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핸드오버 기법

검색결과 260건 처리시간 0.028초

IP 핸드오버 : 망기반 기법 versus 종단간 기법

  • 고석주
    • 정보와 통신
    • /
    • 제24권4호
    • /
    • pp.106-115
    • /
    • 2007
  • 본 고에서는 IP 핸드오버를 지원하기 위한 기존 프로토콜들을 망기반(network-based) 핸드오버 기법과 종단간(end-to-end) 핸드오버 기법으로 분류하여 비교 분석한다. 망기반 핸드오버 기법에는 FMIP (Fast handover for Mobile IP)와 NETLMM(Network-based Localized Mobility Management) 프로토콜이 있으며, 종단간 핸드오버 기법에는 SCTP 프로 토콜과 SIP 프로토콜을 활용하는 방법이 있다. 차세대 통신망에서는 다앙한 망환경 및 응용서비스가 혼재할 것으로 전망되며, 각기 특성에 따라 망기반 핸드오버 기법과 종단간 핸드오버 기법이 적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Seamless 인터넷 서비스를 위한 IP 이동성 및 고속 핸드오버 기법

  • 김평수;김용진
    • 정보와 통신
    • /
    • 제26권2호
    • /
    • pp.9-15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이종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기술이 혼재 되어 있는 환경에서 수평적 혹은 수직적 핸드오버를 위한 IP 이동성 기법 및 Seamless한 서비스 제공을 위한 고속 핸드오버 기법에 대해서 다루고자 한다. 첫 번째로, 호스트 기반의 IP 이동성 기법 및 고속 핸드오버 기법들을 분석한다. 두 번째로, 최근 활발히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네트워크 기반의 IP 이동성 기법인 PMIPv6과 이에 대한 고속 핸드오버 기법을 접근 방식에 따라 분류하여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이들 기법에 대한 핸드오버 지연 측면에서의 해석적 비교 분석을 수행한다.

오버레이 네트워크에서 끊김없는 이동성 지원을 위한 수직적 핸드오버 기법 (Vertical Handover scheme for Seamless Mobility in Overlay Networks)

  • 한정훈;김진수;황승희;공기식;황종선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1339-1342
    • /
    • 2005
  • 이기종 네트워크들이 계층적인 구조로 결합되어 있는 오버레이 네트워크 환경에서 이동 단말(Mobile Terminal:MT)의 끊김없는 이동성 지원을 위해서는, 패킷 손실 및 호 단절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최적의 핸드오버 시점을 결정할 수 있어야 한다. 기존의 수직적 핸드오버 기법은, 단순히 MT의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핸드오버 수행을 예측하고 결정하였다. 하지만 이 기법은, MT의 위치와 관계없이 네트워크의 과부하로 인한 패킷 손실 및 호 단절 현상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네트워크의 과부하에 따른 핸드오버 시점을 간과하는 문제점을 노출하였다. 하루가 다르게 인터넷 트래픽이 급증하는 현실에서, 네트워크의 과부하를 고려하는 핸드오버 기법이 필요한 때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MT의 위치와 네트워크의 부하를 모두 고려하여 핸드오버 시점을 결정할 수 있는 핸드오버 맵(Handover-Map:H-Map)의 개념을 제안한다. 그리고 핸드오버 동기화 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해 향상된 H-Map을 기반으로 차별화된 핸드오버 시점을 부여하는 VAH(Vertical handover on Advanced H-Map) 기법을 소개하고, 이의 성능을 기존기법과 비교한다.

  • PDF

고속 환경에서 원활한 LTE 핸드오버를 위한 기법 (Techniques for seamless handover from LTE high-speed environment)

  • 정영교;윤희용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5년도 제51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23권1호
    • /
    • pp.255-258
    • /
    • 2015
  • LTE 통신 환경에서 핸드오버 기법은 이동장치가 120km/h 이하의 속도에서 원활한 핸드오버가 이루어진다. 하지만 그 이상의 속도로 이동시, 핸드오버가 지연되거나 실패하고 Ping-pong효과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어 이동장치의 원활한 신호수신을 방해한다. 본 논문에서는 새로운 핸드오버 기법을 이용하여 120Km/h이상의 고속으로 이동하는 고속철도나 자가용에서도 이동장치가 원활한 신호 수신을 할 수 있도록 적절한 중계기에 핸드오버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현재 이동장치의 상태를 파악한 뒤 고속, 저속 핸드오버를 상황에 맞게 결정하는 핸드오버 기법을 제안한다.

