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핵자기 공명 분석 기술

Search Result 5,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Investigation on the Structural Changes of Calcium Silicate Hydrates in Nanosilica-incorporated Cement Pastes exposed to Heating using Nuclear Magnetic Resonance Spectroscopy (핵자기 공명을 활용한 가열에 따른 나노실리카 혼입 시멘트 페이스트 내 칼슘실리케이트 수화물 구조 변화 해석)

  • Suh, Heongwon;Li, Pei-Qi;Liu, Jun-Xing;Bae, Sung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Conference
    • /
    • 2020.11a
    • /
    • pp.151-152
    • /
    • 2020
  • When concrete is exposed to fire, the thermal decomposition of hydrates of Portland cement paste results in critical damage to the concrete structure of a building. Recently, nanosilica arose as the effective nano-additive which can enhance the thermal resistance of the cementitious materials. However, the mechanism of the enhancement was not elucidated specifically.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properties of calcium silicate hydrates(C-S-H)of the nanosilica incorporated cement paste after heating to different heating temperatures (200℃, 500℃, and 800℃) by 29Si nuclear magnetic resonanc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olymerization of C-S-H of nanosilica incorporated samples was larger than ordinary cement paste after heating to 200℃, and C-S-H formed during heating process to 500℃ due to the pozzolanic reaction during heating process.

  • PDF

Scanning Tunneling Microscopy: 표면 과학 연구 장비로부터 일반 고체물리 실험 장비로

  • Guk, Ya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3.02a
    • /
    • pp.76-76
    • /
    • 2013
  • Scanning Tunneling Microscopy는 개인용컴퓨터가 보급되고, 저잡음 아날로그 칩들을 구할 수 있으며, 압전세라믹 기술이 발달하기 시작한 1981년 스위스 IBM Zurich 연구소에서 H. Rohrer와 G. Binnig 박사에 의하여 발명되었다. 이 발명 7~8년 이전 미국 표준연구원의 R. Young 박사도 비슷한 시도를 하였지만, 이 때는 제어할 수 있는 컴퓨터가 없었고, 조절 회로의 잡음 레벨도 컸으며, 역학적 진동도 커서 목적을 달성할 수 없었다. STM의 발명 후 32년이 지난 지금, 조절용 컴퓨터의 발전은 물론, 조절용 역되먹임 회로 또한 digital signal processor나 FPGA를 사용하는 형태로 변화하여 전기적 잡음도 현저히 감소하였다 [1,2]. 동시에 측정 에너지 해상도를 개선하기 위하여 세계적으로 여러 그룹이 장치를 1 K 이하에서 작동할 수 있게 제작하였고, 0.3 K에서 작동하는 상업용 제품도 등장하였다. 이 결과 에너지 해상도는 30 meV 에서 2~3 ${\mu}eV$ 감소하였고, 온도변화에 따른 측정 위치의 변화도 피할 수 있게 되었다. 터널링 검침의 화학적 성분을 흡착과 같은 방법으로 조절하여, 공간 해상도는 물론 에너지 해상도도 더욱 줄일 수 있게 되었고, 스핀에 민감한 터널링 제어도 가능하게 되었다. 이제는 금속, 반도체, 초전도체는 물론 분자, 거대분자, 나노 크기의 양자점등도 측정이 가능하게 되었다. 분자진동 측정이 가능하며, 분자의 성분 분석이 가능하게 되었고, 스핀의 전도와 관련된 제반 문제들을 연구할 수 있게 되었다. 지금부터 10년 동안에는 포논의 측정과 전자와 포논 exciton 등이 관여된 다체계 현상, 이들의 동역학적 현상이 측정 가능하게 되었다. 핵자기 공명도 시도되고 있으며 화학적 구명 및 원자들 사이의 결합도 측정 가능하게 될 것이다. 이제 STM은 초고 진공에서 작동하는 Atomic Force Microscopy와 함께 지금까지 고체물리학 실험 장치가 만들어 내지 못하던 새로운 결과를 도출해 낼 것으로 기대한다.

