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행정프로세스

Search Result 114, Processing Time 0.043 seconds

A Study on IT-Enabled Restructuring Strategy (민원행정업무 프로세스 재설계에 관한 연구)

  • 김상욱;오명륜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Industrial Systems Conference
    • /
    • 1999.05a
    • /
    • pp.259-267
    • /
    • 1999
  • 정부의 대민 서비스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민원행정조직의 근본적인 문제점을 지적하고, 민원행정프로세스를 재구축하기 위한 전략을 제시함으로서 작금 정부가 추구하는 전자정부의 구현에 일조 하고자 함에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소고에서는 민원행정의 중요성 및 우리나라 민원행정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정보기술(IT)을 기반으로 한 프로세스 재설계 방안에 관해 개념적인 차원에서 제시한다. 아울러 민원창구의 혁신을 위한 방안으로 케이스 관리(Case Management) 개념을 제안하고, 궁극적으로 민원행정이 지향하는 원-스톱, 논-스톱 서비스를 실현하기 위한 요건을 언급한다.

  • PDF

전자문서교환(EDI) 적용을 위한 조달 행정프로세스의 개선에 관한 연구

  • 문태수;이준한
    • Proceedings of the CALSEC Conference
    • /
    • 1999.11a
    • /
    • pp.509-526
    • /
    • 1999
  • 인터넷의 확산과 정보기술의 발전에 따라 무역장벽이 낮아지면서 세계 각국은 국가경쟁력 강화를 위한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과거의 정보화는 조직내 업무를 대상으로 추진되어왔다. 하지만, 조직내 시스템의 구축이 어느 정도 완성되면서 긴밀한 거래관계에 있는 조직간에는 전자문서교환(EDI)을 이용하여 거래하는 새로운 개념의 조직간 정보시스템(Inter-Organizational Information Systems : 10S)의 활용이 활성화되고 있다. 우리 나라도 ‘90년대 초부터 각 업종에서 EDI를 도입하기 시작해 무역, 통관, 의료, 유통 등 일부 산업부문에서는 EDI를 활발히 도입하고 있다. 특히 정부에서는 전자정부의 구현을 목표로 대민 서비스 증진, 행정업무의 효율성 증대와 기업의 국제 경쟁력 강화를 위하여 우선적으로 조달 행정업무를 대상으로 EDI를 도입하기로 결정하고, 현재 14종의 문서를 EDI로 개발하려는 1차 확산사업이 시행 중이다. 본 연구에서는 조달 EDI 시스템의 활용을 위하여 조달 EDI 시스템의 구축과정에서 분석되었던 프로세스 재설계(Business Process Redesign)와 프로세스별 시간연구(Time Study)의 과정과 결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 PDF

Administration Process Extension and Public Data Convergence Management (행정 프로세스 확장에 따른 공공 데이터 융합 관리 방안)

  • Kim, Sang Wook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3 no.5
    • /
    • pp.41-49
    • /
    • 2015
  • This study explores the possibility of innovative government's administrative services to the public by reflecting the social implications of 'Big Data'. In particular, the idea of OPP (Order Penetration Point) and SOP (Service Offering Point) as a management scheme for the extension of administrative processes into the resident's living space is proposed to overcome the inherent limits of e-government service quality, the root cause of which is believed in the segregation of two spaces - the resident's living space and the government's offices. Furthermore, a discussion is made on how to integrate sensor data from the resident's living space with traditional administrative database, which is a new challenge in the course of synchronizing the two spaces. The implications on the process extension are also provided centering around the shift from reactive to proactive services.

System Implementation Plan for Applying Spatial Information to Road Occupation Permit Administrative Works (도로점용허가 행정업무에 공간정보 활용을 위한 시스템 구축방안)

  • Youn, Junhee;Kim, Changyoo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6 no.6
    • /
    • pp.4208-4215
    • /
    • 2015
  • Most of the administrative works are executed based on the address. Therefore, spatial information is an essential factor for administrative works. So far, many systems, which apply spatial information to administrative works, have been implemented. However, there is little approach to apply spatial information to road occupation permit works. In this paper, we introduce system implementation plan for applying spatial information to road occupation permit administrative works. System implementation plan includes work analysis, applying scenarios extraction, system function extraction, and datamart construction plans. First, work processes and activities are defined based on the analysis of work handbook. Also, activities are displayed in diagram. Second, scenarios applying spatial information to road occupation permit works are extracted. Third, we derive service functions for system, which realize work processes and applying scenarios. Finally, spatial information datamart construction plan is established. Proposed system implementation plan in this research includes application architecture and part of data architecture. For implementing the system, plan for hardware and software architecture should be studied.

