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해운선사

검색결과 220건 처리시간 0.028초

해운이슈 -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최근 해운시장 이슈와 대응에 대해 발표

  • 한국선주협회
    • 해운
    • /
    • 통권93호
    • /
    • pp.11-22
    • /
    • 2012
  • 최근 해운시장에서 가장 이슈가 되는 주저는 해운시황 전망과 선사의 유동성 확보 대책으로 집약된다. 현재 해운시장에서는 해운시황 전망, 특히 운임회복 시기 문제가 가장 중심적인 이슈이다. 그리고 국내선사의 공통적인 문제인 유동성 확보 제,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거론되는 Primary CBO 발행과 패스트 트랙(Fast Track) 문제 등도 중요한 이슈로 거론되고 있다. 또한 선사 경영(수익성)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유가 문제,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편에서 선박 연료유 헷징과 공동구매도 관심을 물고 있는 문제가 있다. 유가 문제는 과거의 해운 불황기에 크게 문제가 되지 않았으나, 최근에는 해운기업의 경영난을 가장 크게 가중시키고 있다. 한편 해운시장에서 국적선사를 더욱 어렵게 하는 요인은 국내 대량화물의 외국적 선사의 참여문제이다. 석탄, 철광선, LNG 등의 대량화물은 국가경제발전에도 매우 중요한 전략물자임과 동시에 선사입장에서도 가장 중요한 화물임에도 외국적 선사의 수송이 근절되지 않고 계속 늘어나고 있다. 다음은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황진회 센터장이 발표한 "최근 해운시장 이슈와 대응"의 주요 내용을 요약 정리한 것이다.

  • PDF

광양항의 컨테이너터미널 운영사와 해운선사간의 상호리스크 관리방안 연구 (A Study on the Mutual Risk Management Between Container Terminal Operator and Shipping Company in Gwangyang Port)

  • 최용석;박성수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168-187
    • /
    • 2010
  • 항만에서 상호리스크관리는 항만서비스를 제공하는 터미널 운영사와 항만서비스를 사용하는 해운선사간의 기업경영의 운영측면에서 상호이익을 도모하기 위해 중요하다. 본 연구는 상호 윈-윈 전략이 될 수 있는 상호리스크 관리방안을 통하여 국적선사와 항만산업체의 경쟁력을 확보하는데 기여하고자 수행되었다. 광양항의 터미널 운영사별로 해운선사에 대한 리스크 요인 및 리스크관리 개선점을 도출하고, 광양항 입항 해운선사별로 터미널 운영사별 리스크 요인 및 리스크관리 개선점을 도출하여 터미널 운영사와 해운선사간의 리스크에 의한 손실을 감소시키면서 상호이익을 도모하는 리스크 사전인식모델과 리스크 예방모델 등 두가지 종류의 관리모델을 제시하였다. 제시된 관리모델은 광양항의 컨테이너터미널과 해운선사간의 상호리스크 요인에 의한 손실을 파악하고 사전인식을 통해 리스크를 관리하기 위한 리스크 사전인식모델과 리스크에 의한 손실을 예방하기 위한 리스크 예방모델로 구성되며, 사전인식을 통한 관리와 예방을 통한 관리를 동시에 수행하도록 수립하였다. 이를 통하여 광양항 컨테이너터미널 운영사와 해운선사 상호간의 리스크에 의한 손실을 최소화시키면서, 운영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논리적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AHP 기법을 활용한 해운선사 서비스의 상대적 중요도 평가에 관한 연구

  • 김도윤;권기남;권순영;김재민;박영준;박두진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4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69-71
    • /
    • 2014
  • 최근 해운고객 업체의 높은 서비스 기대에 따른 다양하고 질 높은 서비스 개발이 필요하다. 해운사업의 4대영역인 운임시장, 신 조선시장, 중고선 매매시장 및 해체시장의 점진적 확대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해운선사가 제공하는 서비스와 관련된 문헌연구를 고찰하여 해운선사의 현황을 파악하고, 이들이 제공하는 서비스 질 향상을 위한 전략 수립 시 사용할 수 있는 평가요인을 도출하여 요인 간의 상대적 중요도를 제시하고자 한다.

