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해역별 위험도

Search Result 39,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Regional Risk Mapping Program for Marine Oil Spills (해역별 기름유출사고 위험도 매핑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 Moon, Jung-Hwan;Yun, Jong-Hwui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22 no.5
    • /
    • pp.423-429
    • /
    • 2016
  • A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oil spill dynamic state using system dynamics method, and to developed regional risk program based on oil spill history for better judgement of the situation at the early stage of oil spill.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s: Firstly, various variables were calculated by a score based on raw data of oil spill history in Korea. Regional oil spill risk was also calculated in a quantitative way. Secondly, calculated regional oil spill risk was analyzed and programmed with a help of smart-device for better use. Thirdly, comparison of oil spill risk between regions became possible and regional oil spill risk program proved to be useful in prompt decision under urgent situation in response to oil spill at sea. Convenient and quick oil spill risk without special restrictions have been able to determine. and it can help in anticipative preparation (strategy) for oil spills.

우리나라 연안교통량 분석을 통한 연안거리별 위험도 분석

  • Park, Yeong-Su;Lee, Sin-Geol;Lee, Yun-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4.10a
    • /
    • pp.137-139
    • /
    • 2014
  • 우리나라 항만을 입출항하는 선박은 연간 390,245척(2013년)이며, 연안해역을 통항하는 선박은 우리나라 남해안이 세계에서도 통항척수가 많은 해역이다. 이러한 연안 해역에서 거리별 통항교통량 분포 및 해양사고 분포를 통하여 연안해역 거리별 위험도를 파악하여 교통량 분산 등을 유도하여 해상교통 안전을 향상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 PDF

Pollution Risk Assessment of Oil Spill Accident (해양유류오염사고 위해도 평가)

  • Lee, Moon-Jin;Kim, Hye-Jin;Hwang, Ho-Jin;Lee, Seung-Hyun
    • Proceedings of KOSOMES biannual meeting
    • /
    • 2007.05a
    • /
    • pp.9-14
    • /
    • 2007
  • 해양유류오염사고 유출유 피해 위험도 산정을 위한 평가기법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위해도 평가에서는 과거 사고 사례에 근거하여 선정한 사고 해역에 대하여 여러 경우의 유출유 확산을 계산하고, 계산 결과를 통계 분석하여 유출유의 피해 가능성, 도달시간, 피해 규모 둥을 산정한다. 유출유의 피해 가능성, 도달시간, 피해규모는 환경민감자원 현황에 근거한 해역별 해안 및 어장 양식장을 대상으로 산정하며, 각 해역별 피해 정도를 비교함으로써 해역별 위해도를 산정한다. 이러한 결과는 특정 유류오염사고에 대한 보다 객관적이고 종합적인 피해 위험을 제시할 수 있으며, 실시간 피해 위험 예측과 연계하여 보다 타당성 있는 유류오염사고 위해도 평가 결과를 제시할 수 있다.

  • PDF

Assessment of Ship Navigation Risk for Optimal Allocation of Virtual Aids to Navigation (가상항로표지 최적 배치를 위한 항해 위험도 평가)

  • Song, Eun-a;Kim, Kwang-il;Jo, Gi-j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0.11a
    • /
    • pp.68-69
    • /
    • 2020
  • 해상에서는 선박의 안전한 항해를 위해 각종 항로 표지가 이용되는데, 과학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환경적 요소 등의 이유로 항로표지를 설지 할 수 없는 지역에서는 가상항로 표지를 필요로 하고 있다. 선행연구에서는 가상항로 표지의 최적 배치를 위해 선박 항해의 물리적 항해 제한 및 항해 장애물요소, 선박 교통 위험도 등을 격자 단위로 파악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격자별로 나눈 해역의 위험도 지수를 통합하여 통합 위험도 평가 지수를 개발하고자 한다. 이에 요소별 가중치를 설정하고, 레이어를 통합한 뒤 위험도를 산정하여 통계데이터 기반 위험도를 평가하였다. 요소별 가중치 설정을 위해 위험도 레이어 통합 가중치를 설정하였으며, 실제 해역에 적용하여 위험도를 평가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relocation strategy of the control line considering the marine pollution risk index and control capacity (해양오염 위험지수와 방제능력을 고려한 방제선 재배치 전략에 관한 연구)

  • Song, Youn-Hee;Lee, Gi-Wha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20 no.5
    • /
    • pp.547-557
    • /
    • 2022
  • The numbers of occurrences and the amount of spills of marine oil pollution have increased, and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secure additional control capabilities. Therefore, it was intended to present an empirical basis for improving the overall idle capacity through the relocation of control ships existing in each region. First, the marine pollution index was derived and the control capability compared to the marine pollution index of each region was compared to examine the appropriateness of the deployment of control ships. The marine oil pollution risk index was derived by multiplying the nine items that cause marine pollution by the weight derived by experts. We checked the control capacity (A) compared to the marine pollution risk index (F) for each sea area. Mokpo (F:13.4, A:1.9), Busan (F:14.3, A:6.4), and Yeosu (F:21.5, A:16.6) are the areas that lack control capabilities compared to the marine pollution risk index. On the other hand, the areas that have room for control compared to the marine pollution risk index for each sea area are Masan (F: 5.9, A:13.3), Gunsan (F:1.7, A:8.3), and Jeju (F:2.7, A:6.9). Therefore, for improving the standardized control capacity proportional to the risk of marine pollution nationwide, it is suggested that the control ships of Masan, Gunsan, and Jeju should be relocated to Mokpo, Busan, and Yeosu, which lack control capacity.

