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행태적 분석

검색결과 1,983건 처리시간 0.032초

Determinants of Asymmetric Cost Behavior : focusing on Managerial Optimistic Bias, Manager's Ownership

  • Jang, Ji-Kyu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7호
    • /
    • pp.159-165
    • /
    • 2020
  • 비대칭적 원가행태가 발생하는 원인에 관한 연구는 크게 두 가지로 흐름으로 구분된다. 하나는 경영자의 기대적 관점이고 다른 하나는 대리인 관점에서 이를 설명한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의 두 가지 관점을 확장하여 기업의 비대칭적 원가행태를 결정하는 요인이 무엇인지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경영자의 낙관적 기대오류가 비대칭적 원가행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다음으로 경영자지분율이 높은 상황의 기업지배구조가 비대칭적 원가행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기업은 하방탄력적 구조의 비대칭적 원가행태를 가진다. 둘째, 미래 수요에 대한 경영자의 낙관적 기대오류를 가진 기업은 이러한 비대칭적 원가행태가 완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경영자의 낙관주의가 기업의 원가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의미한다. 셋째, 경영자지분율이 높은 기업 역시 비대칭적 원가행태가 완화됨을 확인하였다. 이는 경영자의 원가의사결정에 지배구조가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려주는 실증적 결과라 하겠다.

차량 및 보행자교통특성 분석-차량 및 인간(운전자, 보행자)의 특성

  • 이용재
    • 대한교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교통학회 1995년도 제 2기 교통분석 고급과정
    • /
    • pp.53-94
    • /
    • 1995
  • 시설을 설치하고 운영하기 위해서는 이 시설을 사용할 대상에 대하여 고려하여야 한다. 교통 시설을 이용할 주요대상은 인간과 차량이기 때문에 이들에 대한 특성분석은 교통공학의 연구분야에서 기초지식이 된다. 교통운영은 물론 교통시설의 설계와 설치에 관련하여 차량의 물리적인 특성과 한계, 사람 특히 운전자와 보행자에 대한 행태 분석은 시설 사용시의 소통측면과 안전측면에서 볼 때 필수적으로 연구되어야 할 과제이다. 본 장에서 다루는 주요과제는 차량의 특성 중 정태적인 특성과 운동에 관한 기초이론, 운전자의 행태 및 보행자의 행태에 관한 일반적인 특성이다.

  • PDF

빅데이터를 활용한 도시공원 이용행태 특성의 시계열 분석 (A Time Series Analysis of Urban Park Behavior Using Big Data)

