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행동 패턴 인식

Search Result 135,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Implementation of a Human Body Motion Pattern Classifier using Extensions of Primitive Pattern Sequences (프리미티브 패턴 나열의 확장에 의한 사람 몸 동작 패턴 분류기의 구현)

  • 조경은;조형제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0.11a
    • /
    • pp.475-478
    • /
    • 2000
  • 사람의 몸 동작을 인식해야하는 여러 응용분야에서의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이 분야로의 연구가 활발해지고 있다. 이 논문은 사람의 비언어적 행동을 자동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인식기 개발에 관한 것으로 실세계 3 차원 좌표값을 입력으로 하는 사람 몸 동작 패턴 분류기의 구현방법을 소개한 것이다. 하나의 사람 몸 동작은 각 몸 구성 성분(손, 아래팔, 위팔, 어깨, 머리, 몸통 등)의 움직임을 조합해서 정의한 수가 있기 때문에 개별적인 각 몸 구성성분의 움직임을 인식하여 조합해서 임의의 동작을 판별하려는 방법을 적용한다. 사람 몸 동작 패턴 분류기는 측정된 실세계 3 차원 좌표 자료를 양자화한 후 xy, zy 평면에 투영한 값을 자자 구한다. 이 결과를 각각 8 방향 체인 코드로 바꾸고 2 단계 체인 코드 평활화 사업을 하여, 4 방향 코드 체적화 및 대표 코드로의 압축단계를 거친다. 이로서 생성된 프리미티브 패턴나열들을 동작 클래스별로 분류하여 프리미티브 패턴나열의 확장으로 각각의 식별기를 구축하여 각 몸 구성 성분별 동작들을 분류한다. 일련의 실험이 행해져 그 타당성을 확인하였으며, 차후에 이 분류기는 비언어적 행동 분석을 위한 사람 몸 동작 인식기의 전처리 단계로 사용되어진 것이다.

  • PDF

An efficient human group activity recognition based on spatiotemporal pattern (시공간 패턴을 이용한 효율적인 그룹 행동 인식 방법)

  • Kim, Taeksoo;Jung, Soonhong;Sull, Sa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4.04a
    • /
    • pp.823-825
    • /
    • 2014
  • 감시 카메라 환경에서 자동으로 그룹 행동을 인식하는 기술이 최근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그룹 해동 인식 시스템은 다른 추가 정보 없이 비디오 프레임만을 인풋으로 받아들여, 자동으로 보행자 탐지, 추적, 행동 인식까지 모두 포괄하는 시스템이다. 시공간 모션 패턴을 만들고 연결 요소들로 모델링 한 뒤 Hidden Markov Model (HMM)을 이용해 그룹 행동을 인식한다. 실험 결과, 기본 논문과 비교하였을 때, 비슷한 인식률을 보이면서 수행 시간을 약 25 배 정도로 획기적으로 단축하였다.

Top-down Approach for User Abnormal Activity Detection Based on the Accelerometer (가속도 센서 기반 사용자 비정상 행동 검출 탑-다운 접근 방법 제안)

  • Lee, Min-Seok;Lim, Jong-Gwan;Kwon, Dong-Soo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2a
    • /
    • pp.368-372
    • /
    • 2009
  • The method to get the feature have been proposed to recognize the user activity by setting specific action for making the user independent result in previous research. However, it was only applied in specific environment and it was difficult to implement because it regarded only some specific feature as the recognized object. To improve this problem we detected the normality/abnormality of the activity based on the repetition and the continuity of the past activity pattern. We applied the unsupervised learning method, not supervised, and clustered the data which was collected within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we regarded it as the basis of the evaluation of the repetition. We demonstrated to be able to detect the abnormal activity based on wether the data was generated repeatedly.

  • PDF

A Model to Infer Users' Behavior Patterns for Personalized Recommendation Service based Context-Awareness (컨텍스트 인식 기반 개인화 추천 서비스를 위한 사용자 행동패턴 추론 모델)

  • Seo, Hyo-Seok;Lee, Sang-Yong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0 no.2
    • /
    • pp.293-297
    • /
    • 2012
  • In order to provide with personalized recommendation service in context-awareness environment, the collected context data should be analyzed fast and the objective of user should be able to inferred effectively. But, the context collected from the mobile devices is not suitable for applying the existing inference algorithms as they are due to the omission or uncertainty of information and the efficient algorithms are required for mobile environment. In this paper, the behavior pattern was classified using naive bayes classification for minimize the loss caused by the omission or error of information. And pattern matching was used to effectively learn of the users inclination and infer the behavior purpose. The accuracy of the suggested inference model was evaluated by applying to the application recommendation service in the smart phones.