A Study on Danger Degree Analysis for the Adjacent Waterway of Main Ports in the Korean Southern Area (남해안 주요항만 접근해역의 위험도 분석에 관한 연구)

  • Park, Young-Soo;Kim, Kyung-Ta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14 no.1
    • /
    • pp.71-76
    • /
    • 2008
  • The main ports of Korean south sea are exposed to intensive danger as 58.1% of total vessel in Korea waters and 62.9% of total dangerous cargo ships. Therefore, it is required to establish fundamental database to solve numerous issues at the main ports cf the south sea as studying amount of the vessel traffic and their flows into the main ports, and evaluating degree of danger by traffics environmental stress model as analyzing relationships among degree of danger, maritime accident, and number of vessel arriving or departing in the main ports.

  • PDF

AIS 데이터를 이용한 항로별 통항분포에 관한 연구

  • Kim, Tae-Gyun;Song, Jae-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4.10a
    • /
    • pp.103-105
    • /
    • 2014
  • 선박의 운항분포는 교량충돌확률이나 선박충돌위험도 등을 계산할 때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지만, AASHTO모델이나 해상교통안전진단에서의 근접도 평가모델 등 많은 충돌 또는 위험도 계산 모델에서는 선박의 운항분포가 단순한 정규분포임을 가정하고 있다. 따라서 특정 항로나 해역에서의 정확한 충돌, 위험 또는 안전 등에 관한 확률을 구하고자 할 경우에는 그 항로나 해역의 특성에 맞는 선박 운항분포를 사용해야 한다. 이 연구에서는 일주일간의 통항선박 위치정보(AIS정보)를 이용하여 다양한 특성을 가지는 항로별로 각각 고유한 특성의 선박 운항분포를 찾아내기 위해, sech 함수를 이용한 새로운 충돌위험도 평가법에서 피항구역의 문턱값을 결정하는 방법을 분석하고 실제 상황에 적용 가능한 식을 개발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Response Scenario for a Simulated HNS Spill Incident (위험유해물질 유출사고 대응을 위한 가상시나리오 개발)

  • Lee, Moonjin;Oh, Sangwo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20 no.6
    • /
    • pp.677-684
    • /
    • 2014
  • In response to possible HNS (Hazardous and Noxious Substance) spill accident, HNS spill accident scenario and response scenario were developed. The accident area listed in scenarios is the coastal area of Busan, and scenario for possible accident in the designated area and strategies to respond the accident were developed, respectively. The scenario for accident was developed by designating HNS spill according to risk evaluation of HNS and analysis of HNS spill probability along the coastal area of Busan, and then estimating possible and potential impact from the accident. The scenario for response has been suggested as a systematical responding operations in order to effectively reduce the estimated impact from the accident. The possible HNS spill accident on the seas around Busan, has been designated by the spillage of 1,000ton of xylene due to collision accident in Gamcheon Port, and the possible impacts occurred by the accident has been simulated with the help of the atmospheric and oceanic dispersion model of xylene. In the responding scenario for the accident, a phased strategies regarding emergency rescue of peoples, protection and recovery of xylene, protective measures for the responders, and post management of the accident have been suggested.

우리나라 주요 항만해역의 효율적인 수로측량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U, Yang-Ho;Jo, Dong-O;Kim, Tae-G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2.06a
    • /
    • pp.177-179
    • /
    • 2012
  •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해상교통 안전확보를 위하여 전국 주요 항만 해역에 대한 수로측량의 긴급성과 중요성의 기준을 객관적으로 마련해 보는 것이다. 즉 전국의 관할 항만 해역별로 중요성과 위험성, 다양한 이용 고객들 수요의 긴급성과 중요성 등을 고려하여, 수로측량 우선순위(survey priorities)를 설정하고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모델을 만들어 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항만해역 수로측량의 변천과 현황, 기존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문헌연구와 해외의 해양선진국 수로측량 사례를 통하여 잠정기준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이를 전문가 설문조사 및 분석을 통해 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 우리나라 주요 항만해역의 수로측량 우선순위로는 해저지형 변화, 해상교통량, 기존 수로측량 실적, 이해당사자/이용자의 요구, 해양사고, 해양환경 및 생태자원 보존 등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향후 수로측량을 보다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방법으로 수행하기 위한 모델을 만들어보고, 여러 정책적 제안을 하였다.

  • PDF