near the stream. Under current guidelines, investigations of the impact of groundwater use near a stream on streamflow depletion should only consider wells permitted by groundwater law. However, prudent management should also pay attention to declared wells, given their large number.

Study on Improvement in Operation and Management of Ultra-light flying device Civil Complaints Management System for Ultralight Aircraft (초경량비행장치의 민원처리시스템 운용 및 관리 효율성 개선을 위한 연구)

  • Seok, Geum-chan;Jang, Moon-su;Ryu, Yeon-seung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1 no.1
    • /
    • pp.237-246
    • /
    • 2020
  • The background of the research is the following: As a result of ultra-light flying device industry development, the utilization of drones and their efficiency have been increasing. However, problems regarding flight permission·approval procedure have not been improved, resulting in increased number of civil complaints. Thu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minimize such civil petition according to the required standards of the two government organizations through enhancing the procedure for managing and employing the system. The research methods entail pinpointing the problems by analysing ultra-light flying device related literature review and by holding focus-interviews with field experts, thereby verifying and providing improved solutions. Under (MLIT)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supervision and in accordance with aviation security law, the research provides various updated functions such as improved civil petition processing system's employment and management system, flight approval, integration of names, process, format regarding aviation photographing approval, tool buttons such as the 'Main' button in the system's homepage. This research has the following expected effects : Firstly in the law and regulations section, the clear distinction in the missions and roles of each organization enhances cooperations in tackling civil petition. Secondly the integration of civil petition process reduces time and improves efficiency. And lastly, the improvement of supplementary tools for the public is expected to minimize civil petitions. Future research needs to be conducted under the supervision of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MND). Factors such as systematic infrastructure for flight photography approval, related unit's reorganization following the defense reform 2.0, and guaranteed conditions for field security action units need to be ameliorated.

Study on the investigation of river disturbance in Korea (하천교란의 실태조사 연구)

  • Jang, Chang-Lae;Kim, Joon-Tae;Lee, Kwang-M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946-950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하천의 교란에 영향을 미치는 인위적인 교란의 원인이 되는 하천정비현황, 수리구조물의 설치, 댐의 건설현황, 골재채취 현황 등에 대하여 실태조사를 하여 분석하였다. 국가하천은 하천연장 $3,260.75km^2$, 개수율 94.81%이며, 지방1급 하천은 하천연장 $1,178.87km^2$, 개수율 95.76%이다. 또한 지방2급 하천은 하천연장 $25,795.85km^2$, 개수율 57.31%로 나타내었다. 국내 보의 현황은 전국적으로 14,364개소가 하천에 설치되어 있으며, 2.1km마다 1개의 보가 설치되어 있다. 시도별로 강원도가 가장 많은 3,463개소로 1.1km마다 보가 설치되어 있으며 다음으로 충북(1.2km/보), 전남(1.9km/보) 순으로 나타났다. 국내의 댐은 약 18,000개소로서 대댐 기준인 댐 높이 15m 이상, 저수량 300만 $m^3$ 이상의 댐은 1,215개소이며, 다목적댐 15개소, 발전댐 21개소, 홍수조절용댐이 1개소가 축조되어 있으며, 댐의 개소수로는 농업용댐이 가장 많이 건설되었다. 유역별로는 낙동강 수계가 가장 많이 건설되었으며, 한강, 금강 수계 순이다. 또한 다목적댐은 낙동강유역에 많이 건설되어 있으며 발전용댐은 한강유역에 가장 많이 건설되었다. 수계별 다목적댐과 발전용댐이 유역에 차지하는 비율로는 한강수계가 83%로 가장 많이 차지하고 있으며, 섬진강, 금강, 낙동강 순이었다. 행정구역별 골재채취 허가량은 경북, 경남, 대구, 부산 순으로 많으며, 특히 낙동강 유역에서 지속적으로 많은 양의 골재채취가 이루어져 왔다. 그 다음으로 금강 수계, 특히 충남에서 많은 골재채취가 이루어졌다. 연도별 골재채취 허가량은 1997년 이후로 지속적으로 감소되고 있다.게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진행중인 승기천 오염하천 정화사업이 종료되는 시점을 기준으로 남동유수지에 대해 승기천과 연계한 유수지의 환경개선 방법을 제안하였다. 준설을 통해 유수지의 근본적인 오염원을 제거하고 남동유수지 유입부에 인공습지와 수처리설비를 설치하여 유수지의 수질을 개선하고 개선된 수질이 3급수로 유지하도록 하였으며, 설치된 인공습지에는 철새도래지를 조성하여 유수지 유입수인 철새가 날아드는 하천인 승기천의 테마와 연계하도록 하였다. 인공습지 주변으로 식생호안을 설치하고 유수지 주변에는 산책로를 설치하여 지역주민들의 친환경 수변공간으로 활용하도록 하였다. 1유수지와 연결된 2유수지는 BTL사업을 통해 주변공단으로부터의 오폐수를 원천적으로 차단하도록 하였으며 2유수지를 매립하여 지하는 강우시 유출수 저류가 가능한 화물차주차장으로 활용하고 지상은 녹지공간으로 조성하여 공단근로자 및 지역주민을 위한 휴식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남동유수지 환경 개선 사업 실행을 위한 정책 연구로 연구결과를 인천시가 적극 수용하기로 결정함에 따라 인천시의 환경 현안 문제인 남동유수지의 수질개선을 통해 시민의 휴식 및 여가선용 공간으로 활용하기 위한 사업의 기초자료로 활용되며 이미 설계검토가 시작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유수지 및 저수지의 환경개선 사업의 선두적인 성공사례로 국내 타 지역의 유사한 사업에 있어 벤치마킹을 할 수 있는 훌륭한 사례가 될 것이다.요 생산이 증가하자 군신의 변별(辨別)과 사치를 이유로 강력하게 규제하여 백자의 확대와 발전에 걸림돌이 되었다. 둘째, 동기(銅器)의 대체품으로 자기를 만들어 충당해야할 강제성 당위성 상실로 인한 자기수요 감소를 초래하였을 것으로 사료된다. 셋째, 경기도 광주에서 백자관요가 운영되었으므로 지방인 상주지역에도 더 이상 백자를 조달받을 필요가 없이,

