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핵심 성과지표

Search Result 202, Processing Time 0.046 seconds

A Study on Measurement of R&D effectiveness using Performance Measures (성과지표를 이용한 R&D 부서의 평가 방법론)

  • Jo Nam-Uk;Kim Tae-S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05a
    • /
    • pp.1840-1844
    • /
    • 2006
  • 효과적인 성과지표는 기업 경영의 핵심역량 중의 하나이다. 본 논문에서는 R&D 부서의 성과지표를 수립하는 정량적이고 체계적인 절차를 실제 기업 사례를 통해 제시하고, 각 단계별 성과지표 수립 프로세스와 필요한 방법론을 정의한다. 제안된 방법론은 핵심성공요인 도출, 후보 성과지표 도출, 성과지표 수립, 실행 및 모니터링의 단계를 거쳐 핵심 성과 지표 (Key Performance Indicator)를 수립한다. 성과 지표 수립 단계에서는 성과지표별 가중치 수립을 위해 AHP(Analytical Hierarchy Planning)기법을 사용하였으며, 부서별 효율성을 단일한 지표로 분석하기 위해 실행 단계에서 DEA(Data Envelop Analysis)기법을 사용하였다. 개발된 방법론은 반도체 기업의 R&D 부문 성과 지표 수립 및 평가에 적용되었다.

  • PDF

The Development of Performance Indicators for the Institution of Information Transfer Based on BSC and the Analysis of Their Importance (BSC를 이용한 학술정보 유통기관의 성과지표 개발 및 중요도 분석)

  • Kwak, Seung-Jin;Choi, Jae-Hwang;Kim, Hwan-Mi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41 no.4
    • /
    • pp.273-294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ocus on developing the performance indicators for the distribution of scholarly information based on BSC and to analyze the importance of the performance indicators against the specialists. From the case studies on performance indicators both at home and abroad four viewpoints(information resource, information service, user, and economy) were derived. In addition. the core success factors(CSF) and key performance indicators(KPI) were extracted from the viewpoints. Four viewpoints are composed of 12 CSF items and 31 KPI items. In order to analyze the weight of the performance indicators. questions were thrown to the specialists in universities and research institutes. For the method of analysis, analytic hierarchy process(AHP) was adopted. As a result,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user viewpoint, information service viewpoint, information resource viewpoint and economic viewpoint are in the order of their importance.

Developing key Performance Indicators for Financial IT Security (금융IT 보안조직 역량강화를 위한 핵심성과지표(KPI) 도출에 관한 연구)

  • Jang, Sung Ok;Lim, Jong In
    • The Journal of Society for e-Business Studies
    • /
    • v.18 no.3
    • /
    • pp.125-142
    • /
    • 2013
  • As a reinforcing strategic-alignment of IT business, Financial Service becomes more rely on IT systems. It needs to continuous information security activities to provide a secure and reliable finance service. Performance measurement of information security activities can be useful for decision and management suppor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CSF(Critical Success Factor) and KPI(Key Performance Indicator) based on K-ISMS, Financial IT Information Security Standards. Providing a rationale can be used to determine key performance indicators, which are utilized as basic data for establishing security policies for financial IT security competency.

A Study on using BSC framework to Develop CSF & KPI for IT Performance measure by Balanced Scorecard on IT organization and examining the relation of cause and effect in Indicators. (BSC 프레임워크를 활용한 IT 조직의 성과평가 CSF & KPI 개발과 지표 간 인과관계의 규명에 관한 연구)

  • Lim, Jong-Ho;Lee, Jung-Hoon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11a
    • /
    • pp.271-278
    • /
    • 2006
  • IT 조직의 활동에 대한 성과 평가는 과거 재무적인 평가방법이 주를 이루었으나 최근에는 정보시스템 기능과 활동 주체가 다양해짐에 따라 재무적인 접근방법과 함께 새로운 평가 방법 및 기준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균형 성과표 (Balanced Scorecard: BSC) 개념을 IT 활동 평가에 적용한 IT-BSC에 대한 연구도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정보시스템과 기업전략과의 관계에 대한 규명이나, 다양한 IT 성과측정지표들간의 연계성을 측정하는 연구는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본 본 연구에서는 IT 조직의 성과평가를 위한 핵심성공요인(CSF)과 핵심성과지표(KPI)를 도출하고, 도출된 지표간의 인과관계를 검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로 도출된 영역과 지표들은 각 산업영역에서 IT 조직의 성과를 측정할 때 참고하고 적용할 수 있는 효과적인 지침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 데에 연구의 의미를 둘 수 있다.

