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향기

검색결과 1,521건 처리시간 0.034초

한국산 밤꿀의 휘발성 향기성분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Chestnut Honey Produced in Korea)

  • 강귀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1권1호
    • /
    • pp.84-88
    • /
    • 1998
  • 밤꿀과 밤꽃 향기성분의 연관성을 조사코자 밤꿀은 용매추출과 수증기 증류법을 병행하여, 그리고 밤꽃은 수증기 증류법에 의해 향기성분을 분리한 다음 GC, GC-MS에 의해 확인 비교하였다. 밤꽃으로 부터 14종의 방향족 화합물, 13종의 탄화수소류, 7 종의 지방산류, 4종의 테르펜류, 12종의 함산소 탄화수소류, 7종의 기타 성분 등 64종의 성분이 확인되었고, 밤꿀로 부터는 7종의 방향족화합물, 16종의 탄화수소류, 12종의 지방산류, 1종의 테르펜류, 2종의 함산소 탄화수소류, 3종의 기타 성분 등 41종이 확인되었다. 밤꽃 향기의 주요성분으로는 전체 향기의 49.02%를 차지하고 있는 2-phenyl ethyl alcohol, 1-phenyl ethyl alcohol, benzyl alcohol 등이 주를 이루었고 밤꿀 향기의 특징적인 성분으로는 2-phenyl ethyl alcohol, benzyl alcohol, 1-phenyl ethyl alcohol, 1-(2-aminophenyl) ethanone 등이었다.

  • PDF

사과 성숙(成熟) 및 저장중(貯藏中) 향기성분(香氣成分)의 변화(變化) -제일보(第一報). 과실(果實) 성숙중(成熟中) 향기성분(香氣成分)의 동정(同定) 및 정량(定量)- (Changes of Volatiles from Apple Fruits during Maturity and Storage -Part. I. Identification and Determination of Volatiles in the Fruits-)

  • 심기환;손태화;김명찬;강신권;박석규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7권1호
    • /
    • pp.14-20
    • /
    • 1984
  • 우리 나라에서 비교적 생산량이 많은 사과과실 3품종(Fuji, 홍옥, 국광)을 대상으로 향기성분을 분리 및 동정하고, 또한 성숙시기별로 향기성분의 함량변화를 측정하였다. 향기성분은 30종 이상 분리되었고 그 중 ester 23종, alcohol 9종 및 aldehyde 2종을 동정하였다. 성숙중 향기성분의 종류와 함량은 증가하였으며 1-butanol, isobutyl butyrate, 2-pentanol, ethyl valerate 및 hexanal 등의 함량이 많았다.

  • PDF

소비자의 향기 선호와 향기에 의한 이미지, 색채 및 TPO 연상 (Consumer's Fragrance Preference and Image, Color and TPO Associations with Fragrance)

  • 김다혜;김태연;서기용;이승현;정인희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529-544
    • /
    • 2015
  • This study investigated consumer's fragrance preferences as well as image, color, and TPO associations with fragrance. Eight branded perfumes of four fragrance families were selected according to the top note (floral, fruity, green, and citrus) as stimuli; consequently, fragrance preferences and associations were measured. A survey that included a scent test was conducted; subsequently, 186 responses from male and female consumers in their twenties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sample t-test, paired t-test, and chi-square analysis. The fruity fragrance was shown to be preferred the most. The perfume itself was associated with cool image, blue or pale tone colors, summer, and casual occasions in general, while a citrus fragrance was related to warm, winter, and deep tone colors in specific. Fragrance associations could be utilized in perfume marketing plans and activities such as advertising and packaging development.

볶음조건이 치커리의 이화학적 특성과 향기성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oasting Conditions o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Chicory Roots)

  • 김현구;이부용;신동빈;권중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1279-1284
    • /
    • 1998
  • 치커리의 적정 볶음조건 설정을 위하여 볶음조건에 따른 일반성분, 유리당, 갈색도, 가용성고형분 함량, 표면색깔 및 향기성분을 측정하였다. 각 온도별 적정 볶음조건은 $130^{\circ}C$에서는 30분, $150^{\circ}C$에서는 10분 그리고 $170^{\circ}C$에서는 3분이 가장 적당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150^{\circ}C$에서 10분간 볶음처리하는 것이 작업시간과 에너지 절약 측면에서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용성고형분 함량은 볶음온도나 시간에 영향을 받지 않았고 볶은 치커리의 유리당은 xylose 0.87%, fructose 0.62% 및 sucrose 0.84% 등 유리당 함량의 합은 2.33%였다. 치커리의 향기성분을 분리한 결과 23개의 주요 향기성분 피크를 얻었고 GC/MSD를 이용하여 이중 17개의 피크에 대하여 향기성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확인된 향기성분을 분류하여 보면 aldehyde 화합물 5종, ketone 화합물 4종, pyrazine 화합물 4종, alcohol 화합물 3종 및 benzene 화합물 1종이었다.