  • 우경숙;서주환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35-45
    • /
    • 2020
  • 본 연구는 현대사회에서 도시민의 행태를 지원하는 공간으로 공원에 주목하였다. 현대의 도시공원은 특정한 역할을 하는 공간으로 국한되지 않으며, 공공의 성격을 가지고 있어 이용자의 이용행태에 따라 그 기능·의미가 변화할 수 있다. 또한, 현재 온라인상의 데이터는 방문할 공원의 선택 혹은 공원 이용행태의 결정을 지원하는 단계로 접어들었다. 이에 본 연구는 빅데이터의 자료 기반의 특징인 시계열 분석이 가능하도록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는 최초 년도인 2000년부터 2018년까지 여의도공원·여의도 한강공원과 양재 시민의 숲의 행태 변화를 빅데이터 기법인 텍스트마이닝(Text Mining)과 소셜 네트워크(Social Network;사회연결망)분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의 요약은 다음과 같다. 먼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주요 이용행태와 행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 변화가 있었다. 여의도공원·여의도 한강공원의 이용행태는 제 I시기는 '타다'(동적행태), 제 II시기는 '찍다'(정보통신서비스 행태), 제 III시기는 '걷다'(동적행태), 제 IV시기는 '먹다'(에너지원 행태)로 시간의 흐름에 따라 주요 행태가 다양하게 변화하는 모습이고, 양재 시민의 숲은 제 I시기는 '걷다'(동적행태), 제 II시기는 '걷다'(동적행태), 제 III시기는 '걷다'(동적행태), 제 IV시기는 '놀다'(동적행태)로 주로 동적행태 위주의 행태가 나타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행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여의도공원·여의도 한강공원은 스포츠 및 레저, 문화·예술, 여가와 관련된 요소가 도출되었고, 양재 시민의 숲은 자연자원 요소가 도출되어 주요 이용행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 차이가 있었다. 다음으로 대상지의 행태는 시기별로 특정 행태에 집중화되어 있으며, 차후 발생하는 행태를 선택하거나 제약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대상지에 다양한 행태가 일어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공간, 시설 등이 골고루 활용되지 않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연구결과의 흥미로운 점은 두 공원에서 공통적으로 눈에 띄게 급증한 행태는 에너지원 행태(먹다, 마시다)와 소비행태(사다, 대여하다)이다. 에너지원 행태는 두 공원에서 모두 제 III시기에서 제 IV시기 사이에 10배 이상으로 치솟았으며, 다른 행태와 빈도에서 큰 차이를 보이며 월등히 높았다. 또한, 공원에 방문하는 시민들은 식음료비, 자전거 등의 대여비, 이밖에 행사 참여 등과 관련된 소비의사가 있으며, 공원이 도심 내 휴식공간에서 지역경제 활성화라는 측면에서 본다면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데이터 기법을 활용하여 도시공원 이용행태를 분석하였다는 점과 오늘날 도시공원은 휴식, 산책 등의 역할을 넘어서 시대적인 트렌드를 반영하며, 소비 성향이 나타나는 놀이공간으로 성향이 변화하였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현대 도시공원에서 일어나는 행태는 양과 내용이 과거와 다르게 변화하고 있다. 그러므로 빅데이터를 통해 수집되는 대규모 집단의 행태를 유형화하고,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이루어지는 다학제적인 논의를 통해 오늘날 도시공원을 시민들이 어떻게 이용하고 있는지를 보다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감리인의 특성이 SI사업의 감리품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중앙행정기관의 SI사업을 중심으로 (An Exploratory Study on the Effect of Auditors' Capability on SI Project Quality.)

  • 강재화;김동수;김현수;안연식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IT서비스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41-349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감리인들의 행태적 능력과 전문성 등의 특성이 SI 프로젝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43 개 중앙행정기관의 정보화담당 공무원 58 명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감리인들의 행태적 능력과 전문성이 개발프로세스지원, 프로젝트관리 그리고 프로젝트 지원영역에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중 행태적 능력이 개발프로세스지원, 프로젝트관리 그리고 프로젝트지원 영역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감리인들의 특성을 2 개 집단으로 구분하여 수행한 차이검증 결과 모든 영역에 대해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프로젝트 지원 부분에 대해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 PDF

사서행태의 연구 동향 (Research Trends on Librarians' Behaviors in Korea)

  • 김갑선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309-337
    • /
    • 2016
  • 본 연구는 사서행태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을 분석하여 지향점과 시사점을 모색하는 첫 번째 시도이다. 문헌정보학을 대표하는 4개 학술지의 창간호부터 2015년까지 총 163편(3.3%)의 논문을 선별하였다. 분석준거는 연도 및 시기, 학술지, 주제, 연구목적, 연구방법, 대상지역, 연구자유형이다. 분석결과, 1) 대학도서관 사서행태가 28.8%이며, 공공도서관 사서행태가 26.9% 이었다. 2) 조직행태에 관한 논문이 53.9%이며, 업무행태에 관한 논문은 31.9% 이었다. 3) 사서행태 논문의 연구목적은 관련 현상의 인식 규명이 52.7%이며, 관련 현상의 현황 및 개선은 41.1% 이었다. 4) 양적 연구방법이 매우 우세하였다(82.2%) 5) 대학도서관 사서행태 논의는 사서들의 관련 현상에 관한 인식을 파악하고자 하는 연구목적과 관련이 있었다. 반면에, 공공도서관과 학교도서관 사서(교사)행태는 관련 현상의 실제적 현황과 개선을 연구 목적으로 하는 것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6) 연구자유형은 교수가 참여한 연구가 84.0%이며, 사서가 참여한 연구는 26.3%였다. 사서행태연구의 지속적 발전을 위하여 연구의 수행주체, 연구목적, 연구방법, 학술지 특화전략을 논하였다.