  • PDF

OSV 시장동향 및 국내기업 진출방안

  • 박광서;이정아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65-267
    • /
    • 2012
  • OSV는 해양플랜트 운영을 지원하는 선박으로, 해저 석유가스 산업의 성장으로 동반성장하고 있는 산업이다. 2008년 글로벌 경기침체 이후 경영난에 빠져있는 구내 해운선사, 중소조선업체, 기자재업체가 동반성장할 수 있는 대표적인 산업임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국내기업의 경쟁력을 극히 미흡한 수준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OSV 시장의 전반적인 동향을 살펴보고 국내기업, 특히 해운선사가 진출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 PDF

우리나라 해운선사의 사회적 책임활동 선행요인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CSR Leading Factors of Korean Shipping Companies on CSR Implementation and Job Satisfaction)

  • 한계숙;김태우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109-124
    • /
    • 2019
  •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중요성이 커지면서 다양한 산업에서 그 성과를 규명한 연구들은 활발하게 이루어져 왔으나, CSR을 이끄는 선행요인에 관한 연구는 매우 제한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본 연구는 CSR이 당면과제로 부상하고 있는 해운선사를 대상으로 CSR의 실행에 영향을 미치는 조직 내·외부 요인을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 국내 해운선사 43개 기업을 대상으로 Smart PLS 3.0과 SPSS 18.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선사의 조직 내부 요인으로 CSR에 대한 기대, 최고경영자의 지원, 재무적 자원은 모두 CSR실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선사의 조직 외부 요인으로 규제변화, 화주의 요구수준은 선사의 CSR 실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경쟁사의 대처수준은 기각되었다. 선사의 CSR실행은 종업원들의 직무만족도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국내 선사들의 CSR 실행력을 높이기 위해 어떤 요인들이 동인으로 작용하는지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해운기업의 경영전략과 전략적 제휴의 역할에 관한 연구 (The Role of Liner Shipping Co-operation in Business Strategy)

  • Ryoo, Dong-Keun
    • 한국항해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77-193
    • /
    • 2000
  • 우리나라 정기선사는 1970년대 이후 경쟁선사와 다양한 형태의 전략적 제휴를 통하여 꾸준히 성장하여 왔으며 오늘날 세계 정기선시장에서 경쟁우위를 확보하게 되었다. 따라서 우리나라 정기선사의 전략적 제휴에 관한 연구는 제휴전략에 관한 이론을 더욱 더 발전시키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이에 따라 본 논문은 정기선사의 경영전략과 전략적 제휴의 역할에 관하여 연구하고자 하며, 다음의 세 가지 연구 질문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정기선사의 제휴동기는 무엇인가\ulcorner 둘째, 제휴형태에 따라 제휴동기에 차이점이 있는가\ulcorner 셋째, 정기선사의 경영전략이 제휴형태의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가\ulcorner 자료수집 방법은 전략적 제휴의 경험이 있는 해운선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으며, 각 선사의 제휴 의사결정에 참여하는 담당자와 인터뷰를 통하여 연구목적과 관련된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의 결과, 우리나라 정기선사는 여러 가지 동기에 의하여 제휴를 선택하고, 제휴형태에 따라 각 동기의 중요도에 차이가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정기선사의 경영전략이 제휴형태의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본 논문은 경영전략에 따른 정기선사의 올바른 제휴형태 선택에 도움을 주는 의사결정 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 PDF

Network 관점에서 본 글로벌해운선사의 항만선택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한국과 중국의 주요 무역항만을 대상으로 - (Network Theory Based Empirical Studies on the Factors Affecting Global Liners' Port Selection : Focused on Major Trade Port in Korea and China)

  • 장흥훈;한병섭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24
    • /
    • 2009
  • 본 연구는 네트워크 이론 관점을 통해 50개 글로벌 해운선사의 항만 선택 결정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중국과 한국의 주요 항만을 대상으로 분석했다. Conditional Logit Model을 통한 분석 결과, 글로벌 해운선사는 항만 선택에 있어 역내보다는 글로벌 차원에서의 네트워크를 상대적으로 더 중요하게 고려함을 규명할 수 있었다. 글로벌 해운선사는 항만의 역내 네트워크 중심성이 클수록, 그리고 글로벌 네트워크 연계성과 중심성이 높을수록 해당 항만을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한국 항만과 중국 항만을 별도로 분석한 경우, 본 연구에서 사용한 변수의 유의도와 계수의 크기로 볼 때, 글로벌 선사들은 한국의 항만 보다는 중국 항만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설문조사가 아닌 2차 자료를 활용하고, AHP 기법이 아닌 CLM 모형을 통해 항만 선택에 관한 연구를 최초로 시도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미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설문이 아닌 2차 자료를 통한 분석이기 때문에, 글로벌 선사의 항만선택에 정의 또는 부의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규명 가능한 변수들을 충분히 포함시키지 못하고 있다는 한계를 안고 있다.

