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해초지

Search Result 26,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Comparison of Meiobenthic Faunal Communities in Seagrass Bed and Adjacent Bare Sediment (해초지와 주변 퇴적물에 서식하는 중형저서동물 군집 특성 비교)

  • 민원기;김동성;최청일
    • The Sea: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v.8 no.1
    • /
    • pp.1-13
    • /
    • 2003
  • To investigate the community structure and meiofaunal density in seagrass/bare non-seagrass beds, a survey was conducted at three seagrass bed locations in Doomoojin of Baegryongdo, inner harbor of Eocheongdo in May 1999, and Yulim of Dolsando for every month from February to July 1999. Meiobenthic samples were collected from sediments within seagrass beds (SB) and non-seagrass bed (or adjacent to barren sand area, NSB). Nematodes were the most dominant group among representative 13 meiofaunal groups. The sub-dominant groups were benthic for-aminiferans, benthic harpacticoids, and annelids. The highest density of meiofauna was recorded at a seagrass bed of Yulim (7,244 ind/10 $\textrm{cm}^2$ in June), and lowest density was recorded at a non-seauass bed of Baegryoungdo (438 ind/ 10 $\textrm{cm}^2$ in May). For vertical distribution, the highest density of meiofauna was recorded at 0-2 cm depth, and the density abruptly decreased with depth in all stations. The density of meiofauna in size between 0.125 m and 0.25 mm was maximum. Sediment types for the study areas ranged from sandy to sandy mud by the Folk's classification. The density of total meiofauna, the number of taxa, and the density of the dominant groups (nematodes, benthic for-aminiferans, benthic harpacticoids, annelids) between SB and NSB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The results clearly showed the importance of seagrass bed as suitable habitat for meiofauna.

남해 연수연안의 거머리말 해초지 식물플랑크톤의 분포 특징

  • O, Hyeon-Ju;Lee, Sang-Yong;Kim, Jeong-Bae;Mun, Seong-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6.11a
    • /
    • pp.283-284
    • /
    • 2006
  • 해초지와 해초가 없는 수괴에서 식물플랑크톤의 군집 특성을 비교 분석하기 위하여 해황과 해초지의 규모가 다른 가막만의 원포연안과 여자만의 백일도 주변 해역에서 식물플랑크톤을 채집하고, 수온, 염분, 용존산소, Chlorophyll a와 영양염을 2006년 2월부터 8월까지 조사하였다. 조사 기간동안 해초의 유무에 따른 수온과 염분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용존산소, Chlorophyll a와 영양염 농도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거머리말 해초지와 조사 시기에 따른 수온, 염분, 용존산소, Chlorophyll a와 영양염 농도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원포의 수온은 백일도보다 낮았으나, 염분은 유의하게 높았다. 식물플랑크톤의 현존량과 종조성은 조사 시기에 따라 차이를 보였으며, 현존량은 해초지에서 낮게 나타났다.

  • PDF

열대성 해초지의 어류군집 I. 종조성 및 양적변동

  • ;;David W Klumpp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1.05a
    • /
    • pp.549-550
    • /
    • 2001
  • 해초생태계는 해양의 생태계 중 가장 생산성이 높은 해역 중의 하나로 최근에 많은 연구의 대상이 되고 있다. 해초는 잘 발달되어 있는 뿌리를 지니고 있으며, 흔히, 온대와 열대의 연안해역에 밀생하여 무성한 해초지 (seagrass meadow)를 형성하고 있다. 본 조사해역인 호주 동북부, Magnetic Island주변에 위치한 Cockle Bay는 많은 종류의 열대성 해초가 연안을 따라서 많이 밀생하고 있어서 생산성이 매우 높고, 자치어를 비롯한 많은 해양생물들이 큰 생물들로부터 보호되고 있으며, 바다거북류 및 듀우공들의 좋은 먹이공급처의 역할을 하고 있다. (중략)

  • PDF

열대성 해초지의 어류군집 II. 주요 어종의 먹이습성

  • ;;David W Klumpp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1.05a
    • /
    • pp.551-552
    • /
    • 2001
  • 온대와 열대의 연안해역에 형성되어 있는 해초지는 해양생태계 중 생산성이 높고, 작은 크기의 해양동물들이 큰 동물들로부터 보호되고 있는 해양환경을 이루고 있다. 특히 본 조사해역인 호주 동북부 해역은 Cleat Barrier Reef과 더불어 열대성 해초가 많이 밀생되어 있어서 많은 동물들이 서식하고 있다. 어류의 먹이습성 연구는 그 어류가 속해 있는 생태계의 기능적인 면을 이해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한다. (중략)

  • PDF

Backscattering from Seagrass beds (잘피의 후방산란 특성)