외래 클리닉에서의 길찾기 행위 -진입로에서 출입구까지의 외부공간을 중심으로- (Wayfinding Performance in an Outpatient Clinic -Focused on Outdoor Space from Driveway to Entrance-)

  • 김덕수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17권2호
    • /
    • pp.53-59
    • /
    • 2011
  • 본 연구는 미국 텍사스 주의 소도시에 있는 스캇 앤 화이트 클리닉의 외부공간을 대상으로 하여 외래환자와 방문객들이 직면하는 길찾기의 문제점을 분석한다.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클리닉의 외부공간으로 한정하여 진입도로에서 진입하여 주차한 후 출입구에 도달하는 경로에서 관찰되는 행태적 특성을 분석한다. 분석의 초점은 진입도로에서 이루어지는 경로선택의 결정과 그것이 클리닉에 진입하기 위한 출입구 결정에 미치는 영향관계에 둔다. 분석은 외부공간에서의 길찾기에 관한 기존 연구문헌을 참고하여 작성한 연구모형에 의해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보면, 이용자들이 보이는 날씨, 성별, 그리고 나이에 따른 길찾기 행태의 차이를 클리닉의 남동측 출입구와 남서측 출입구에서 발생하는 이용자들의 하차 빈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하차의 위치를 행태 지도에 기록하여 연구모델에 나타나는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길찾기 행태분석 결과를 통해 파악된 외부주차장에 주차한 후 클리닉에 접근하는 이용자들의 경로선택의 문제점과 클리닉의 입구 공간에서 하차한 이용자들의 입구선택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토대로 하여 외부공간에서 발생하는 길찾기 행위의 효율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디자인 추천 사항을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1) 시각적 단서를 제공하기 위해 남서쪽 출입구의 형태와 색채 차별화; (2) 도로에서 클리닉 진입공간에 위치한 안내판의 글자 크기 확대; (3) 학습된 길찾기 행태를 보조하기 위해 동쪽에 랜드마크 시설물 설치 및 목적 지점의 최종경관 개선; (4) 과도한 클리닉의 정보에 의해 감소되는 가독성을 고려하여 안내판의 정보 간략화; (5) 색채의 대조를 고려(출입구 벽에 설치된 클리닉의 이름이 갈색에 푸른색으로 설치되어 있어 색채의 대비가 낮아 가독성 떨어짐); (6) 클리닉 중앙 출입구의 하차 공간 상부에 설치된 캐노피 기둥의 과도한 크기에 의해 발생하는 가시공간의 감소에 의해 발생하는 하차 공간 사용의 혼잡 문제를 제거하기 위해 기둥규모 축소; (7) 하차점 6까지 캐노피를 확장하여 우천시에 발생하는 공간 사용의 문제점 제거; 그리고 (8) 올바른 하차공간 사용을 위해 진입 접근도로에 차선 설치.

가전 제품의 사용 Log 분석을 통한 사용자 중심 인터페이스 디자인에 관한 연구 - 디지털 TV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developing user-centered interface of consumer electronics based on log analysis)

  • 하윤;최고운;김효선;안정희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7년도 학술대회 2부
    • /
    • pp.179-184
    • /
    • 2007
  • 제품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해당 제품의 사용 행태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핵심적이다. 사용자 행태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는 방법으로는 설문이나 개별/집단 면접 등이 흔히 사용되고 있으나, 이는 사용자들의 기억에 의존하는 간접적인 방법이기 때문에 그 정확성을 보장할 수 없다는 것이 단점으로 지적된다. 이 연구에서는 사용자 조작 로그(Log)를 기록, 수집하는 방법을 활용하여 가전 제품의 사용 행태에 대한 정보를 직접적으로 파악하였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사용자 중심 인터페이스 디자인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디지털TV실사용자 가구들을 조사 대상으로 선발한 후 해당 가정의 실제 사용 환경에서 약 1개월간 사용 로그를 기록하였다. 로그 수집과 함께 면접 설문도 실시하였다. 수집된 로그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제품의 주요 기능별 사용 빈도와 패턴을 추출해 낼 수 있었다. 이 결과를 면접에서 대상자들이 응답한 내용과 비교하여 간접 조사 방법의 정확도를 검증해 보았다. 로그 분석 결과에서 도출된 사용 행태 데이터를 근거로 사용자 맞춤 인터페이스 기능을 제안하였다. 또한 각 가구별 결과를 2차 분석하여, 사용 행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사용자 세분화(Segmentation)를 하였고 각 세그먼트(Segment)별 주요 특징을 도출해 낼 수 있었다. 이러한 여러 분석 결과는 가전 제품의 사용자 중심 인터페이스 개발에 사용 Log분석이 활용될 다양한 가능성과 유용성을 보여주었다.

