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핵심 성과지표

검색결과 202건 처리시간 0.034초

성과지표를 이용한 R&D 부서의 평가 방법론 (A Study on Measurement of R&D effectiveness using Performance Measures)

  • 조남욱;김태성
    • 한국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산업공학회/한국경영과학회 2006년도 춘계공동학술대회 논문집
    • /
    • pp.1840-1844
    • /
    • 2006
  • 효과적인 성과지표는 기업 경영의 핵심역량 중의 하나이다. 본 논문에서는 R&D 부서의 성과지표를 수립하는 정량적이고 체계적인 절차를 실제 기업 사례를 통해 제시하고, 각 단계별 성과지표 수립 프로세스와 필요한 방법론을 정의한다. 제안된 방법론은 핵심성공요인 도출, 후보 성과지표 도출, 성과지표 수립, 실행 및 모니터링의 단계를 거쳐 핵심 성과 지표 (Key Performance Indicator)를 수립한다. 성과 지표 수립 단계에서는 성과지표별 가중치 수립을 위해 AHP(Analytical Hierarchy Planning)기법을 사용하였으며, 부서별 효율성을 단일한 지표로 분석하기 위해 실행 단계에서 DEA(Data Envelop Analysis)기법을 사용하였다. 개발된 방법론은 반도체 기업의 R&D 부문 성과 지표 수립 및 평가에 적용되었다.

  • PDF

BSC를 이용한 학술정보 유통기관의 성과지표 개발 및 중요도 분석 (The Development of Performance Indicators for the Institution of Information Transfer Based on BSC and the Analysis of Their Importance)

  • 곽승진;최재황;김환민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273-294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BSC을 이용한 학술정보 유통기관의 성과지표를 개발하고 전문가를 대상으로 성과지표별 중요도를 분석하는 것이다. 성과지표에 대한 국내외 사례연구를 바탕으로 4개의 관점을 추출한 후 각 관점별로 핵심성공요인과 핵심성과지표를 추출하였다 개발된 성과지표 모형은 정보자원관점, 정보서비스관점, 이용자관점, 경제적관점의 4개 영역으로 구분되고 핵심성공요인은 12항목, 핵심성과지표는 31항목으로 구성하였다. 성과지표별 중요도 분석을 위해 대학, 연구기관 등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분석방법으로 계층화분석법 (AHP)을 사용하였다. 개발된 성과지표의 4가지 관점별 중요도를 분석한 결과 이용자관점, 정보서비스관점, 정보자원관점, 경제적관점 순으로 중요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금융IT 보안조직 역량강화를 위한 핵심성과지표(KPI) 도출에 관한 연구 (Developing key Performance Indicators for Financial IT Security)

  • 장성옥;임종인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25-142
    • /
    • 2013
  • IT비즈니스의 전략적 연계가 강화됨에 따라 금융서비스에서 IT의존도는 높아지고 있다. 안전하고 신뢰된 금융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정보보호활동을 수행해야 하며, 이에 관한 조직의 정보보호 업무성과 측정은 의사결정 및 경영지원 측면에서 유용하다. 본 논문은 정보보호관리체계(K-ISMS)와 금융IT 부문 정보보호 업무 모범규준의 평가기준을 기반으로 핵심성공요인(CSF, Critical Success Factor)과 핵심성과지표(KPI, Key Performance Indicator)를 도출한다. 이는 정보보호정책 준수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핵심성과지표를 판별하는 논리적 근거를 제공하며, 금융IT 정보보호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정책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BSC 프레임워크를 활용한 IT 조직의 성과평가 CSF & KPI 개발과 지표 간 인과관계의 규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using BSC framework to Develop CSF & KPI for IT Performance measure by Balanced Scorecard on IT organization and examining the relation of cause and effect in Indicators.)

  • 임종호;이정훈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IT서비스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71-278
    • /
    • 2006
  • IT 조직의 활동에 대한 성과 평가는 과거 재무적인 평가방법이 주를 이루었으나 최근에는 정보시스템 기능과 활동 주체가 다양해짐에 따라 재무적인 접근방법과 함께 새로운 평가 방법 및 기준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균형 성과표 (Balanced Scorecard: BSC) 개념을 IT 활동 평가에 적용한 IT-BSC에 대한 연구도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정보시스템과 기업전략과의 관계에 대한 규명이나, 다양한 IT 성과측정지표들간의 연계성을 측정하는 연구는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본 본 연구에서는 IT 조직의 성과평가를 위한 핵심성공요인(CSF)과 핵심성과지표(KPI)를 도출하고, 도출된 지표간의 인과관계를 검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로 도출된 영역과 지표들은 각 산업영역에서 IT 조직의 성과를 측정할 때 참고하고 적용할 수 있는 효과적인 지침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 데에 연구의 의미를 둘 수 있다.