An Exploratory Study on the Effect of Auditors' Capability on SI Project Quality. (감리인의 특성이 SI사업의 감리품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중앙행정기관의 SI사업을 중심으로)

  • Kang, Jae-Hwa;Kim, Dong-Soo;Kim, Hyun-Soo;Ahn, Yon-Sik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5a
    • /
    • pp.341-349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감리인들의 행태적 능력과 전문성 등의 특성이 SI 프로젝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43 개 중앙행정기관의 정보화담당 공무원 58 명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감리인들의 행태적 능력과 전문성이 개발프로세스지원, 프로젝트관리 그리고 프로젝트 지원영역에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중 행태적 능력이 개발프로세스지원, 프로젝트관리 그리고 프로젝트지원 영역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감리인들의 특성을 2 개 집단으로 구분하여 수행한 차이검증 결과 모든 영역에 대해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프로젝트 지원 부분에 대해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 PDF

A Study on Building of the Next Generation Information System on Campus (대학의 차세대 정보시스템 구축 방법에 대한 고찰)

  • Shin, Young-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7.01a
    • /
    • pp.269-270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차세대 정보시스템을 위한 대학 업무 프로세스의 재설계에 대하여 논의한다. 대학의 학사행정, 일반행정, 연구행정의 현재 업무에 대하여 분석하고 각 분야의 재설계 방법에 대하여 논의한다. 학사행정시스템은 차세대 구축 사업에서 가장 핵심적인 시스템으로, 학생의 학사일정에 대한 제반 업무를 재설계하며, 일반행정시스템은 조직 간의 의사소통을 원활히 하고 조직 상호간의 정보공유를 일원화함에 따라 생산성 향상을 지원하도록 재설계하여야 한다. 연구행정시스템은 교수 개인별 자료를 시스템적으로 관리하여 연구행정 업무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도록 재설계한다.

  • PDF

프로젝트 조달 관리

  • 박순규
    • JOURNAL OF ELECTRICAL WORLD
    • /
    • s.335
    • /
    • pp.53-64
    • /
    • 2004
  • 프로젝트 조달관리에는 프로젝트의 범위를 달성하기 위하여 수행 조직의 외부로부터 상품 및 서비스 용역을 획득하기 위해 필요한 조달 기획, 의뢰 기획, 의뢰, 공급자 선택, 계약행정 관리 및 계약종결의 프로세스가 포함된다.

  • PDF

A Study on Process Model for Systematic Management of Archival Objects (행정박물의 체계적 관리를 위한 프로세스 구축방안)

  • Lee, Ye-Kyoung;Kim, Keum-Ei;Lee, Jin-Hee
    •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 /
    • no.17
    • /
    • pp.157-202
    • /
    • 2008
  • Archival Objects are defined as objects having historical, aesthetic, and artistic value as well as archival value created and used with a particular purpose in business process. Increasingly, many countries including Canada, Australia, China are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Archival Objects and designated them as national records. In Korea, Archival Objects are involved in national records through '2006 Plan for the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Reform'. So 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Service provided a foothold for comprehensive plan of national records management including Archival Objects. And also, by revising Records and Archives Management Act in 2007, 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Service declared aggressive will to management Archival Objects. Until now, Objects held in public institution were easy to be damaged because definition or scope of Archival Objects was ambiguous and management system for material character wasn't exist. Even though the revised Records and Archives Management Act suggest definition and declare the responsibility of management, management system focused on various shape and material of objects need to be established. So this study has defined Archival Objects shortly and carried out a research 5 institutions on the actual management condition. By researching the result of institution survey, Records and Archives Management Act and actual Records Management System, we could find some problems. In solving these problems, We provide objects management process in the order capture ${\rightarrow}$ register ${\rightarrow}$ description ${\rightarrow}$ preservation ${\rightarrow}$ use${\rightarrow}$disposition. In addition, close cooperation between records center and museum of institution should be established for the unitive management at national level.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introducing a base to manage Archival Objects systematically. By studying more, we hope to advance in management of valuable Archival Objects.

A Study on Data Integration and Establishment of Business Prosess in Housing Statistics Information System (주택통계 정보시스템의 데이터 통합 및 업무 프로세스 수립에 관한 연구)

  • Yang, Dong-Suk;Park, Beom-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8.10a
    • /
    • pp.383-385
    • /
    • 2018
  • 정확하고 신속한 주택 통계를 도출하기 위해서는 관련 정보를 생성하는 여러 정보시스템들의 연계하여 데이터를 통합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체계화된 업무프로세스를 수립하여 데이터의 중복이나 오류 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국가정보시스템인 건축행정정보시스템(세움터), 주택공급통계시스템(HIS), 부동산실거래관리시스템(RTMS)을 중심으로 주택공급관련 프로세스를 분석하고 효율적인 프로세스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주택통계 업무프로세스 수립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Research of SW Process(SP) quality certification for public SW development of effective quality management (공공 SW개발의 효과적인 품질관리를 위한 SW프로세스(SP) 품질인증 도입 연구)

  • Cho, Yong-Hyun;Lee, SeoukJo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2.11a
    • /
    • pp.1563-1566
    • /
    • 2012
  • 공공에서 개발되는 SW도 타 산업과 같이 융 복합화 되고 복잡해지고 있으며 점차 SW의 품질이 행정 서비스의 경쟁력을 좌우하는 핵심요소로 부각되고 있다. 더욱이 최근의 정보화사업은 시민 편의성 안정성 확보 및 행정 효율성 강화로 확대적용 됨에 따라 정보시스템의 신뢰성 확보가 더욱 중요한 요소로 부각되어 그간 등한시 되었던 공공 정보화 사업관리의 품질분야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개선 노력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에 대한 개선 노력의 일환으로 SW 프로세스 품질인증제 도입을 분석하고 적용 사례를 연구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