  • PDF

A Study of developing KPI in Learning and Growth Perspective and IT of BSC based on Organizational Behavior (조직행동이론 기반의 BSC 학습과 성장 시각 영역 및 IT KPI 개발에 관한 연구)

  • Yoon, Eung-Seo;Lee, Seung-Hyun;Leem, Choon-S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05a
    • /
    • pp.67-70
    • /
    • 2004
  • 카플란과 노턴에 의해 1992년에 처음 소개된 BSC (Balanced Scorecard)의 '재무', '고객', '내부프로세스' 그리고 '학습과 성장'의 4개 시각 중 '학습과 성장' 시각의 핵심성과지표를 도출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기존 연구에서 제시된 평가 지표의 한계점을 제시하고 성과지표 도출의 근원을 조직 행동론에서 제시하고 있는 성과개념과 과정이론에서 밝혀냄으로서 '학습과 성장'시각의 목표인 다른 세 시각의 하부구조 및 동인을 달성하고자 조직 행동이론 관점의 핵심성과지표를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정보기술이 기업의 장기적인 역랑을 배가시키고 경쟁우위를 확보하기 위한 전략적 수단으로 인식됨에 따라 정보기술의 역할 및 효과성에 대한 측정과 평가가 중요한 이슈로 떠오르고 있기 때문에 '학습과 성장' 시각에서 인적자원의 역랑과의 균형있는 정보기술 역량을 측정하고 평가할 수 있는 지표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는 기업 경영활동의 근간이 되는 구성원과 단위조직, 그리고 정보기술이 기업성과데 미치는 영향을 정확히 파악하고 그 결과를 구성원과 조직의 보상체계로 연결시킬 수 있는 객관적인 잣대로서 작용하게 된다.

  • PDF

A Study on the Priorities of Key Performance Indicators for Efficient Business Process Management of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중소협력업체의 효율적 비즈니스 프로세스 관리를 위한 핵심성과지표 우선순위에 대한 연구)

  • Hong, Jung-Wan;Moon, Sung-Hyun;Lee, Young-Han;Kim, Hoon-Tae
    • The Journal of Society for e-Business Studies
    • /
    • v.16 no.4
    • /
    • pp.321-334
    • /
    • 2011
  • As Small and Medium Enterprises(SMEs)' dependency on major companies is increasing every day, the importance of the IT collaboration between those is being highlighted more than ever. However, the information level of the SMEs is much inferior and lack of capital, low level of management and the problem of the informatization are being raised. Therefore, the methods to improve the level of the infrastructure for the informatization need to be performed based on the current status of the SMEs. In this paper, we proposed the ways to manage key performance indicators(KPI) of each business process by inducing and prioritizing the KPIs which has higher accomplishment compared to its management rate. As the result of the present study reflects the priorities of KPIs, it may contribute to the accomplishment of the efficient informatization that considers the enterprise's size.