  • PDF

조직행동이론 기반의 BSC 학습과 성장 시각 영역 및 IT KPI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f developing KPI in Learning and Growth Perspective and IT of BSC based on Organizational Behavior)

  • 윤응서;이승현;임춘성
    • 한국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산업공학회/한국경영과학회 2004년도 춘계공동학술대회 논문집
    • /
    • pp.67-70
    • /
    • 2004
  • 카플란과 노턴에 의해 1992년에 처음 소개된 BSC (Balanced Scorecard)의 '재무', '고객', '내부프로세스' 그리고 '학습과 성장'의 4개 시각 중 '학습과 성장' 시각의 핵심성과지표를 도출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기존 연구에서 제시된 평가 지표의 한계점을 제시하고 성과지표 도출의 근원을 조직 행동론에서 제시하고 있는 성과개념과 과정이론에서 밝혀냄으로서 '학습과 성장'시각의 목표인 다른 세 시각의 하부구조 및 동인을 달성하고자 조직 행동이론 관점의 핵심성과지표를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정보기술이 기업의 장기적인 역랑을 배가시키고 경쟁우위를 확보하기 위한 전략적 수단으로 인식됨에 따라 정보기술의 역할 및 효과성에 대한 측정과 평가가 중요한 이슈로 떠오르고 있기 때문에 '학습과 성장' 시각에서 인적자원의 역랑과의 균형있는 정보기술 역량을 측정하고 평가할 수 있는 지표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는 기업 경영활동의 근간이 되는 구성원과 단위조직, 그리고 정보기술이 기업성과데 미치는 영향을 정확히 파악하고 그 결과를 구성원과 조직의 보상체계로 연결시킬 수 있는 객관적인 잣대로서 작용하게 된다.

  • PDF

중소협력업체의 효율적 비즈니스 프로세스 관리를 위한 핵심성과지표 우선순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Priorities of Key Performance Indicators for Efficient Business Process Management of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 홍정완;문성현;이영한;김훈태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21-334
    • /
    • 2011
  • 중소기업의 대기업 의존도가 날로 증가함에 따라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IT 상생협력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중소기업의 정보화 수준은 대기업의 정보화 수준에 비하여 현저히 저조하고 중소기업의 정보화 수준을 개선하기 위한 자금부족, 낮은 관리 수준, 정보화 기반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이에 따라 중소기업의 현황에 기초한 정보화 수준 개선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관리 비율에 비해서 달성 수준이 높은 핵심성과지표를 도출하여 우선순위를 수립함으로써 비즈니스 프로세스별 핵심성과지표의 관리 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핵심성과지표의 우선순위를 반영하여 규모에 맞는 효율적인 정보화 추진을 달성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연구개발과제의 양적.질적 성과분석지수 개발 : IT핵심기술개발사업을 중심으로

  • 유승훈;이종식;김상태
    • 기술경영경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기술경영경제학회 2009년도 동계학술발표회
    • /
    • pp.413-433
    • /
    • 2009
  • 질적인 측면을 충분히 감안하지 못한 양적 성과분석은 연구개발 과제의 성과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따라서 양적 성과와 질적 성과를 함께 종합적으로 고려할 수 있는 종합적인 성과분석지수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주성분 분석과 동일 가중치를 부여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특허 출원 건수, SCI 게재논문 건수, 기술이전 건수라는 3가지 양적 성과지표와 이에 대응되는 특허 심사청구 항수, 논문게재 학술지의 IT, 총 연구비 대비기술료 비중의 3가지 질적 성과지표를 성과지표로 고려하면서 성과분석지수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주성분 분석의 적용 결과 특허 출원 건수(0.2160), SCI 논문게재 건수(0.1510), 기술이전 건수(0.1564), 특허 심사청구 항수(0.2257), 논문게재 학술지의 IF(0.2218), 기술료 비중(0.0291)의 가중치를 얻을 수 있었다. 이 6가지 평가지표는 종합평가지수라는 하나의 틀로 결합되어 개별 과제의 성과를 평가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양적 성과지표와 질적 성과지표로 구분하여 평가할 수 있다. 가중치 결정 방법에 따라 평가결과가 크게 달라지지는 않았지만, 가중치 결정 방법과 상관없이 양적 성과지표 평가결과와 질적 성과지표 평가결과는 크게 달랐다. 한 가지 흥미로운 점은 과제평가등급과의 상관관계를 따져보았더니 질적 성과지표와 과제등급과의 상관관계가 양적 성과지표와 과제등급과의 상관관계보다 더 크다는 것이다. 따라서 성과분석에 있어서 질적 성과지표를 반영한 질적 성과분석이 반드시 수행될 필요가 있다. 앞으로 특허 인용도 등 보다 다양한 질적 변수를 확보하여 성과분석지수를 보완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 PDF