  • PDF

해운선사 주가와 해상 운임지수의 영향관계 분석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Freight Index and Shipping Company's Stock Price Index)

  • 김형호;성기덕;전준우;여기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6호
    • /
    • pp.157-165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해운실물경기 지수가 국내 해운선사 주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에 사용된 변수는 한국 H회사의 주가와 해운실물경기 지수인 BDI(Baltic Dry Index), CCFI(China Containerized Freight Index), HRCI(Howe Robinson Containership Index)다. 분석기간은 2012년부터 2015년이며, 해운선사 주가지수, BDI, CCFI, HRCI의 4년간의 주간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VAR 모형을 이용하여 CCFI와 HRCI가 국내해운선사의 주가지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고, VECM 모형을이용하여 BDI가 국내해운선사의 주가지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VAR 모형 분석결과, CCFI, HRCI는 주가지수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VECM 모형 분석결과, BDI는 주가지수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운실물경기지수에 부의(-) 영향을 받은 국내 해운선사는 해운실물경기지수에 부의(-) 영향을 받은 국내 해운선사는 해운시황에 적절한 대응을 하지 못한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국내 해운기업은 중장기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해운시황에 대처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해운이슈 - 미국발 금융대란의 여파로 세계 정기선시장 침체 지속 - 북미 및 유럽항로 취항 유수 정기선사들 구조조정 -

  • 한국선주협회
    • 해운
    • /
    • 제11호통권57호
    • /
    • pp.16-23
    • /
    • 2008
  • 미국발 금융대란으로 야기된 세계 금융시장 불안이 장기화되면서 세계경제가 동반침체의 늪에서 허덕이고 있다. 이에 따라 세계교역량이 급격히 둔화되면서 부정기선 해운시장은 5개월 사이에 사상 최대의 호황에서 불황으로 전락했으며, 정기선 해운시장도 침체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다음은 정기선 해운시장의 변화와 선사들의 위기극복을 위한 구조조정 등을 정리한 것이다.

  • PDF

해운이슈 - 한국신용평가, '풍전등화 국내 해운업계, 본원적 대책 마련 시급' 발표

  • 한국선주협회
    • 해운
    • /
    • 통권103호
    • /
    • pp.8-21
    • /
    • 2013
  • 발주잔량의 감소와 세계경기 회복기조 등을 감안할 때, 수급여건은 저점에 근접해 있다. 그러나, 해상물동량 증가율의 둔화, 대형선박 위주로 되살아난 발주 등을 감안할 때, 운임지수 등 시황회복은 상대적으로 느리게 진행될 전망이다. 2012년부터 상위선사의 뚜렷한 실적차별화가 나타나고 있으며, 국내선사는 상대적으로 취약한 선종다각화와 자본력, 계열 및 정부의 저조한 지원 등으로 금융위기 이후 재무구조가 가장 큰 폭으로 악화되었다. 상위선사의 실적우위는 일시적 차이가 아닌 선박의 대형화와 높은 연료효율성, 우수한 글로벌 네트워크 등 구조적 원가경쟁력의 차이에 기인하고 있다. 상위 3개 선사는 초대형선박의 추가인수와 P3 Network 구축으로 원가경쟁력이 더욱 향상될 전망이며, 재무여력을 갖춘 경쟁선사들도 선박가격이 낮은 상황에서 고효율의 대형선박을 발주, 원가경쟁력을 제고하고 있다. 반면에 호황기 고가에 선박을 확보한 국내선사는 과중한 재무부담으로 인해 선박대형화와 글로벌 네트워크 구축에 동침하지 못하고 있어 원가경쟁력의 차이는 더욱 심화될 전망이다. 더딘 시황회복과 상위선사의 단위당 운송비(Unit Cost) 하락 등을 감안할 때, 빠른 시일 내에 운임상승을 통한 큰 폭의 성과개선을 기대하기 어렵고, 과중한 재무부담은 투자여력의 위축으로 이어지고 있다. 여기에 중국 유럽선사가 정부로부터 대규모의 직접적 지원(대출, 지급보증)을 제공받고 있는데 반하여, 우리 정부는 장기적 관점의 지원이나 대책을 유보한 채, 제한된 유동성 지원만을 하고 있다. 재무부담에 따른 악순환을 깨고 원가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선, 비핵심자산 매각, 자본유치 등 구조조정을 통한 재무구조 개선, 투자여력 확보를 통한 글로벌 경쟁력 회복, 정부차원의 지원과 조정 등 가능한 모든 방안을 총 동원하여 재무구조를 개선하고 투지에 나서는 것이 시급하다. 하지만, 불황으로 체력이 소진된 해운사의 자체적인 노력만으로는 한계가 있다. 기간산업의 국가경쟁력 차원에서 국내 선사의 자체노력은 물론, 정부 또는 금융기관 등 유관기관들의 확실한 지원이나 의사결정이 필요한 시점이다. 그렇지 않을 경우 국내 해운산업은 어두운 터널의 끝을 벗어나지 못하고 글로벌 경쟁사와의 격차는 더욱 벌어지게 될 것이다. 다음은 한국신용평가에서 발표한 "풍전등화 국내 해운업계, 본원적 대책 마련 시급"의 주요 내용을 요약 정리한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