연구개발과제의 양적.질적 성과분석지수 개발 : IT핵심기술개발사업을 중심으로

  • Yu, Seung-Hun;Lee, Jong-Sik;Kim, Sang-Tae
    • Proceedings of the Technology Innovation Conference
    • /
    • 2009.02a
    • /
    • pp.413-433
    • /
    • 2009
  • 질적인 측면을 충분히 감안하지 못한 양적 성과분석은 연구개발 과제의 성과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따라서 양적 성과와 질적 성과를 함께 종합적으로 고려할 수 있는 종합적인 성과분석지수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주성분 분석과 동일 가중치를 부여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특허 출원 건수, SCI 게재논문 건수, 기술이전 건수라는 3가지 양적 성과지표와 이에 대응되는 특허 심사청구 항수, 논문게재 학술지의 IT, 총 연구비 대비기술료 비중의 3가지 질적 성과지표를 성과지표로 고려하면서 성과분석지수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주성분 분석의 적용 결과 특허 출원 건수(0.2160), SCI 논문게재 건수(0.1510), 기술이전 건수(0.1564), 특허 심사청구 항수(0.2257), 논문게재 학술지의 IF(0.2218), 기술료 비중(0.0291)의 가중치를 얻을 수 있었다. 이 6가지 평가지표는 종합평가지수라는 하나의 틀로 결합되어 개별 과제의 성과를 평가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양적 성과지표와 질적 성과지표로 구분하여 평가할 수 있다. 가중치 결정 방법에 따라 평가결과가 크게 달라지지는 않았지만, 가중치 결정 방법과 상관없이 양적 성과지표 평가결과와 질적 성과지표 평가결과는 크게 달랐다. 한 가지 흥미로운 점은 과제평가등급과의 상관관계를 따져보았더니 질적 성과지표와 과제등급과의 상관관계가 양적 성과지표와 과제등급과의 상관관계보다 더 크다는 것이다. 따라서 성과분석에 있어서 질적 성과지표를 반영한 질적 성과분석이 반드시 수행될 필요가 있다. 앞으로 특허 인용도 등 보다 다양한 질적 변수를 확보하여 성과분석지수를 보완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 PDF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Performance Evaluation Model Utilizing BSC(Balanced Score Cards) for Construction Firms (균형성과지표(BSC) 개념의 건설기업 성과평가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 Shin Kyoo-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autumn
    • /
    • pp.27-34
    • /
    • 2002
  • Utilizing information and knowledge is one of the major objectives in the management of construction firm. This trend has been developed both inside of the firms and overall industry-wise. Therefore conventional methods of performance evaluation based on the financial statements such as balance sheet under GAAP(Generally Accepted Accounting Principles) are not sufficient to cover various Performance of constriction firms. Core competency of construction firms needs to be evaluated by the new performance evaluation model. In this research, the concept of BSC (Balanced Score Cards) is utilized to develop the performance evaluation model for construction firms considering four major performance indicators including financial perspective, customer perspective, learn and growth perspective, anti internal business perspective. A model of performance evaluation including criteria is proposed to evaluate construction firms based on their vision and strategy.

  • PDF

전략적 성과측정을 위한 공공기관의 동적 균형성과지표 모델 개발

  • Kim, Jong-Tae;Park, Sang-Hyeon;Yeon, Seung-Jun;Kim, Sang-Uk
    • 한국경영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6a
    • /
    • pp.837-842
    • /
    • 2007
  • 일반기업에서 성과측정이 매우 중요시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공공환경의 복잡한 변화와 함께 공공기관에서도 성과측정이 중요시 되고 있다. 이에 따라 공공기관에서는 무형자산의 중요성을 인식하면서 성과측정과 관리의 수단으로 균형성과지표(Balanced Scorecard)를 도입하고 있다. 그러나 균형성과지표는 일반기업의 성과측정을 위해 고안된 방법론으로 공공기관의 특성을 반영할 수 있도록 변형되지 않고서는 공공기관에 그대로 도입되어 사용될 수는 없다. 더욱이 기존의 BSC는 '시간지연(time delay)'을 가지고 있는 지표들간의 상호작용 및 상호 의존성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으며, 지표들간의 피드백을 유발하는 인과관계를 간과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핵심지표들간의 상호작용 및 관계성의 설정과 새로운 정책이나 입법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시간지연'에 의한 영향 등을 반영하고자 시스템다이내믹스(System Dynamics)와 시스템사고를 적용, 공공기관, 성과측정에 적합한 Dynamic BSC 모델을 개발하고자 한다.

  • PDF

A Case Study on the BSC Development of a Small and Medium-sized Manufacturing Enterprise for Performance Evaluation (중소기업의 성과평가를 위한 BSC 구축에 관한 사례연구 - I사를 중심으로)

  • Chi, Sung-kwo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5 no.10
    • /
    • pp.83-92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Balanced Score Card for 'I Company' which is a small and medium sized manufacturing company in Busan City. It is suitable for SMEs and suitable for the management environment. The study was intended to contain the detailed needs of managers and employees when developing the 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 It also allowed other SMEs to benchmark through this study. We also proposed a solution to the problems after BSC construction. In addition, BSC has been developed for the purpose of shifting business strategy from RDS to SSS in accordance with changes in the demand market environment. Strategy Maps were divided into the whole company level and each team level. You can look at strategic goals, core success factors, and key performance indicators at each glance. Finally, we developed a smart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that can easily calculate the score, strategic goal, key success factor, weight of key performance indicators, target score, performance, and achievement rate by creating a smart chart. Have signific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