균형성과지표(BSC) 개념의 건설기업 성과평가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Performance Evaluation Model Utilizing BSC(Balanced Score Cards) for Construction Firms)

  • 신규철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2년도 학술대회지
    • /
    • pp.27-34
    • /
    • 2002
  • 정보와 지식의 활용 제고는 건설기업에게도 중요한 경영목표의 하나이며 이러한 내외부 경영환경의 변화는 전통적인 재무제표에 의한 기업의 성과평가만으로는 그 다양한 경영성과를 평가하는데 한계를 가지게 되었다. 이러한 기업의 다양한 내외부 경영성과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기업의 핵심역량에 대한 새로운 성과평가의 모델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므로 전통적인 재무적 평가지표에 더하여 고객지표, 학습과 성장지표, 내부프로세스지표의 4개 평가지표를 종합적으로 포함하는 균형성과지표인 BSC(Balanced Score Cards)개념을 건설기업에 적용하여 건설기업의 특성에 맞는 새로운 성과평가모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국내외 건설기업의 비전과 전략을 분석하여 전략적 특성의 공통점을 건설기업의 특성으로 먼저 파악한 뒤, 건설기업의 경영목표에 대한 성과관리의 측면에서 건설기업의 경영환경에 맞는 성과평가의 모델을 개발하고 성과평가지표들의 사례를 제시하였다.

  • PDF

전략적 성과측정을 위한 공공기관의 동적 균형성과지표 모델 개발

  • 김종태;박상현;연승준;김상욱
    • 한국경영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경영정보학회 2007년도 International Conference
    • /
    • pp.837-842
    • /
    • 2007
  • 일반기업에서 성과측정이 매우 중요시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공공환경의 복잡한 변화와 함께 공공기관에서도 성과측정이 중요시 되고 있다. 이에 따라 공공기관에서는 무형자산의 중요성을 인식하면서 성과측정과 관리의 수단으로 균형성과지표(Balanced Scorecard)를 도입하고 있다. 그러나 균형성과지표는 일반기업의 성과측정을 위해 고안된 방법론으로 공공기관의 특성을 반영할 수 있도록 변형되지 않고서는 공공기관에 그대로 도입되어 사용될 수는 없다. 더욱이 기존의 BSC는 '시간지연(time delay)'을 가지고 있는 지표들간의 상호작용 및 상호 의존성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으며, 지표들간의 피드백을 유발하는 인과관계를 간과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핵심지표들간의 상호작용 및 관계성의 설정과 새로운 정책이나 입법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시간지연'에 의한 영향 등을 반영하고자 시스템다이내믹스(System Dynamics)와 시스템사고를 적용, 공공기관, 성과측정에 적합한 Dynamic BSC 모델을 개발하고자 한다.

  • PDF

중소기업의 성과평가를 위한 BSC 구축에 관한 사례연구 - I사를 중심으로 (A Case Study on the BSC Development of a Small and Medium-sized Manufacturing Enterprise for Performance Evaluation)

  • 지성권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0호
    • /
    • pp.83-92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부산광역시에 있는 중소 제조기업인 I사를 중심으로 중소기업에 적합하고 경영환경에 맞는 BSC를 구축하는 것으로, 다른 중소기업들이 이 사례연구를 통해 BSC 구축시 거쳐야 하는 중요한 과정과 각 과정별로 중요한 내용을 참고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BSC가 구축된 이후 기업에 접목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에 대해서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수요시장의 환경변화에 따라 주요 사업부문이었던 RDS에서 새로운 SSS로의 사업전략의 변화를 목표로, 사례기업에 맞는 BSC를 구축하였다. 전사적 차원 뿐 아니라 각 팀별로 전략체계도를 작성하고 각 관점별 전략목표, 핵심성공요인 및 핵심성과지표를 한눈에 살펴볼 수 있도록 하였다. 마지막으로 기업전체 뿐 아니라 각 팀별로 스마트차트를 작성하여 관점별 점수와 전략목표, 핵심성공요인, 핵심성과지표의 가중치와 목표점수, 실적, 달성율까지 쉽게 계산할 수 있는 중소기업 맞춤형 성과평가시스템을 구축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가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