A Comparative Study of Two Paradigms in Information Retrieval: Centering on Newer Perspectives on Users (정보검색에 있어서 두 패러다임의 비교분석 : 이용자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중심으로)

  • Cho Myung-Da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24
    • /
    • pp.333-369
    • /
    • 1993
  • 정보검색 시스템을 대하는 대부분의 이용자의 대답은 '이용하기에 어렵다'라는 것이다. 기계적인 정보검색을 기본 철학으로 하는 기존의 matching paradigm은 정보 곡체를 여기 저기 내용을 옮길 수 있는 물건으로 간주한다. 그리고 기존의 정보시스템은 이용자가 시스템을 구성한 사람의 의도 (즉, indexing, cataloguing rule)를 완전히 이해한다면, 즉 완전하게 질문식(query)을 작성한다면, 효과적인 검색을 할 수 있는 그런 시스템이다. 그러나 어느 이용자가 그 복잡한 시스템을 이해하고 정보검색을 할 수 있겠는가? 한마디로 시스템을 설계한 사람의 의도로 이용자가 적응해서 검색을 한다는 것은 아주 힘든 일이다. 그러나 우리가 이용자에 대한 인식을 다시 한다면 보다 나은 시스템을 만들 수 있다고 본다. 우리 인간은 아주 창조적이어서 자기가 처한 상황에서 이치에 맞게끔 자기 나름대로의 행동을 할 수 있다(sense-making approach). 이 사실을 인식한다면, 왜 이용자들의 행동양식에 시스템 설계자가 적응을 못하는 것인가? 하고 의문을 던질 수 있다. 앞으로의 시스템이 이용자들의 자연스러운 행동 패턴에 맞게 끔 설계된다면 기존의 시스템과 함께 쉽게 이용할 수 있는 편리한 시스템이 설계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도서관 및 정보학 연구에 있어서 기존의 분류. 목록에 대한 연구와 이용자체에 대한연구(예를 들면, 몇 시에 이용자가 많은가? 어떤 종류의 책을 어떤 계충에서 많이 보는가? 도서 및 잡지가 어떻게 양적으로 성장해 왔는가? 등등의 use study)와 함께 여기서 제시한 제3의 요소인 이용자의 인식(cognition)을 시스템설계에 반드시 도입을 해야만 한다고 본다(user-centric approach). 즉 이용자를 중간 중간에서 도울 수 있는 facilitator가 많이 제공되어야 한다. 이용자의 다양한 패턴의 정보요구(information needs)에 부응할 수 있고, 질문식(query)을 잘 만들 수 없는 이용자를 도울 수 있고(ASK hypothesis: Anomolous State of Knowledge), 어떤 질문식 없이도 자유스럽게 Browsing할 수 있는(예를 들면 hypertext) 시스템을 설계하기 위해서는 눈에 보이는 이용자의 행동패턴(external behavior)도 중요하지만 우리 눈에는 보이지 않는 이용자의 심리상태를 이해한다면 훨씬 나은 시스템을 만들 수 있다. 이용자가 '왜?' '어떤 상황에서,' '어떤 목적으로,' '어떻게,' 정보를 검색하는지에 대해서 새로운 관심을 들려서 이용자들이 얼마나 우리 시스템 설계자들의 의도에 미치지 못한다는 사실을 인식 해야한다. 이 분야의 연구를 위해서는 새로운 paradigm이 필수적으로 필요하다고 본다. 단지 'user-study'만으로는 부족하며 새로운 시각으로 이용자를 연구해야 한다. 가령 새롭게 설치된 computer-assisted system에서 이용자들이 어떻게, 그리핀 어떤 분야에서 왜 그렇게 오류 (error)를 범하는지 분석한다면 앞으로의 computer 시스템 선계에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믿는다. 실제로 많은 방법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면 시스템 설계자가 가졌던 이용자들이 이러 이러한 방식으로 정보검색을 할 것이라는 예측과(즉, conceptual model) 실제 이용자들이 정보검색을 할 때 일어나는 행동패턴 사이에는(즉, mental model) 상당한 차이점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이 차이점을 줄이는 것이 시스템 설계자의 의무라고 생각한다. 결론적으로, Computer에 대한 새로운 지식과 함께 이용자들의 인식을 연구할 수 있는, 철학적이고 방법론적인 연구를 계속하나가면서, 이용자들의 행동패턴을 어떻게 시스템 설계에 적용할 수 있는 지를 연구해야 한다. 중요하게 인식해야할 사실은 구 Paradigm을 완전히 무시하라는 것은 아니고 단지 이용자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추가하자는 것이다. 그것이 진정한 User Study가 될 수 있는 길이라고 생각하며, 컴퓨터와 이용자 사이의 '원활한 의사교환'이 필수불가결 한 지금 우리 학문이 가야 할 한 연구분야이다. (Human Interaction with Computers)

  • PDF

Discovery of Behavior Sequence Pattern using Mining in Smart Home (스마트 홈에서 마이닝을 이용한 행동 순차 패턴 발견)

  • Chung, Kyung-Yong;Kim, Jong-Hun;Kang, Un-Gu;Rim, Kee-Wook;Lee, Jung-Hyu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8 no.9
    • /
    • pp.19-26
    • /
    • 2008
  • With the development of ubiquitous computing and the construction of infrastructure for one-to-one personalized services, the importance of context-aware services based on user's situation and environment is being spotlighted. The smart home technology connects real space and virtual space, and converts situations in reality into information in a virtual space, and provides user-oriented intelligent services using this information. In this paper, we proposed the discovery of the behavior sequence pattern using the mining in the smart home. We discovered the behavior sequence pattern by using mining to add time variation to the association rule between locations that occur in location transactions. We can predict the path or behavior of user according to the recognized time sequence and provide services accordingly.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behavior consequence pattern using mining, we conducted sample t-tests so as to verify usefulness. This evaluation found that the difference of satisfaction by service was statistically meaningful, and showed high satisfaction.