  • PDF

GalaxyTBM을 이용한 Clostridium hylemonae의 ᴅ-Psicose 3-Epimerase (DPE) 단백질 구조 예측

  • Lee, Hyeon-Jin;Park, Ji-Hyeon;Choe, Yeon-Uk;Lee, Geun-U
    • Proceeding of EDISON Challenge
    • /
    • 2015.03a
    • /
    • pp.177-183
    • /
    • 2015
  • $\text\tiny{D}$-Psicose 3-Epimerase (DPE)는 $\text\tiny{D}$-Fructose의 C3 Epimerase로써 $\text\tiny{D}$-Fructose를 $\text\tiny{D}$-Psicose로 전환해 주는 효소이다. $\text\tiny{D}$-Psicose는 설탕 대신 사용하는 감미료로 몸에 흡수되지 않아 칼로리가 없다고 알려져 있고 자연에서는 오로지 DPE에 의해서만 생산되는 희귀당이다. 이에 따라 DPE를 통한 $\text\tiny{D}$-Psicose 대량생산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등 이 분야에 대한 관심이 뜨거운 실정이다. 본 연구팀은 이 당과 관련된 작용기작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아직 단백질 3차구조가 알려지지 않은 Clostridium hylemonae DPE (chDPE) 단백질의 3차 구조예측 연구를 수행 하였다. 우리는 HHsearch를 이용하여 agrobacterium tumefaciens의 DPE 외 2개의 구조를 호몰로지 모델링 연구를 위한 주형으로 선정하였다. 다음으로 PROMALS3D를 이용하여 주형들과 chDPE의 multiple sequence alignment를 수행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3차구조 예측 연구를 수행 하였다. 예측된 구조를 검증하기 위하여 ProSA와 Ramachandran plot분석을 이용하였고 Ramachandran plot에서 단백질의 94.8%에 해당하는 잔기들이 favoured regions에 위치하였다. ProSA에서는 Z-score값이 -9.3으로 X-선 결정학이나 핵자기 공명법으로 밝혀진 구조들에서 관측되는 범위 내에 위치하였다. 나아가 예측된 구조에 $\text\tiny{D}$-Psicose와 $\text\tiny{D}$-Fructose의 결합모드를 규명하기 위하여 도킹을 시도하였다. 이번 연구를 통하여 chDPE의 구조를 예측 할 수 있었고 이를 바탕으로 이 단백질의 기능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Basic theory of Dielectric Relaxation Spectroscopy and Studies of Electrolyte Structure (유전체 이완 분광법의 원리 및 이를 이용한 전해액 미시구조 연구)

  • Koo, Bonhyeop;Hwang, Sunwook;Lee, Hochun
    • Journal of the Korean Electrochemical Society
    • /
    • v.22 no.2
    • /
    • pp.53-59
    • /
    • 2019
  • To examine the solution structure of electrolytes, it is very important to understand ion-ion and ion-solvent interactions. In this review, we introduce the basic principle of dielectric relaxation spectroscopy (DRS) and studies of electrolyte structure. DRS is a type of impedance method, which measures the dielectric properties of electrolytes over a high frequency domain at levels of tens of GHz. Therefore, DRS provides information on the different polar chemical species present in the electrolyte, including the type and concentration of free solvents and ion pairs with dipole moments. The information of DRS is complementary to the information of conventional analytical techniques (Infrared/Raman spectroscopy, 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etc.) and thus enables a broad understanding of electrolyte structure.

MUSIC THERAPY FOR ADOLESCENTS WITH CONDUCT DISORDER (품행장애 청소년의 음악치료 사례연구)

  • Jhin, Hea-Kyung;Kwon, Hea-Kyung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v.11 no.1
    • /
    • pp.110-123
    • /
    • 2000
  • The short-term music therapy was performed for adolescents with conduct disorder admitted to Seoul National Mental Hospital for 3 months from Jun to September, 1998. This case study focused mainly on two female patients who participated regularly in the group music therapy. The music therapy process was divided into three phases;beginning, opening up, and closing. This music therapy session consisted of three parts;hello song as beginning, various musical activities, and sound & movement activity as closing. Free musical improvisation, song discussion, musical monodrama, and sound & movement were the mainly applied techniques. Free improvisation was used to enhance, motivate, identify and contain the adolescents' feelings and ideas. Song discussion was used to convey their thoughts and to support each other. Musical monodrama was used to make them have insights into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ound & movement was used to enhance spontaneity. It made them explore their body and voice as an expressive medium. Throughout three months period of music therapy, patient A's communication skill, socialization, and behavior areas were assessed with improvement. She could use music as a symbolic form and was able to share her feelings about herself and her family. Patient B's self-expression and cognitive areas were assessed with improvement. She became more spontaneous and could verbalize her emotions during the group session. Music as a non-verbal and therefore often a non-threatening medium wherein so much can be expressed provided two female patients an atmosphere where a sense of trust may be regain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