  • PDF

재배한 무순의 향미성분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Cultivated Radish (Raphanus sativus L.) Sprout)

  • 송미란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20-27
    • /
    • 2001
  • 십자화과 식물인 무(Raphanus sativus L.)의 어린싹(무순)이 독특한 향과 맛으로 소비가 증가하고 있는바 그 향기성분을 SDE(simultaneous steam disti-llation/extraction) 법과 P&T(purge and cryogenic trapping)법으로 추출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향기성분 포집시 SDE법에서는 diethyl ether 및 diethyl ether-pentane mixture(2:1, v/v)를 용매로 사용하고 P&T법에서는 diethyl ether를 사용하였다. GC와 GC-MS를 사용하여 동정한 결과 diethyl ether로 추출한 SDE법에서는 함황화합물(19종, 76.6%)이 주성분이었고, diethyl ether-pentane mixture로 추출한 경우 함황화합물(15종, 44.0%)과 탄화수소류(23종, 23.8%)가 주성분이었으며, P&T법으로 추출할 경우는 탄화수소류(25종, 84.1%)가 주성분이었다. 또한 신선한 무순의 주 향기성분은 hydrocarbon류인 n-heptane, methyl pentane이었으며, 익은 무순의 주 향기성분은 sulfur compound에 속하며 무의 주성분이기도 한 4-methylthio-3-butenyl isothiocyanate, methyl mercaptane, 2,3-dimethyl disulfide 등이었다. SDE법 보다 P&T법에 의해 추출할 경우 향기성분의 종류와 상대적인 양은 적어 분리능은 떨어지는 편이나 저분자 휘발성 물질은 오히려 더 많이 검출되어 추출방법에 따라 포집되는 향기성분의 종류와 양에 차이가 있었다.

  • PDF

복숭아 펄프에서 회수한 방향성분 획분의 향기특성 (Flavor Quality of Aroma Fractions Recovered from Peach Pulp)

  • 이경혜;이영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921-927
    • /
    • 1995
  • 복숭아 펄프를 11,000 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serum과 불용성 펄프를 분리하였고, serum을 $50{\sim}55^{\circ}C$, $30{\sim}50\;mmHg$에서 농축하면서 초기에 발생하는 증기를 회수하여 방향성분 획분으로 하였다. 방향성분 획분은 serum의 양에 대하여 $0{\sim}5%$(AR-1), $5{\sim}10%$(AR-2), $10{\sim}15%$(AR-3), $15{\sim}20%$(AR-4)로 하였다. 방향성분 획분의 휘발성 향기성분은 DHC법에 의하여 포집하였고, 포집한 향기성분을 동정하기 위하여 GC/MS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복숭아 펄프의 serum 분리율은 70.5%였으며, 대부분의 향기성분들은 serum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Ethylene, benzaldehyde, l-limonene, ${\gamma}-dodecalactone$ 등의 31종의 향기성분이 확인되었으며, 향기성분의 상대적인 총량은 AR-1에서 AR-4로 갈수록 감소하였으며 피크의 면적 및 갯수도 점차적으로 줄어들었다.

  • PDF

감식초 농축액들의 향기성분 분석에 대한 전자코의 적용 (Application of Electronic Nose for Aroma Analysis of Persimmon Vinegar Concentrates)