  • La Hyoung-sul;Yoon Kwan-seob;Lee Jae-hyuk;Na Jungyul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spring
    • /
    • pp.191-194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해양의 기초 생산자인 잘피 (Zostera marina)의 후방산란 특성을 일주기 동안 관측 하였다. 해상 실험은 2004년 2월 $25\~29$일 기간 중 남해 동대만에서 실시 하였다. 그랩(Grab)을 이용하여 해초지의 입도를 분석 하였으며 주파수별 산란 특성을 고려하기 위해서 17, 30, 50, 80, 100, 그리고 120kHz 음원을 해초지에 수직 지향하여 주, 야간 잘피의 후방 산란을 측정하였다. 실험 환경 분석을 위해 파고와 조석 및 잘피의 생체량(biomass)측정을 실시 하였다. 광합성 시 해초지에서 발생되는 산소 공기는 해수에 의해 용존 되거나 산소 가스 형태로 존재하게 된다. 이들 공기 방울에 의해서 형성되는 공기 방울 층은 음 세기의 감쇠를 야기 시킨다. 실험 결과 주, 야간 동안 음의 산란 강도 변화를 확인 하였다.

  • PDF

광양만 잘피밭에 서식하는 바다대벌레류의 종조성

  • 윤성규;변성혜;곽석남;허성회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1.05a
    • /
    • pp.489-490
    • /
    • 2001
  • 해초가 밀생하기에 알맞은 연안 환경을 지닌 우리나라의 경우, 해초생태계에 관한 연구가 얼마 전까지만 해도 부진하였으나, 최근 들어 제주도와 광양만 잘피밭을 중심으로 활발히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 결과 해초의 형태 및 생활사 등에 관한 연구(Kong, 1981, 1982), 해초지 어류 군집에 관한 연구(Huh, 1986; Go and Cho, 1997a; Huh md Kwak, 1997d), 해초지에 서식하는 어류의 먹이습성에 관한 연구(Go et al., 1997b; Huh and Kwak,1997a, b, c,1998a, b, c, d, e, f), 저서생물에 관한 연구(Yun et al., 1997), 새우류에 관한 연구(Huh and An, 1997), 게류에 관한 연구(Huh and An, 1998), 부착해조류에 관한 연구(Huh et al., 1998) 등 다양한 연구 결과가 발표되고 있다. (중략)

  • PDF

Application of Hydroacoustic System and Kompsat-2 Image to Estimate Distribution of Seagrass Beds (수중음향과 Kompsat-2 위성영상을 이용한 해초지 분포 추정)

  • Kim, Keunyong;Eom, Jinah;Choi, Jong-Kuk;Ryu, Joo-Hyung;Kim, Kwang Yong
    • The Sea: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v.17 no.3
    • /
    • pp.181-188
    • /
    • 2012
  • Despite the ecological importance of seagrass beds, their distributional information in Korean coastal waters is insufficient. Therefore, we used hydroacoustic system to collect accurate bathymetry and classification of seagrass, and Kompsat-2 (4 m spatial resolution) image for detection of seagrass beds at Deukryang Bay, Korea. The accuracy of Kompsat-2 image classification was evaluated using hydracoustic survey result using error matrix and Kappa value. The total area of seagrass beds from satellite image classification was underestimated compared to the hydroacoustic survey, estimated 3.9 and $4.5km^2$ from satellite image and hydroacoustic data, respectively. Nonetheless, the accuracy of Kompsat-2 image classification over hydroacoustic-based method showing 90% (Kappa=0.85) for the three class maps (seagrass, unvegetated seawater and aquaculture). The agreement between the satellite image classification and the hydroacoustic result was 77.1% (the seagrass presence/absence map). From our result of satellite image classification, Kompsat-2 image is suitable for mapping seagrass beds with high accuracy and non-destructive method. For more accurate information, more researches with a variety of high-resolution satellite image will be preceded.

잘피(Zostera marina L.)에 부착하는 생물 군집의 생태학적 연구 - I. 현존량

  • 정미희;최청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2.10a
    • /
    • pp.236-237
    • /
    • 2002
  • 해초생태계는 해초 잎 및 지하경, 그리고 뿌리등 해초와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주고 받을 수 있는 여러 생물들: 조류와 무척추동물, 해초지를 산란장이나 생육장으로 삼고 있는 어류, 그리고, 식물 및 동물 플랑크톤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 부착조류는 해초생태계 내에서 생산성의 가장 중요한 요소일 뿐만이 아니라, 종 다양성을 증가시키며, 무척추동물의 먹이 공급의 기본적 요소이다 (McRoy and Helfferich, 1977; Coleman and Burkholder, 1995). (중략)

  • PDF

Variation of phytoplankton in seagrass beds, Yeoja Bay (남해 여자만 해초지의 식물플랑크톤 변동)

  • Oh, Hyun-Ju;Kim, Jeon-Bae;Lee, Sang-Yong
    • Proceedings of KOSOMES biannual meeting
    • /
    • 2009.06a
    • /
    • pp.157-158
    • /
    • 2009
  • Phytoplankton plays an important part as indicator and primary producer in marine ecosystem. Therefore, phytoplankton community appeared variously according to marine environment, so the data of nutrients, chlorophyll a, temperature, salinity, and DO were analyzed in seagrass bed of Yeoja Bay. Consequently, the phytoplankton community structures were associated with investigation time and place, and seen difference according to the existence and nonexistence of seagrass b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