  • PDF

인터랙티브 미디어 서비스 사용 행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Use Configuration of Interactive Media Services)

  • 양승화;이수진;김진우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7년도 학술대회 1부
    • /
    • pp.197-204
    • /
    • 2007
  • 사용자들이 직접적으로 영상의 전송과 시청 과정에 참여하고, 그 과정에서 다양한 형태로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미디어 서비스를 인터랙티브 미디어 서비스(Interactive media service: IMS)이라고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인터랙티브 미디어 서비스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현재 서비스되고 있는 다양한 형태의 인터넷 미디어 서비스 사용자 12명을 대상으로 한 인터뷰를 진행하였으며 근거 이론 분석법에 따라 이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분석 결과에 따라 도출된 요인들을 바탕으로 인터랙티브 미디어 서비스 사용과 관련한 이론적 틀을 제시하고 이를 검증하기 위한 웹서베이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시스템의 기술적 구조, 커뮤니케이션 맥락, 콘텐츠 특성과 같은 요인들이 인터랙티브 미디어 서비스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실시간 인터랙티브 미디어 서비스의 경우에는 커뮤니케이션 맥락에 따른 사용 행태가 더 민감하게 나타났고, 비실시간 인터랙티브 미디어 서비스에서는 시스템의 기술적 특성과 콘텐츠 특성에 따른 사용 행태가 보다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인터랙티브 미디어 서비스의 시간 유연성(timing flexibility)에 따라서 사용 행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달라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 PDF

GPS와 시각적 OLAP 기술을 이용한 공간행태분석 연구 (Analysis of Human Spatial Behavior with GPS and Visual OLAP Technology)

  • 조재희;서일정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11권1호
    • /
    • pp.181-196
    • /
    • 2009
  • 최근 성능이 우수하고 가격이 저렴한 GPS수신기가 개발되면서 이동객체분석과 공간행태분석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분석을 위한 정보기술과 방법에 관한 연구들이 다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지만, 아직 실무에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는 다차원 모델과 OLAP이라는 데이터분석 기법과 도구들을 이용하여 GPS를 활용한 공간행태분석 방법을 소개하고, 실제 사례를 통해 분석방법 및 분석결과를 제시하였다. 또한, GPS를 활용한 공간행태분석의 유용성과 한계점을 논하였다.

외국인 관광객의 정보추구행태 분석 - 동.서양의 문화적 차이를 중심으로 - (Analysing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of Foreigner in Korea: Based on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the East and the West)

  • 이정미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61-179
    • /
    • 2011
  • 본 연구는 동 서양의 문화적 차이에 따른 정보추구행태를 이해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이용자들이 특정 정보를 필요로 하는 상황에서 선택하는 정보원의 차이를 문화적 차원에서 설명하고자 했다. 설문 및 인터뷰 과정을 통해 관광객들의 문화적 배경뿐 아니라 성별, 나이를 기준으로 각각 비교하는 시각에서 분석하였다. 총 9개국 72인의 외국인 관광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인터뷰를 시행하였다. 문화권, 성별, 연령에 따른 정보추구행태를 비교 분석한 본 결과, 동서양에 따라, 성별에 따라 다른 배경문화권 정보추구행태를 보임을 알 수 있었다. 통계분석은 PASW 18.0을 사용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