  • PDF

포장과 법률 - 화학물질관리법

  • (사)한국포장협회
    • The monthly packaging world
    • /
    • s.371
    • /
    • pp.98-112
    • /
    • 2024
  • 환경부는 2024년 2월 6일부터「화학물질관리법」일부 개정법률 시행에 들어갔다. 일부 개정된 화학물질관리법은 유독물질을 위험도에 따라 세분해 규제를 차등화하고 인체만성유해성물질만 취급하는 시설에 대한 정기검사 의무를 면제하며, 허가제로 운영 중인 유해화학물질 영업을 취급량 등에 따라 신고로 갈음하는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 PDF

Aggregate of Korea in 2021 (2021년도 국내 골재 수급 분석)

  • Sei Sun Hong;Jin Young Lee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56 no.1
    • /
    • pp.87-101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dentifies the production of aggregate every year, and is to understand the supply and demend prospects. In 2021, the total of 135 million m3 of of aggregates was produced in Korea, a slightly increase from the total production of 2020. Of these, about 47 million m3 of sand and about 88 million m3 of gravel were produced. About 46% of total quantity of aggregates were produced with permission and the rest were aggregates produced after declaration. It estimated that of the 135 million m3 of aggregates in Korea in 2020, about 49.6% was produced by screening crushed aggregate, by 36.8% by forest aggregate, 2.6% by land aggregate, 6.8% by sea aggregate and 2.6% by washing each other, and 0.2% by river aggregate. This indicates that screening crushed aggregate and forest aggregate are the main product as in 2021. Leading producing metropolitan governments were Gyeonggi-do, Chungcheongnam-do, Incheon, Gyeongsangnam-do, Chungcheongbuk-do, Gangwon-do, Jeollanam-do, Gyeongsangbuk-do in order decreasing volume. In 2021, aggregates were produced in 148 local governments, and The 10 leading producing local governments were, in descending order of volume, Hwaseong, Ongjin, Paju, Pocheon, Gwangju, Youngin, Cheongju, Gimhae, Anseong, west EEZ. The combined production of the 10 leading local governments accounted for 30% of the national total, and. 47 local governments have produced aggregates of more than 1 million m3 each other. In 148 local governments that produced aggregate, a total of 805 active operations produced aggregate with 372 operations by river, land and forest aggregate, 433 operations by selective crushed and washing aggregate.