  • 이부용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314-321
    • /
    • 1999
  • 새로이 개발되어 식품과학 분야에 도입되기 시작한 conducting polymer로 구성된 32개의 센서를 장착한 전자코를 이용하여 감식초의 농축시 향기성분의 변화를 측정하고 그 데이터를 관능검사와 비교 분석하여, 감식초의 향기성분 분석에 전자코의 활용가능성 여부를 알아보았다. 관능검사와 유기산 분석결과는 감식초 농축액들간의 농축정도에 따른 향기성분 및 유기산 함량의 변화와 차이를 분명히 나타내고 있었으나, conducting polymer로 이루어진 32개의 센서 array가 장착된 전자코는 감식초의 농축 정도에 따른 향기 성분의 패턴 변화를 감지하지 못하고 모두 같은 패턴으로 나타내주고 있어서 conducting polymer 센서가 장착된 전자코는 감식초의 향기성분 분석에는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양다래 펄프의 향기특성 (Flavor Charateristics in Kiwifruit Pulp(Actinidia chinensis Planch))

  • 이경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342-347
    • /
    • 1999
  • 양다래 과육질 펄프를 14,000 rpm에서 10분간 원심 분리하여 serum과 불용성 펄프를 분리하였고, serum을 $30{\sim}50mmHg,\;50{\sim}55^{\circ}C$에서 감압농축하면서 농축 초기에 발생하는 증기를 회수하여 방향성분 획분으로 하였다. 방향성분을 serum의 양에 대하여 $0{\sim}10%\;(E-I),\;10{\sim}20%\;(E-II)$로 구분하였다. 또한 양다래의 휘발성 향기성분은 DHC분석법으로 포집하였고, 포집한 향기성분을 동정하기 위하여 GC/MSD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양다래 펄프의 serum 분리비율은 70.1%였으며, 대부분 향기성분들의 분포는 serum 보다 불용성 펄프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E)-2-hexanal, ethyl butanoate 등 총 26종의 향기성분이 확인되었으며, 향기성분의 상대적인 총량은 E-I이 E-II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피크면적과 갯수도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향기요법 간호중재의 통증완화 효과 - 체계적 문헌고찰과 메타분석 - (Aromatherapy Nursing Intervention for Pain Relief A Systematic Review and Meta Analysis)

  • 강린;서문경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6호
    • /
    • pp.271-283
    • /
    • 2016
  • 본 연구는 체계적 문헌고찰과 메타분석을 이용하여 향기요법 간호중재의 통증완화에 대한 효과를 산출하고자 하였다. 연구출처는 KERIS, KISS, DBpia, Cochrane Library, Ovid-Medline와 Pubmed를 통해서 2000년부터 2014년까지 출판된 연구로 총 20개의 연구에 1029명의 대상자를 메타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이 되는 주요어는 PICO와 아로마, 향기, 향흡입, 향마사지, 아로마테라피, 통증, 통증관리 등이다. 메타분석결과를 살펴보면, 향기요법 간호중재의 통증완화에 대한 효과는 전체 효과뿐만 아니라 하위요인에서도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기요법 간호중재가 통증완화 효과를 나타냈 수 있다는 근거자료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추후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포도의 품종별 휘발성 향기성분 분석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Various Varieties of Grape(Vitis vinifera L.))

  • 박은령;김경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366-372
    • /
    • 2000
  • SDE 방법으로 추출한 블랙올림피아, 캠벨, 델라웨어의 향기성분을 분석하여 각각 77종, 72종, 74종의 휘발성 향기성분을 분리.동정하였다. 블랙올림피아의 주요향기성분으로 (E)-2-hexenal(20.36%), diethylacetal(18.03%), hexanal, ethyl acetate가 다량 함유되어 있었다. 캠벨에서는 에스터류로써 30.81%를 나타낸 ethyl acetate가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ethyl (E,E)-2,4-decadienoate와 ethyl butanoate가 각각 7.96%, 2.59%를 차지하였고, 알코올류와 알데이드류는 주로 $C_{6}$ 화합물이 다량 함유되었다. 델라웨어에서는 블랙올림피아나 켐벨과는 달리 알코올류가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주요 성분은 (E)-2-hexenal (21.07%)과 (E)-2-hexen-1-ol(19.43%) 이었다. 세 종류의 품종에서 공통적으로 hexanal, (E)-2-hexenal, hexanol, (E)-2-hexen-1-ol, ethyal acetate 둥이 다량 동정되어 $C_{6}$-화합물이 포도의 주된 향기성분으로 확인되었으나 테르펜올류는 델라웨어에서만 미량으로 검출되었다. 품종별 휘발성 향기성분의 총함량으로 블랙올림피아, 캠벨, 델라웨어에서 각각 13.7 mg/kg, 48.5 mg/kg,15.3 mg/kg이 정량분석 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