A Recognition Algorithm of Suspicious Human Behaviors using Hidden Markov Models in an Intelligent Surveillance System (지능형 영상 감시 시스템에서의 은닉 마르코프 모델을 이용한 특이 행동 인식 알고리즘)

  • Jung, Chang-Wook;Kang, Dong-Joong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 /
    • v.11 no.11
    • /
    • pp.1491-1500
    • /
    • 2008
  • This paper proposes an intelligent surveillance system to recognize suspicious patterns of the human behavior by using the Hidden Markov Model. First, the method finds foot area of the human by motion detection algorithm from image sequence of the surveillance camera. Then, these foot locus form observation series of features to learn the HMM. The feature that is position of the human foot is changed to each code that corresponds to a specific label among 16 local partitions of image region. Therefore, specific moving patterns formed by the foot locus are the series of the label numbers. The Baum-Welch algorithm of the HMM learns each suspicious and specific pattern to classify the human behaviors. To recognize the inputted human behavior pattern in a test image, the probabilistic comparison between the learned pattern of the HMM and foot series to be tested decides the categorization of the test pattern.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method can be applied to detect a suspicious person prowling in corridor.

  • PDF

A comparison of activity recognition using a triaxial accelerometer sensor (3축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행동 인식 비교)

  • Wang, ChangWon;Ho, JongGab;Na, YeJi;Jung, HwaYung;Nam, YunYoung;Min, Se D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5.10a
    • /
    • pp.1361-1364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노인들이 일상에서 많이 행동하는 7가지 유형의 행동의 특징을 추출하고, 총 7가지 분류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가장 인식률이 높은 알고리즘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행동패턴은 정상보행, 절름발이, 지팡이, 느린 보행, 허리가 굽은 상태에서 보행, 스스로 휠체어 끌 때 그리고 누군가가 휠체어를 끌어줄 때 총 7가지로 구성하였다. 행동패턴의 특징은 3축 가속도 센서의 값, 평균, 표준편차, 수직 및 수평축의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분류 알고리즘은 Naive Bayes, Bayes Net, k-NN, SVM, Decision Tree, Multilayer perception, Logistic regression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k-NN 알고리즘의 인식률이 98.7%로 다른 분류알고리즘에 비해 인식률이 높게 나타났다.

Analysis and Recognition of Behavior of Medaka in Response to Toxic Chemical Inputs by using Multi-Layer Perceptron (다층 퍼셉트론을 이용한 유해물질 유입에 따른 송사리의 행동 반응 분석 및 인식)

  • 김철기;김광백;차의영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 /
    • v.6 no.6
    • /
    • pp.1062-1070
    • /
    • 2003
  • In this paper, we observe one of the aquatic insect, fish(Medaka)'s behavior which reacts to giving toxic chemicals until lethal conditions using automatic tracking sl$.$stem. For the result, we define the Pattern A is a normal movement of fish and Pattern B is after giving the chemicals. In order to detect the movement of fish automatically, these patterns are selected for the training data of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s. The average recognition rates of the pattern B are remarkably increased after inputs of toxic chemical(diazinon) while the Pattern A is decreased distinctively.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artificial neural networks are useful method for detecting presence of toxicoid in environment as for an alternative of in-situ behavioral monitoring tool.

  • PDF

Gait pattern analysis system using pressure sensor based on conductive fiber (전도성 섬유 기반의 압력센서를 이용한 보행패턴 분석 시스템)

  • Jung, Hwa-Yung;Wang, Chang-Won;Na, Ye-Ji;Ho, Jong-Gab;Min, Se-D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5.10a
    • /
    • pp.1369-1371
    • /
    • 2015
  • 본 논문은 전도성섬유 압력센서로 보행신호를 획득하고 걷기, 서기, 앉기, 계단오르기, 계단내려오기 등 총 5가지 행동을 인식하는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이 목적이다. 시스템은 Capacitive pressure 센서, CDC(Capacitive to Digital Converter), 마이크로프로세서, 블루투스 모듈, 스마트 폰으로 구성되고 획득한 데이터 패턴을 분류한 결과 평균 99.5%의 높은 인식률을 보였다. 각 발당 한 개의 채널만을 이용해 행동패턴을 인지함으로써 적은 수의 채널로도 행동인지의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