동물약사

  • 한국동물약품협회
    • 동물약계
    • /
    • no.9
    • /
    • pp.2-3
    • /
    • 1994
  • 1. 동물용의약품등 요건확인 세부요령 2. 통합공고중 개정고시 3. 국가검정 동물약품 국가검정 면제 4. 동물용의약품 제조업체 대표자 변경 5. 동물용의약품등 수입자 신규 확인 6. 동물용의약품 수입자 대표자 변경 7. 동물용의약품중 일반제제 유효기간 지정 8. 배합사료제조용동물약품 첨가사용 잠정조치 9. 생물학적제제 국가검정 신청시 통일명칭 사용 조치 10. 94년 유당 수입 한도량 배정 11. 동물용의약품 제조업 허가 12. 94년도 국가검정 동물용의약품 검정신청 예정량 조사 13. 동물용의약품 품목정비 사업 14. 생물학적제제 특별관리 방안

  • PDF

The Characteristics of Commercial Fisheries of the Oregon, USA (미국 오레곤주의 수산업 특성)

  • Kim, Soo-Kwan
    • The Journal of Fisheries Business Administration
    • /
    • v.29 no.1
    • /
    • pp.139-159
    • /
    • 1998
  • 본 연구는 미국 오레곤주의 수산업 특성을 개괄적으로 살펴본 것이다. 먼저, 오레곤의 상업적 수산업을 역사적으로 살펴보면 2가지 주요한 계기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첫째는 자급자족 차원에서의 연어생산을 수출품으로 변화시킨 연어통조림 생산기술의 발전이고, 둘째는 현대식 트롤어업이 도입된 점이다. 오레곤에서 주로 사용되는 어구ㆍ어법은 트롤, 채낚기, 연승, 통발, 형망 등이며, 생산어종은 연어, 게, 새우, 참치, 대구 등이다. 1995년 오레곤은 약 2억 4천 파운드의 수산물을 생산하여 미국 연안주중에서 6위를 차지하고 있고, 생산금액에서는 12위를 기록하였다. 한편, 양식업은 아직 성행하지 않아 그 생산품종 및 생산량은 미미한 실정이다. 그 주된 이유 중의 하나는 양식시설을 하기 위해서는 여러 관계기관의 허가를 필요로 하는 등 행정상의 절차가 복잡하기 때문이다. 오레곤의 수산자원관리는 우리나라에 비해 암계의 어획금지, 통발 등 정치어구ㆍ어법에 대한 인망일수의 제한, 조개류의 판매가능시간의 제한 등 몇가지 특징을 들 수 있다. 오레곤의 수산업관리제도(연안으로부터 3마일 이내)를 살펴보면, 아직 TAG제도를 도입하지 않고 있으며 생산요소역입제한방식이 채택되고 있다. 즉, 상업적으로 허용된 어종을 어획하려는 어업자는 등록절차를 필히 거쳐야 어업행위를 할 수 있으며, 등록수를 제한할 필요가 있는 특정한 어업(연어, 새우, 가리비 등)에 대해서는 행정관청으로부터 허가를 얻고 어업행위를 해야 한다. 즉, 허가어업은 등록어업보다 더욱 제한적인 어업행위를 말하며, 허가권에 대해서는 자유로운 매매양도가 허용되어 있다. 수산물의 마케팅시스템에 대해서는 우리나라에 지배적인 형태인 경매제도가 도입되어 있지 않다. 즉, 모든 수산물은 개인적인 거래계약에 의해서 유통된다. 다만 마케팅경로에 참여하고 있는 모든 구성원은 일정한 등록절차를 마쳐야 하며, 주내에서 거래되는 수산물의 일관된 통제나 관리를 위해 관계기관에 거래량을 필히 신고해야 한다. 우리나라의 중도매인은 주로 생산지의 수협(또는 내륙지 도매법인)과 도매상의 사이에 존재하나 오레곤의 중도매인은 마케팅경로 어디에든 존재하고 있다.

  • PDF

동물약계

  • 한국동물약품협회
    • 동물약계
    • /
    • no.38
    • /
    • pp.2-3
    • /
    • 1997
  • [ $\cdot$ ]동물용의약품등 수입자 확인 $\cdot$제조(수입)업체 허가사항 변경 $\cdot$수출입업분회 및 특별회원 협의회 개최 $\cdot$동물약품 수출촉진 협의회 개최 $\cdot$클로람페니콜제제 애완동물 전용 포장단위 변경 $\cdot$유방염 연고제 제조(수입) 품목허가 일괄 변경 $\cdot$동물약품중 폐기물 예치금 및 부담금 납부 대상품목 수입요령 $\cdot$약사감시 결과 행정처분 내역 $\cdot$97년도 동물약품 제조용 유당 업체별 확정량 $\cdot$가축질병 병성감정 실시기관 지정 $\cdot$구제역 발생국 농장방문 자제 $\cdot$동물약품 생산(수입)$\cdot$판매실적 작성 및 판매실적 송신 프로그램 (VPPT 2.0 UPGRADE) 무료 배부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