  • PDF

드론 기반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주파수 효율 향상을 위한 확률적 핸드오버 기법 (A Probabilistic Handover Scheme for Enhancing Spectral Efficiency in Drone-base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 장환원;우동혁;황호영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5권9호
    • /
    • pp.1220-1226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기지국의 역할을 수행하는 드론을 기반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주파수 효율 성능 향상을 위한 확률적 핸드오버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이동하는 드론 기지국이 지상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 드론 기지국과 사용자 단말 간 거리 및 소규모 페이딩을 고려하여 드론기지국들 간의 핸드오버를 수행한다. 또한, 제안하는 기법은 빈번한 핸드오버 수행 시 발생할 수 있는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완화하기 위해 드론 기지국들 간 핸드오버를 수행할 확률을 고려한다. 드론 기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시뮬레이션을 통해 제안하는 핸드오버 기법 및 기존 핸드오버 기법의 주파수 효율 성능 및 핸드오버 확률을 평가한다. 시뮬레이션 결과를 통해 드론 기지국과 사용자 단말 간의 거리만을 고려한 기존의 핸드오버 기법보다 제안하는 핸드오버 기법에서 더 높은 평균 주파수 효율 성능이 나타남을 보인다.

3G-WiBro 망간 수직핸드오버를 위한 mSCTP 기법 (mSCTP for Vertical Handover between 3G and WiBro)

  • 김동필;고석주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정보통신
    • /
    • 제35권4호
    • /
    • pp.355-366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3G 이동통신망과 WiBro 망간 수직 핸드오버 지원을 위한 mobile SCTP (mSCTP) 핸드오버 기법 적용방안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이종망간 mSCTP 핸드오버 기법의 성능분석을 위해 이동 단말에서 mSCTP 핸드오버를 자동적으로 지원하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리눅스 기반 테스트베드 실험을 통해 핸드오버 지연 관점에서 성능을 분석하고 실험결과를 Mobile IP 핸드오버 기법과 비교하였다. 실험결과, 이종망간 중첩영역에서 이동 단말의 체류시간이 충분히 클 때 mSCTP 핸드오버 지연시간이 상당히 감소될 수 있고, 또한 Mobile IP 보다 상대적으로 더 좋은 핸드오버 성능을 보여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OFDM 기반 IP 네트워크에서의 소프트 핸드오버 기법 (Soft Handover Scheme in OFDM based IP Networks)

  • 김우재;임완선;김상진;서영주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6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3 No.2 (D)
    • /
    • pp.263-267
    • /
    • 2006
  • OFDM(A) 기반 네트워크는 IEEE 802.16e 시스템 및 WiBro 시스템 등으로 구현되고 있으며, 4G 시스템과 같은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반 기술로서 많이 연구되고 있는 시스템이다. 이와 같은 OFDM(A) 시스템을 기반으로 IP 네트워크를 구축하게 된다면, 단말의 핸드오버를 지원하기 위하여 MAC 및 IP 계층에서의 핸드오버 기법에 대한 정의가 필요하다. IP 네트워크의 가장 큰 특징은 CDMA와 같은 서킷 네트워크가 아니라 패킷 네트워크라는 것이다. 이러한 패킷기반 네트워크에서의 소프트 핸드오버 기법은 CDMA 네트워크에서 제공되고 있는 소프트 핸드오버 기법을 그대로 적용할 수 없다. CDMA 소프트 핸드오버 기법은 물리계층에서의 신호 결합을 수행하게 되는데 패킷 네트워크에서 두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패킷은 MAC 및 IP 헤더를 가지게 되고, 헤더에 포함되는 정보는 각 기지국에서 서로 다르게 전송하므로 물리계층에서의 신호 결합을 수행할 수가 없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에 제안된 소프트 핸드오버 기법의 단점을 보완하고 IP 기반 네트워크에 적용 가능한 소프트 핸드오버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소프트 핸드오버 기법은 패킷 네트워크의 특성을 반영하여 소프트 핸드오버에 참여하는 기지국이 서로 다른 패킷을 전송하도록 디자인하였고, 에러 발생률을 낮추기 위하여 AMC (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 기법을 적용하였다. 또한 OFDM(A) 시스템의 multi-carrier 특성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함으로써 네트워크의 전체적인 성능 향상이 가능하도록 개발되었다.

