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핸드오버 기법

Search Result 260, Processing Time 0.051 seconds

IP 핸드오버 : 망기반 기법 versus 종단간 기법

  • Go, Seok-Ju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4 no.4
    • /
    • pp.106-115
    • /
    • 2007
  • 본 고에서는 IP 핸드오버를 지원하기 위한 기존 프로토콜들을 망기반(network-based) 핸드오버 기법과 종단간(end-to-end) 핸드오버 기법으로 분류하여 비교 분석한다. 망기반 핸드오버 기법에는 FMIP (Fast handover for Mobile IP)와 NETLMM(Network-based Localized Mobility Management) 프로토콜이 있으며, 종단간 핸드오버 기법에는 SCTP 프로 토콜과 SIP 프로토콜을 활용하는 방법이 있다. 차세대 통신망에서는 다앙한 망환경 및 응용서비스가 혼재할 것으로 전망되며, 각기 특성에 따라 망기반 핸드오버 기법과 종단간 핸드오버 기법이 적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Seamless 인터넷 서비스를 위한 IP 이동성 및 고속 핸드오버 기법

  • Kim, Pyeong-Su;Kim, Yong-Jin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6 no.2
    • /
    • pp.9-15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이종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기술이 혼재 되어 있는 환경에서 수평적 혹은 수직적 핸드오버를 위한 IP 이동성 기법 및 Seamless한 서비스 제공을 위한 고속 핸드오버 기법에 대해서 다루고자 한다. 첫 번째로, 호스트 기반의 IP 이동성 기법 및 고속 핸드오버 기법들을 분석한다. 두 번째로, 최근 활발히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네트워크 기반의 IP 이동성 기법인 PMIPv6과 이에 대한 고속 핸드오버 기법을 접근 방식에 따라 분류하여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이들 기법에 대한 핸드오버 지연 측면에서의 해석적 비교 분석을 수행한다.

Vertical Handover scheme for Seamless Mobility in Overlay Networks (오버레이 네트워크에서 끊김없는 이동성 지원을 위한 수직적 핸드오버 기법)

  • Han, Jung-Hoon;Kim, Jin-Soo;Hwang, Seung-Hee;Kong, Ki-Sik;Hwang, Chong-S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5.05a
    • /
    • pp.1339-1342
    • /
    • 2005
  • 이기종 네트워크들이 계층적인 구조로 결합되어 있는 오버레이 네트워크 환경에서 이동 단말(Mobile Terminal:MT)의 끊김없는 이동성 지원을 위해서는, 패킷 손실 및 호 단절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최적의 핸드오버 시점을 결정할 수 있어야 한다. 기존의 수직적 핸드오버 기법은, 단순히 MT의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핸드오버 수행을 예측하고 결정하였다. 하지만 이 기법은, MT의 위치와 관계없이 네트워크의 과부하로 인한 패킷 손실 및 호 단절 현상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네트워크의 과부하에 따른 핸드오버 시점을 간과하는 문제점을 노출하였다. 하루가 다르게 인터넷 트래픽이 급증하는 현실에서, 네트워크의 과부하를 고려하는 핸드오버 기법이 필요한 때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MT의 위치와 네트워크의 부하를 모두 고려하여 핸드오버 시점을 결정할 수 있는 핸드오버 맵(Handover-Map:H-Map)의 개념을 제안한다. 그리고 핸드오버 동기화 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해 향상된 H-Map을 기반으로 차별화된 핸드오버 시점을 부여하는 VAH(Vertical handover on Advanced H-Map) 기법을 소개하고, 이의 성능을 기존기법과 비교한다.

  • PDF

Techniques for seamless handover from LTE high-speed environment (고속 환경에서 원활한 LTE 핸드오버를 위한 기법)

  • Jung, Young Gyo;Youn, Hee 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5.01a
    • /
    • pp.255-258
    • /
    • 2015
  • LTE 통신 환경에서 핸드오버 기법은 이동장치가 120km/h 이하의 속도에서 원활한 핸드오버가 이루어진다. 하지만 그 이상의 속도로 이동시, 핸드오버가 지연되거나 실패하고 Ping-pong효과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어 이동장치의 원활한 신호수신을 방해한다. 본 논문에서는 새로운 핸드오버 기법을 이용하여 120Km/h이상의 고속으로 이동하는 고속철도나 자가용에서도 이동장치가 원활한 신호 수신을 할 수 있도록 적절한 중계기에 핸드오버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현재 이동장치의 상태를 파악한 뒤 고속, 저속 핸드오버를 상황에 맞게 결정하는 핸드오버 기법을 제안한다.

  • PDF

A Probabilistic Handover Scheme for Enhancing Spectral Efficiency in Drone-base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드론 기반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주파수 효율 향상을 위한 확률적 핸드오버 기법)

  • Jang, Hwan Won;Woo, Dong Hyuck;Hwang, Ho Young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5 no.9
    • /
    • pp.1220-1226
    • /
    • 2021
  • In this paper, we propose a probabilistic handover scheme for enhancing spectral efficiency in drone-base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When a moving drone base station (DBS) provides the drone-based wireless communication service to a user equipment (UE) located on the ground, our proposed handover scheme considers the distance between DBS and UE and small scale fading. In addition, our proposed handover scheme considers a handover probability to mitigate the signalling overhead that may occur when performing frequent handovers. Through simulations for drone-base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we evaluate the spectral efficiency and the handover probability of our proposed handover scheme and the conventional handover scheme. Th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our proposed handover scheme can achieve higher average spectral efficiency than the conventional handover scheme which considers only the distance between DBS and UE.

mSCTP for Vertical Handover between 3G and WiBro (3G-WiBro 망간 수직핸드오버를 위한 mSCTP 기법)

  • Kim, Dong-Phil;Koh, Seok-Joo
    • Journal of KIISE:Information Networking
    • /
    • v.35 no.4
    • /
    • pp.355-366
    • /
    • 2008
  • This paper proposes a mobile SCTP (mSCTP) handover scheme for vertical handover between 3G wireless and WiBro networks. To evaluate the proposed mSCTP vertical handover scheme, we implement the mSCTP handover supporting system over Linux platform in which the movement of a mobile node is automatically detected and the mSCTP vertical handover is performed by the mobile node. We analyze and compare the performance of mSCTP handover and Mobile IP handover over the preconfigured testbed. From the numerical results, we can see that the handover latency of mSCTP could be much more reduced, compared to the Mobile IP handover, if the mobile node would sojourn long enough in the overlapping region between the two heterogeneous networks.