  • PDF

이기종 망간의 핸드오버 결정기법 (The new approach to handover decision between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s with MIH)

  • 김린;이성원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11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논문집 Vol.38 No.1(D)
    • /
    • pp.292-294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이기종 무선 망 환경에서 단말의 효율적인 이동성 지원을 위해 IEEES02.21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이기종 망간의 새로운 핸드오버 결정기법을 제안한다. 기존의 핸드오버 결정 방법은 주로 이동망의 수신된 신호세기(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를 기준으로 하여 신호강도에 따라 핸드오버할 시점을 결정하였지만 신호세기에 상관없이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 지지 않을 경우에는 신호세기만으로 핸드오버를 결정할 수 없다. 따라서 제안하는 기법은 단말이 핸드오버를 할 대 신호세기뿐만 아니라 이동하고자 하는 단말의 송신상태를 보고 핸드오버를 수행한다. 이는 신호세기가 좋더라도 통신이 되지 않을 경우에 핸드오버를 수행하여 좀 더 효율적인 망 이동성을 지원하는 방안이다.

PMIPv6에서 사전 인증 기법과 경로 최적화를 이용한 효율적인 핸드오버 기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fficient Handover Scheme using Pre-authentication and Route Optimization in PMIPv6)

  • 김성철;문일영;조성준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1117-1124
    • /
    • 2010
  • PMIPv6는 IETF의 NetLMM WG에서 표준화를 진행하는 네트워크 기반 이동성 지원 기법으로서, 기존의 단말 기반 이동성 지원 기법의 문제점과 비효율성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되었다. IETF에서 공개한 표준 문서는 MN에게 이동성을 제공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성 요소와 그 구체적인 동작 및 핸드오버 절차에 대해 서술하고 있다. 그러나 MAG간 핸드오버에 대해서만 정의되어 있고 LMA간 핸드오버에 대해서는 정의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MN에게 보다 효율적으로 끊김 없는 인터넷 접속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LMA간 핸드오버 기법이 함께 사용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기법은 기존에 제안된 LMA간 핸드오버 기법의 단점인 LMA간 터널을 사용하지 않고, 경로 최적화 절차를 거쳐 효율적인 전송 경로를 사용한다. 또한 핸드오버 지연을 줄이기 위해 사전 인증 기법을 도입하였다. 성능 분석 결과에 따르면 제안하는 기법이 기존의 이동성 지원 기법에 비해 핸드오버 지연을 크게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동시 Buffering 기법을 이용한 핸드오버 성능개선 (Performance Improvement of Handovers Using Buffering Mechanism)

  • 최승교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2권7호
    • /
    • pp.19-26
    • /
    • 2005
  • 최근 무선 인터넷의 수요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Mobile IPv6가 제안되었으며, 이에 따른 핸드오버 지연을 줄이기 위한 빠른 핸드오버 기법이 제안되었다(IETF). 본 논문에서는 빠른 핸드오버 기법에서 발생하는 패킷의 손실 문제와 패킷의 비순서 문제를 해결하고 이로 인한 처리 지연을 줄일 수 있는 버퍼링 기법을 제안하였다. 또한 제안된 다양한 버퍼링 구조에 의한 빠른 핸드오버 기법의 성능 영향을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시뮬레이션을 통한 분석 결과, 제안된 버퍼링 기법은 패킷의 손실과 패킷의 비 순서를 해결하였고, 또한 기존 빠른 핸드오버 방식보다 버퍼링 기법은 최대 27$\%$정도 지연을 감소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