Soft Handover Scheme in OFDM based IP Networks (OFDM 기반 IP 네트워크에서의 소프트 핸드오버 기법)

  • Kim, Woo-Jae;Im, Wan-Sun;Kim, Sang-Jin;Suh, Young-J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10d
    • /
    • pp.263-267
    • /
    • 2006
  • OFDM(A) 기반 네트워크는 IEEE 802.16e 시스템 및 WiBro 시스템 등으로 구현되고 있으며, 4G 시스템과 같은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반 기술로서 많이 연구되고 있는 시스템이다. 이와 같은 OFDM(A) 시스템을 기반으로 IP 네트워크를 구축하게 된다면, 단말의 핸드오버를 지원하기 위하여 MAC 및 IP 계층에서의 핸드오버 기법에 대한 정의가 필요하다. IP 네트워크의 가장 큰 특징은 CDMA와 같은 서킷 네트워크가 아니라 패킷 네트워크라는 것이다. 이러한 패킷기반 네트워크에서의 소프트 핸드오버 기법은 CDMA 네트워크에서 제공되고 있는 소프트 핸드오버 기법을 그대로 적용할 수 없다. CDMA 소프트 핸드오버 기법은 물리계층에서의 신호 결합을 수행하게 되는데 패킷 네트워크에서 두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패킷은 MAC 및 IP 헤더를 가지게 되고, 헤더에 포함되는 정보는 각 기지국에서 서로 다르게 전송하므로 물리계층에서의 신호 결합을 수행할 수가 없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에 제안된 소프트 핸드오버 기법의 단점을 보완하고 IP 기반 네트워크에 적용 가능한 소프트 핸드오버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소프트 핸드오버 기법은 패킷 네트워크의 특성을 반영하여 소프트 핸드오버에 참여하는 기지국이 서로 다른 패킷을 전송하도록 디자인하였고, 에러 발생률을 낮추기 위하여 AMC (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 기법을 적용하였다. 또한 OFDM(A) 시스템의 multi-carrier 특성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함으로써 네트워크의 전체적인 성능 향상이 가능하도록 개발되었다.

  • PDF

The new approach to handover decision between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s with MIH (이기종 망간의 핸드오버 결정기법)

  • Kim, Lin;Lee, Su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1.06d
    • /
    • pp.292-294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이기종 무선 망 환경에서 단말의 효율적인 이동성 지원을 위해 IEEES02.21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이기종 망간의 새로운 핸드오버 결정기법을 제안한다. 기존의 핸드오버 결정 방법은 주로 이동망의 수신된 신호세기(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를 기준으로 하여 신호강도에 따라 핸드오버할 시점을 결정하였지만 신호세기에 상관없이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 지지 않을 경우에는 신호세기만으로 핸드오버를 결정할 수 없다. 따라서 제안하는 기법은 단말이 핸드오버를 할 대 신호세기뿐만 아니라 이동하고자 하는 단말의 송신상태를 보고 핸드오버를 수행한다. 이는 신호세기가 좋더라도 통신이 되지 않을 경우에 핸드오버를 수행하여 좀 더 효율적인 망 이동성을 지원하는 방안이다.

A Study on Efficient Handover Scheme using Pre-authentication and Route Optimization in PMIPv6 (PMIPv6에서 사전 인증 기법과 경로 최적화를 이용한 효율적인 핸드오버 기법에 관한 연구)

  • Kim, Seong-Chul;Moon, Il-Young;Cho, Sung-Joo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4 no.5
    • /
    • pp.1117-1124
    • /
    • 2010
  • PMIPv6 is a network-based mobility support scheme, proposed and standardized by NetLMM WG of IETF. It is proposed to solve problems of conventional mobility schemes, and to improve inefficiency of those. The standard document describes network components and detailed procedures to provide mobility to MN. But it describes only a handover procedure between MAGs, not between LMAs. In order to support seamless connectivity of MN efficiently, a handover procedure between LMAs is necessary. The proposed scheme in this paper utilizes a route optimization procedure to prevent inefficiency of inter-LMA tunneling scheme. At the same time, the proposed scheme utilizes a pre-authentication scheme to reduce handover latency. According to the result of performance evaluations, the proposed scheme greatly reduces handover latency, compared to conventional mobility support schemes.

Performance Improvement of Handovers Using Buffering Mechanism (동시 Buffering 기법을 이용한 핸드오버 성능개선)

  • Choi, Sung-Kyo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TC
    • /
    • v.42 no.7 s.337
    • /
    • pp.19-26
    • /
    • 2005
  • IETF proposed the Fast Handover mechanism to reduce the latency during which the mobile node is effectively disconnected from the Internet. However, the Fast Handover mechanism did not resolve packet loss and packet disordering problem. In this paper, we propose buffering mechanisms to resolve above problems in the Fast Handover mechanism. Though the simulation, we showed that packet loss and disordering problem have been absolutely resolved. In addition, our proposal reduced about 27$\%$ of the delay time by the buffering mechanis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